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편리를 추구하는 인간의 생활은 획일화일변도의 생활패턴을 만들어 가고 있다. 그로 인하여 잃어버린 자연에 대한 아쉬움과 그리움으로 자연을 갈구하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954811
화성: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학위논문(석사) --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 美術敎育專攻 , 2002
2002
한국어
600.44 판사항(4)
경기도
iii, ii, 35 p.: 삽도; 26 cm.
참고문헌과 초록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과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편리를 추구하는 인간의 생활은 획일화일변도의 생활패턴을 만들어 가고 있다. 그로 인하여 잃어버린 자연에 대한 아쉬움과 그리움으로 자연을 갈구하면...
과학과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편리를 추구하는 인간의 생활은 획일화일변도의 생활패턴을 만들어 가고 있다. 그로 인하여 잃어버린 자연에 대한 아쉬움과 그리움으로 자연을 갈구하면서 일상생활 속에 자연미의 일면을 읽으려하고 있다. 그 하나의 예로 자연 그대로의 상징으로서 꽃을 대하며, 생활 공간에 보다 많은 꽃을 들여놓음으로써 안정과 휴식을 통하여 현대인들이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연의 일부인 꽃을 조형적인 측면에서 분석 검토함으로써, 꽃의 조형적 특성을 더욱 살리기 위한 표현과 전개, 꽃의 조형과 환경을 인공적인 인간의 생활에 이입, 연결시키기 위한 전개, 그리고 작가가 의도한 테마를 전개시키는데 있어서 보다 적절한 매체(부재)의 선택과 조화시키는 방법 등을 연구하고자 한다.
꽃이 주는 작품의 의미는 꽃으로 표현되는 공간 조형적인 관점은 물론, 꽃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제시하는 구체적인 제안, 장소의 전개에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꽃에 대한 인식과 시선에 머문 것이 아니라, 꽃을 포함한 조형 공간, 꽃과 병행해서 사용된 부재 등을 포함시킨 공간, 주변 환경, 그리고 그 곳에 서 있는 인간의 모습까지도 자연의 공간에 포함 시켜가면서 상호 관계를 읽어 가는 그러한 공간의 전개이다.
작품의 소재인 꽃은 일반적인 고정 관념에서 보는 상징성과 조형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그것에 속박되지 않는 자유로움, 자연 그대로인 꽃과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조형물을 조화시킴으로서, 현재의 지금 이 시간, 이 시점의 상황을 자연의 일부로 동화시켜 가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인간의 삶에 있어 생활의 일부, 자연의 일부인 꽃의 특이성을 본 연구자의 꽃예술 작품을 소재로 선택하여 현대인들의 내면 속에서 꽃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조명해 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development of sc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life patterns of human being are getting unified into one style nowadays. Hence people are eager for nature and trying to feel the part of nature in their ordinary lives. For example, th...
Due to development of sc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life patterns of human being are getting unified into one style nowadays. Hence people are eager for nature and trying to feel the part of nature in their ordinary lives. For example, they regard flowers as the symbol of nature and fill their space with flowers for the purpose of rest and peace. They believe they can enhance their lives through this behaviors.
Here, with the investigation for folwers - the part of nature - in 'formative' terms, I study development of flowers to praise its formative features, to connect its shape and circumstances with the human being's artificial lives, to harmonize the theme with the media through which the artist develop his of her theme.
The meaning of works on flowers is said to be in the space-formative perspective and also the development of space which shows new image of flowers. In other words, I try to read the meaning of flowers, spaces and even a human standing around the flowers at the same time.
The flowers in the works provide the symbolic and formative beauty, and additionally harmonize the flowers' freedom image with the human being's artificial structures. Hence this induces to synchronize the circumstances of the present with the nature.
With these particular features of flowers, I start to study how flowers play roles in the inside of human na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