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中部地域 原三國〜百濟 漢城期 住居地 空間活用 方式 硏究 = Study on the Residential Area Space Utilization Method in Central Region of Protothree Kingdom Age〜Baekje Hansung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18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ts of materials related to settlement remains of protothree kingdom age∼Baekje Hansung period have been cumulated due to explosive increase of excavation in 2000s. Accordingly, 呂·凸 type residential area have received much interest, which was ...

      Lots of materials related to settlement remains of protothree kingdom age∼Baekje Hansung period have been cumulated due to explosive increase of excavation in 2000s. Accordingly, 呂·凸 type residential area have received much interest, which was characterful residential area of the central region, and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However, as the result that the data of residential area also focused only on chronicle research, according to the existing relic chronicle,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on the residents who have lived by building their residential area. This research conducted by focusing on the interior space analysis of residential a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living conditions of the residential area of that time, and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method. 呂·凸 type residential area, the analysis object, was widely distributed in the Han River basin, to the north, Pocheon, Cheolwon, to the south, Suwon, Hwaseong, to the east, Youngseo region and Namhan River. However, this research proceeded a review mainly with the settlement which confirms the residential area of that time, targeting the central region and Han River basin, where the change aspect can be analyzed, since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hange of residential living conditions which appeared along with the time change from Protothree Kingdom Age to Baekje Hansung period. This research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residents of that time utilized their residential area and which acts they did according to each space by analyzing the flat shape and interior facilities through which the change of residential area can be analyzed, and comprehending change process of residential space utilization along with their combination aspect.
      It was confirmed that flat shape showed the aspect of changing (rec)tangule→pentagon→hexagon,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wall facilities developed more stable and firm, during the flat shape developed to hexagon. This research conducted an analysis by dividing interior facilities into the interior column, cooking·heating facility, arrangement of relic, and storage facility. The interior column was the most important facility in the role of space division. It was analyzed by being divided into cast-iron style and non cast-iron style, i.e. cast-iron style was classified into one-row-style, tow-row style, three-row style, and square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row of the columns.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column row increased when the residential interior space was bigger. However, square arrangement structure was a characterful combination which appeared in only some region which was influenced by Mahan, Chungcheong region, as an interior column style, installed during Hansung Baekje period. Non cast-iron style was an interior column style, which was mainly checked during Baekje Hansung period, which seems to have appeared along with technical development. Cooking·heating facility and relic arrangement structure were confirmed to change in order or No→‘ㄱ’ shape gudeul→‘ㅣ’ shape gudeul. Gudeul developed from heating function base to cooking function base, accordingly, relic arrangement structure and cooking space position changed. As cooking·heating facilities developed, relic arrangement structure became more concentrated than before, and changed to be more easy to utilize the space by efficiently arranging earthenware and tools. Storage facil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i.e. storage space, buried earthenware, and deferred earthenware. This research objectively analyzed the position of storage facilities by dividing into ①∼⑨. It was confirmed that storage facilities increased in the installation rate of deferred earthenware while moving to Baekje Hansung period. Also, regardless of the period, storage facilities were found in the fixed position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which determines that the recognition on storage space was patternized and fixed, and continued for a long time.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terior space of Protothree Kingdom Age and Baekje Hansung period residential area through flat shape, interior facilities, and relic arrangement structure. Interior space was classified into cooking space, storage space, and common·sleeping space according to the use. It was confirmed that interior space utilization was rapidly changed along with the various flat shape and change of interior facilities in Protothree Kingdom Age. Cooking space moved to the right wall from the center of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gudeul facility in No. Accordingly, storage space moved and changed to the one side of the wall from the both walls of the residential area. Along with the movement of cooking and storage space, common·sleeping space also changed its position, therefore, the residential space installed with No seemed to be utilized by dividing narrow space by positioning in the upper and lower side of cooking space. The residential area installed with gudeul was positioned in the left space of cooking space, the shape was in pentagon and hexagon, which were more widened than the flat shape, however common·sleeping space became similar or slightly wider than before, along with the increase of cooking space due to the increase of extent of gudeul facility. However, compared to the residential area installed with No, common·sleeping space became activated with its movement circulation, also, it was confirmed to have more efficient space utilization. During Baekje Hansung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ior facilities of hexagonal flat shape, non cast-iron flat shape, ‘ㅣ’ shape gudeul, and interior facility of deferred earthenware appeared to be standardized. Accordingly, it was determined to be standardized and stereotyped comparing that various interior space appeared during Protothree Kingdom Age. While cooking·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취락 유적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폭발적인 발굴의 증가로 많은 자료가 축적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중부지역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주거지 형태인 呂·凸자형 ...

