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조업 협력사업장의 재해예방 활성화를 위한 연구 : 안전문화에 따른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accident prevention at manufacturing partner workplaces : Focusing on the safety behavior of workers according to the safety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5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사고사망만인율은 2021년 기준 0.43‱로 8년째 0.4~0.5‱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으며, 매년 800명 이상이 사고로 사망하고 있다. 이 중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중대재해의 72.6%가 발생하고 있으며, 원·협력사업장 관계 에서 협력사업장의 사망사고가 약 40% 수준(2017~2021년 기준)을 차지하고 있다. 사 고의 유형별은 추락(42.4%), 끼임(11.5%), 부딪힘(8.7%)이 사고전체의 62.6%를 차지하 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50~60%로 고착화 되어있다. 이런 재해는 기본적인 안전수칙 준수만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재해로, 아직도 현장에서는 기본적인 안전수칙이 잘 지 켜지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중대재해를 감축시키기 위해서는 재해가 다발하는 건설업과 제 조업에 대하여 집중하여야 하며, 그 중 원청에 비해 열악한 환경을 가질 것으로 예상 되는 협력사업장에 대하여 중대재해를 어떻게 감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Rouse 등의 연구에 따르면 현장의 산업재해는 다수가 휴먼에러에서 발생되고 있다 (Rouse & Rouse, 1983). 따라서 소속 근로자가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등 안전행동이 이루어져야하나, 일반적인 근로자의 행동은 개인적인 특성이 반영되므로 바꾸기 어렵다. 그러나 조직 내의 개인적인 특성은 그 조직문화의 영향을 받아 변하게 된다. 근로자의 안전행동도 조직의 안전문화의 영향을 받아 개인적인 특성의 영향 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안전문화 활성화로 인한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21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 조사』를 통하여,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의 하위개념인 경영진의 리더십, 안전소통, 교육 및 제도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소속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현장에서 사업장 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관리감독자의 역 량, 사업장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적절한 조치 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위험성평가의 개선노력도, 그리고 원청의 협력사업장에 대한 안전지원 정도가 작용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 및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소속 근 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와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매개작용을 하였다. 원청의 안전지원은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관리감독자의 역량 및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원청의 안전지원이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와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매개작용을 하였다. 따라서, 협력사업장의 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위험성평가에 따른 유해·위험요인의 개선과 관리감독자의 역량 강화 등 안전보건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원청의 협력사업장에 대한 안전지원은 협력 사업장 안전문화 활성화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관리감독자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어, 협력사업장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 강화에 따른 재해예방 효과가 발 생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협력사업장의 특성 분석과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의 연구를 통해 협력사업장의 재해예방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eywords : 협력사업장, 안전문화, 경영진의 리더십, 안전소통, 교육 및 제도, 안전행동, 관리감독자의 역량, 위험성평가
      번역하기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사고사망만인율은 2021년 기준 0.43‱로 8년째 0.4~0.5‱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으며, 매년 800명 이상이 사고로 사망하고 있다. 이 중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중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사고사망만인율은 2021년 기준 0.43‱로 8년째 0.4~0.5‱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으며, 매년 800명 이상이 사고로 사망하고 있다. 이 중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중대재해의 72.6%가 발생하고 있으며, 원·협력사업장 관계 에서 협력사업장의 사망사고가 약 40% 수준(2017~2021년 기준)을 차지하고 있다. 사 고의 유형별은 추락(42.4%), 끼임(11.5%), 부딪힘(8.7%)이 사고전체의 62.6%를 차지하 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50~60%로 고착화 되어있다. 이런 재해는 기본적인 안전수칙 준수만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재해로, 아직도 현장에서는 기본적인 안전수칙이 잘 지 켜지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중대재해를 감축시키기 위해서는 재해가 다발하는 건설업과 제 조업에 대하여 집중하여야 하며, 그 중 원청에 비해 열악한 환경을 가질 것으로 예상 되는 협력사업장에 대하여 중대재해를 어떻게 감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Rouse 등의 연구에 따르면 현장의 산업재해는 다수가 휴먼에러에서 발생되고 있다 (Rouse & Rouse, 1983). 따라서 소속 근로자가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등 안전행동이 이루어져야하나, 일반적인 근로자의 행동은 개인적인 특성이 반영되므로 바꾸기 어렵다. 