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적대와 연대; 1930년대 “활자전선(活字戰線)”의 구축과 복수의 사회주의 = The Im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Colonists and Colonized Peopl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30년대 사회주의 진영 내·외부의 담론투쟁은 사회주의에 잠재된 혁명성을‘대리-표상’하며, 새로운 지식의 전선(들)을 구성해 나갔다. 이때 지식의 전선(『비판』의 표현으로는 ‘활자...

      1930년대 사회주의 진영 내·외부의 담론투쟁은 사회주의에 잠재된 혁명성을‘대리-표상’하며, 새로운 지식의 전선(들)을 구성해 나갔다. 이때 지식의 전선(『비판』의 표현으로는 ‘활자전선’)이란 사회주의 진영 내·외부의 인적 연결망에 기반을 두면서도, 때로는 그것을 해체하거나 재구성하며, 사안의 종류나 방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축되어갔다. 식민지 지식장의 변동을 야기한 사회주의 담론은 다층적으로 구성된 것이었으며, 이러한 논쟁의 지형들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잡지가 바로 비판 이라고 생각했다. 대중정론지를 표방한 『비판』은 사회주의 진영 내·외부의 적대와 연대의 망을 교차시키고 있었다. 비판 에서 구축된 논쟁의 지형들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① 평론/ 비평 ② 보도/제보/ 고발 ③ 학술 논쟁이 그것이다. 이들 구분은 다루는 소재나 주제, 대상에 따른 것이 아니라, 관점과 시각, 방법에 따른 분류이다. 이 논쟁의 지형들은 그 형태가 자명하게 구분되기보다는 상관적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 세 가지 형태의 논쟁들은 각각 지향하는 목적이 명백히 달랐다. ①은 사회운동의 이론적 모색 ②사건현상비판 ③학적 지식의 형성이었다. 그리고 이들 각각을 대표하는 것으로는 ①신간회 해소 논쟁, ②사회주의와 천도교의조선운동 영도권 논쟁 3)사회성격논쟁이 있다. 『비판』 초기에는 ‘평론/ 비평’ 논쟁이 높은 분포를 보이다가, 점차 ‘보도/ 제보/ 고발’의 형태가 많아지고, 30년대 중·후반에 이르면 대부분 ‘학술논쟁’으로 대체된다. 이는 사회주의 운동의 쇠락과, 조선 현실에 대한 전망의상실, 그리고 제국 일본에 의한 합법적 언설공간의 통제 등이 연동된 것이었다. 이러한 논의의 과정을 통해,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언설 공간에서 실제 기능했던 근대 지식으로서의 사회주의의 복수성이 검토될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coursive struggle in and out of the socialist camp in 1930`s ‘represents-symbolizes’revolutionary of socialism and organized the front line(s) of new knowledge. At that time, front line of knowledge (‘hwaljajunsun’ for the expression of The...

      Discoursive struggle in and out of the socialist camp in 1930`s ‘represents-symbolizes’revolutionary of socialism and organized the front line(s) of new knowledge. At that time, front line of knowledge (‘hwaljajunsun’ for the expression of The Criticism (批判)) basedon human network in and out of the socialist camp sometimes dissolves or reorganize itand establishes flexibly by kind and direction of agenda. Socialism discourse causingchanges of colonial knowledge was organized by multi layers and the magazine showingthe state of debate the mostly is rightly The Criticism (批判). The magazine, The Criticism (批判), exchanges networks of hostility and solidarity in and out of the socialist camp. In The Criticism (批判), state of established debate can be greatly divided into three things; 1)criticism/ review 2) report / information / accusation 3) academic debate. It`s divided bystandpoint, sight and method, not material, subject or subject. The state of debate wascorrelatively organized, not clearly divided. However, three forms of debate showedclearly different purposes; 1) theoretical seeking of socialist movement 2) criticism of accidentialphenomenon 3) formation of academic intelligence. And, what represent each ofthem are 1) debate of Shinganhoe cancellation, 2) debate of leadership of Joseon movementbetween socialism and Cheondogyo 3) social formation debate. In early stage of TheCriticism (批判), debate of ‘criticism/ review’ showd high distribution and form of ‘report /information / accusation’ is gradually increased. In middle and latter stage of 1930s, mostof them are changed to ‘academic debate’. It is linked to decline of socialist movement,loss of prospect for Joseon actualities, control of legal speech space by Japan empire, etc.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it intend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examine pluralof socialism which plays actual function in speech space of colonial Joseon in 1930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스칼라피노,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1" 돌베개