      원삼국시대∼백제 한성기 취락 유적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폭발적인 발굴의 증가로 많은 자료가 축적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중부지역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주거지 형태인 呂·凸자형 주거지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유물편년에 맞추어 주거지 자료 또한 편년 연구에만 집중된 결과, 주거지를 축조하고 살아온 거주자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당시 주거지거주자들의 생활상을 알아보기 위해 주거지 내부 공간 분석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활용 방식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인 呂·凸자형 주거지는 한강유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북으로는 포천, 철원, 남으로는 수원, 화성, 동으로는 영서지역, 남한강유역에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원삼국시대에서 백제 한성기로 시대가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주거 생활상의 변화를 살펴 보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 변화상을 분석할 수 있는 중부지역,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이 시기 주거지가 확인되는 취락을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하였다. 주거지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평면형태와 내부시설을 분석하고, 이들의 결합양상에 따라 주거지 공간 활용의 변화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당시 거주자들이 주거지를 어떻게 활용하고 각 공간별로 어떤 행위를 하였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평면형태는 (장)방형→오각형→육각형로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평면형태가 육각형으로 발전하면서, 벽체시설 또한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발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부 시설은 내부기둥, 취사·난방시설과 유물의 배치, 저장시설을 구분하며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부기둥은 공간 구획의 역할에 가장 중요한 시설물이다. 주공식과 무주공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주공식은 기둥 배치열에 따라 일렬, 이열, 삼열, 방형배치구조로 분류하였다. 주거 내부 면적이 넓을수록 기둥열의 배치가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방형배치구조는 한성 백제기에 들어서면서 설치된 내부기둥 형식으로 충청지역 마한의 영향을 받은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조합으로 볼 수 있다. 무주공은 백제 한성기에 주로 확인되는 내부기둥 형식으로 건축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취사·난방시설과 유물배치구조는 노→‘ㄱ’자형 구들→‘ㅣ’자형 구들 순서로 변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구들은 난방 기능의 중심에서 취사 기능의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물 배치구조와 취사공간의 위치도 달라지게된다. 취사·난방 시설이 발달하면서 유물배치구조는 이전보다 집약화되며, 효율적으로 토기와 도구들이 배치되어 공간 활용에 더 용이하게 변화하게 된다. 저장시설은 저장공, 매립토기, 거치토기 세 가지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저장시설의 위치는 ①∼⑨로 분할하여 분석해 저장시설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저장시설은 백제 한성기로 이행하면서 거치토기의 설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대에 상관없이 저장시설은 주거 내 고정적인 위치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당시 저장공간에 대한 인식이 패턴화되고 고정화되어 장기간 지속되었음을 말해준다.
      평면형태, 내부시설, 유물배치구조를 통해 원삼국시대, 백제 한성기 주거지 내부 공간 분석해 보았다. 내부 공간은 용도 별로 취사공간, 저장공간, 공용·취침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원삼국시대에는 다양한 평면형태와 내부시설물의 변화에 따라 내부 공간 활용도 빠르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취사공간은 노에서 구들시설의 위치 변화에 따라 주거 공간 중앙에서 우측벽으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저장공간은 주거지 양 측벽에서 단벽 쪽으로 함께 이동 변화한다. 취사, 저장공간의 이동에 따라 공용·취침공간도 위치 변화하게 되는데, 노가 설치된 주거지는 취사공간 위, 아래에 위치하며 좁은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구들이 설치된 주거지는 취사공간 좌측공간에 위치하며, 평면형태가 이전보다 더 넓어진 오각형, 육각형의 형태지만, 구들시설의 면적 증가로 인해 취사공간의 면적이 늘어나게 되면서, 공용·취침공간은 이전과 비슷하거나 약간 넓어진 정도이다. 그러나 노가 설치된 주거지에 비해 공용·취침공간은 이동 동선이 원활해 졌으며, 이전보다 공간 활용하기에 더 효율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 한성기에는 육각형 평면형태, 무주공의 평면형태, ‘ㅣ’자형 구들, 거치토기의 내부시설물이 획일화되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삼국시대에 다양한 내부공간이 나타나는 것과 비교해 획일화되고 정형화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주거지 오벽 쪽으로 취사·난방시설이 이동하면서, 자연스레 취사공간이 구획되었다. 취사 토기와 도구도 이전과 다르게 공통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유물배치구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취사공간은 연도가 짧아진 구들과 효율적인 토기, 도구 배치를 통해 이전보다 사용 공간은 좁아졌지만, 집약적이고 효과적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공간은 ⑦,⑨번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Ⅱ. 기존 연구 현황과 방법 3
      • 1. 연구 성과와 문제점 3
      •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9
      • Ⅰ. 머리말 1
      • Ⅱ. 기존 연구 현황과 방법 3
      • 1. 연구 성과와 문제점 3
      • 2.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9
      • Ⅲ. 주거지 내부시설과 공간분석 12
      • 1. 평면형태 13
      • 2. 내부기둥 시설 16
      • 3. 취사·난방 시설 21
      • (1) 노와 유물배치구조 21
      • (2) ‘ㄱ’자형 구들과 유물배치구조 24
      • (3) ‘ㅣ’자형 구들과 유물배치구조 29
      • 4. 저장시설 32
      • (1) 저장공의 배치구조 33
      • (2) 매립토기의 배치구조 36
      • (3) 거치토기의 배치구조 38
      • 5. 내부시설의 유형별 결합양상 42
      • (1) 방형주거지 결합양상 42
      • (2) 오각형주거지 결합양상 44
      • (3) 육각형주거지 결합양상 47
      • Ⅳ. 원삼국∼백제 한성기 주거공간 활용 방식의 변화 50
      • 1. 원삼국시대 주거공간 활용 방식 51
      • 2. 백제 한성기 주거공간 활용 방식 55
      • 3. 주거공간 활용 방식 변화의 의미 58
      • Ⅴ. 맺음말 61
      • 참 고 문 헌 63
      • ABSTRACT 68
      • 부 록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