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석학적 차원에서의 해체주의 디자인에 내재된 함축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Implications inherent in Deconstruction Design at an Analytical Le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71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체주의 디자인은 기능주의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통일된 함축성과 도를 넘는 단순성 중심의 제품 언어적 특징과 달리 난해하며 공격적인 특성까지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형식(形式)에 있어 전통적인 방식을 거부함으로써 진보적인 인상으로 평가되기에 충분하다. 오늘날 해체주의 디자인은 건축과 패션을 중심으로 시각정보디자인과 제품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타나고 있다. 파괴와 해체 그리고 탈 중심성과 탈 통일성을 강조하는 해체주의 디자인은 전통적인 기능주의 디자인과 다른 차원에서의 독창적 함축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디자인 함축성은 조형심리학의 중요한 요소이자 디자인 양식을 구분하는 근거가 되며, 인식적 차원에서 대상의 내용과 현상학적 특성을 의미한다. 또한 디자인 양식(樣式)은 의미에 대한 전체성으로 인식과 수용을 통한 함축적 특성들의 조합을 통해 결정된다. 따라서 디자인의 함축적 내용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면 시장에서 우위(優位)를 확보하거나 소비자의 긍정적 방응을 유도하는 디자인에 대한 분석과 디자인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계열 별 해체주의 디자인에 내재된 함축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에 근거하여 디자인 분석과 독창적인 인상을 소유한 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능성 발견을 목적으로 한다.
      번역하기

      해체주의 디자인은 기능주의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통일된 함축성과 도를 넘는 단순성 중심의 제품 언어적 특징과 달리 난해하며 공격적인 특성까지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형식(形式)에 있...

      해체주의 디자인은 기능주의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통일된 함축성과 도를 넘는 단순성 중심의 제품 언어적 특징과 달리 난해하며 공격적인 특성까지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형식(形式)에 있어 전통적인 방식을 거부함으로써 진보적인 인상으로 평가되기에 충분하다. 오늘날 해체주의 디자인은 건축과 패션을 중심으로 시각정보디자인과 제품디자인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타나고 있다. 파괴와 해체 그리고 탈 중심성과 탈 통일성을 강조하는 해체주의 디자인은 전통적인 기능주의 디자인과 다른 차원에서의 독창적 함축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디자인 함축성은 조형심리학의 중요한 요소이자 디자인 양식을 구분하는 근거가 되며, 인식적 차원에서 대상의 내용과 현상학적 특성을 의미한다. 또한 디자인 양식(樣式)은 의미에 대한 전체성으로 인식과 수용을 통한 함축적 특성들의 조합을 통해 결정된다. 따라서 디자인의 함축적 내용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면 시장에서 우위(優位)를 확보하거나 소비자의 긍정적 방응을 유도하는 디자인에 대한 분석과 디자인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계열 별 해체주의 디자인에 내재된 함축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에 근거하여 디자인 분석과 독창적인 인상을 소유한 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능성 발견을 목적으로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운, "해석학적 차원에서의 디자인의 형식적 함축성에 대한 고찰 - Wilhelm Dilthey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173-182, 2011

      2 U. Hansen, "Stilbulding als absatzwirtschaftliche Problem der Konsumgueterindustrie" 1969

      3 C. Buerger, "Postmoderne: Alltag, Allegorie und Avandgarde" Frakfurt a. M 1987

      4 A. Putmann, "Internationales Design Jahrbuch" 1992

      5 F.Wagner, "Grundlagen der Gestaltung; Plastische und raemliche Darstellungsmittel" 1981

      6 Juergen Tietz, "Geschichte der Architektur-des 20. Jahrhunderts" Koenemann 1998

      7 Wolfgang Welsch, "Die Geburt der postmodernen Philosophie in : Aesthetisches Denken" 1999

      8 Bernhardt E. Buerdek, "Design-Geschichte, Theorie und Praxis der Productgestaltung" Dumont 1991

      9 G. Kaehler, "Dekonstruktion? Dekonstruktivismus? Aufbruch ins Chaos oder neues Bildd der Welt" Brunschweig 1993

      10 Andreas Paradakis, "Archtektur der Gegewart" Terrail 1992

      1 최성운, "해석학적 차원에서의 디자인의 형식적 함축성에 대한 고찰 - Wilhelm Dilthey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173-182, 2011

      2 U. Hansen, "Stilbulding als absatzwirtschaftliche Problem der Konsumgueterindustrie" 1969

      3 C. Buerger, "Postmoderne: Alltag, Allegorie und Avandgarde" Frakfurt a. M 1987

      4 A. Putmann, "Internationales Design Jahrbuch" 1992

      5 F.Wagner, "Grundlagen der Gestaltung; Plastische und raemliche Darstellungsmittel" 1981

      6 Juergen Tietz, "Geschichte der Architektur-des 20. Jahrhunderts" Koenemann 1998

      7 Wolfgang Welsch, "Die Geburt der postmodernen Philosophie in : Aesthetisches Denken" 1999

      8 Bernhardt E. Buerdek, "Design-Geschichte, Theorie und Praxis der Productgestaltung" Dumont 1991

      9 G. Kaehler, "Dekonstruktion? Dekonstruktivismus? Aufbruch ins Chaos oder neues Bildd der Welt" Brunschweig 1993

      10 Andreas Paradakis, "Archtektur der Gegewart" Terrail 1992

      11 D. Carson, "2ndsight graphic design after the end of print" Webster dictionary 1996

      12 V. Albus, "13 nach Memphis-Design zwischen Askese und Sinnlichkeit" Prestel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