      2 유승환, "하위주체적 ‘앎’과 사회주의 매체 전략 『비판』 소재 고정란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3) : 111-143, 2013

      3 천정환, "초기 삼천리의 지향과 1930년대 문화민족주의, In 삼천리 근대의 뜨거운 만화경" 성균관대출판부 2012

      4 이혜령, "지식인의 자기정의와 ‘계급’-식민지 시대 지식계급론과 한국 근대소설의 지식인 표상" 상허학회 22 : 117-154, 2008

      5 "조선지광"

      6 "조선일보"

      7 정용서, "일제하ㆍ해방후 천도교세력의 정치운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8 유재천, "일제하 한국잡지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 서강대 동아연구소 15 : 1988

      9 유재천, "일제하 한국 신문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3)" 서강대 동아연구소 18 : 1989

      10 정혜정, "일제하 천도교의 소년교육운동과 소파 방정환" 한국교육사학회 24 (24): 253-276, 2002

      1 스칼라피노,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1" 돌베개

      2 유승환, "하위주체적 ‘앎’과 사회주의 매체 전략 『비판』 소재 고정란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53) : 111-143, 2013

      3 천정환, "초기 삼천리의 지향과 1930년대 문화민족주의, In 삼천리 근대의 뜨거운 만화경" 성균관대출판부 2012

      4 이혜령, "지식인의 자기정의와 ‘계급’-식민지 시대 지식계급론과 한국 근대소설의 지식인 표상" 상허학회 22 : 117-154, 2008

      5 "조선지광"

      6 "조선일보"

      7 정용서, "일제하ㆍ해방후 천도교세력의 정치운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8 유재천, "일제하 한국잡지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 서강대 동아연구소 15 : 1988

      9 유재천, "일제하 한국 신문의 공산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3)" 서강대 동아연구소 18 : 1989

      10 정혜정, "일제하 천도교의 소년교육운동과 소파 방정환" 한국교육사학회 24 (24): 253-276, 2002

      11 김민환, "일제하 좌파 잡지의 사회주의 논설 내용 분석" 한국언론학회 49 (49): 276-299, 2005

      12 김경일, "이재유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3

      13 이종호, "염상섭의 자리, 프로문학 밖, 대항제국주의 안 ― 두 개의 사회주의 혹은 ‘문학과 혁명’의 사선(斜線)" 상허학회 38 : 11-60, 2013

      14 "신계단"

      15 이균영, "신간회 연구" 역사비평사 1993

      16 한기형, "식민지 검열정책과 사회주의 관련 잡지의 정치 역학 ―개벽과 조선지광의 역사적 위상 분석과 관련하여" 한국문학연구소 (30) : 171-202, 2006

      17 "삼천리"

      18 "비판"

      19 "동아일보"

      20 "동광"

      21 장영은, "금지된 표상, 허용된 표상-1930년대 초반 『삼천리』에 나타난 러시아 표상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22 : 195-232, 2008

      22 "계급투쟁"

      23 이혜령, "감옥 혹은 부재의 시간들 ―식민지 조선에서 사회주의자를 재현한다는 것, 그 가능성의 조건" 대동문화연구원 (64) : 71-118, 2008

      24 오혜진, "‘심퍼사이저(sympathizer)’라는 필터 : 저항의 자원과 그 양식들 1920~1930년대 염상섭의 소설과 평문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8 : 61-100, 2013

      25 박종린, "‘김윤식사회장’ 찬반논의와 사회주의세력의 재편" 한국역사연구회 38 : 2000

      26 박헌호, "‘계급’ 개념의 근대 지식적 역학-사회주의 연구노트 1" 상허학회 22 : 13-39, 2008

      27 유석환, "1930년대 잡지시장의 변동과 잡지 『비판』의 대응 : 경쟁하는 잡지들, 확산되는 문학"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6) : 239-271, 2009

      28 박형진, "1930년대 아시아적 생산양식 논쟁과 과학적 조선학 연구 : 이청원의 식민지기 학술활동과 논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29 오미일, "1930년대 사회주의자들의 사회성격논쟁" 역사문제연구소 (봄) : 1989

      30 이승희, "1920년대 신문 만평의 사회주의 정치와 문화적 효과" 상허학회 22 : 77-115, 2008

      31 천정환, "1920년대 讀書會와 ‘社會主義 文化’" 대동문화연구원 (64) : 41-70, 2008

      32 박선권, "(역사철학에 대한 성찰)이론과 서사" 일신사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7 1.72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