그러나 조직 내의 개인적인 특성은 그 조직문화의 영향을 받아 변하게 된다. 근로자의 안전행동도 조직의 안전문화의 영향을 받아 개인적인 특성의 영향 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안전문화 활성화로 인한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21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 조사』를 통하여,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의 하위개념인 경영진의 리더십, 안전소통, 교육 및 제도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소속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현장에서 사업장 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관리감독자의 역 량, 사업장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적절한 조치 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위험성평가의 개선노력도, 그리고 원청의 협력사업장에 대한 안전지원 정도가 작용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 및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소속 근 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와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매개작용을 하였다. 원청의 안전지원은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관리감독자의 역량 및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원청의 안전지원이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와 관리감독자의 역량은 매개작용을 하였다. 따라서, 협력사업장의 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위험성평가에 따른 유해·위험요인의 개선과 관리감독자의 역량 강화 등 안전보건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원청의 협력사업장에 대한 안전지원은 협력 사업장 안전문화 활성화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관리감독자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어, 협력사업장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 강화에 따른 재해예방 효과가 발 생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협력사업장의 특성 분석과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의 연구를 통해 협력사업장의 재해예방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eywords : 협력사업장, 안전문화, 경영진의 리더십, 안전소통, 교육 및 제도, 안전행동, 관리감독자의 역량, 위험성평가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및 범위 4
      • 1.3 논문의 구성 5
      • 제2장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6
      • 제1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및 범위 4
      • 1.3 논문의 구성 5
      • 제2장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6
      • 2.1 협력사업장에 대한 이론적 고찰 6
      • 2.1.1 협력사업장의 개요 6
      • 2.1.2 협력사업장의 현황 7
      • 2.1.3 협력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련 제도 9
      • 2.2 안전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2.2.1 안전문화의 개념 12
      • 2.2.2 안전문화 측정 항목 15
      • 2.2.3 안전문화의 효과 16
      • 제3장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가 소속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20
      • 3.1 연구개요 20
      • 3.1.1 위험성평가의 개요 20
      • 3.1.2 관리감독자의 개요 22
      • 3.1.3 연구대상 23
      • 3.2 연구모형 및 가설 26
      • 3.3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28
      • 3.3.1 변수 정의 28
      • 3.3.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30
      • 3.3.3 통계방법 및 자료분석 31
      • 3.4 상관관계 분석 31
      • 3.5 가설검증
      • 3.5.1 안전문화가 위험성평가 개선에 미치는 효과 32
      • 3.5.2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효과 32
      • 3.5.3 안전문화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효과 33
      • 3.5.4 안전문화 중 경영진의 리더십과 안전행동수준 간에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가 미치는 효과 34
      • 3.5.5 안전문화 중 안전소통과 안전행동수준 간에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가 미치는 효과 35
      • 3.5.6 안전문화 중 교육 및 제도와 안전행동수준 간에 위험성평가 개선노력도가 미치는 효과 36
      • 3.5.7 안전문화가 관리감독자의 역량에 미치는 효과 37
      • 3.5.8 관리감독자의 역량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효과 38
      • 3.5.9 안전문화 중 경영진의 리더십과 안전행동수준 간에 관리감독자의 역량이 미치는 효과 39
      • 3.5.10 안전문화 중 안전소통과 안전행동수준 간에 관리감독자의 역량이 미치는 효과 40
      • 3.5.11 안전문화 중 교육 및 제도와 안전행동수준 간에 관리감독자의 역량이 미치는 효과 41
      • 3.6 소결 42
      • 제4장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43
      • 4.1 연구개요 43
      • 4.2 연구모형 및 가설 44
      • 4.3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47
      • 4.3.1 변수 정의 47
      • 4.3.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47
      • 4.3.3 통계방법 및 자료분석 49
      • 4.4 상관관계 분석 49
      • 4.5 가설검증 50
      • 4.5.1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에 미치는 효과 50
      • 4.5.2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효과 52
      • 4.5.3 원청의 안전지원과 협력사업장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 간에 협력사업장 경영진의 리더십이 미치는 효과 53
      • 4.5.4 원청의 안전지원과 협력사업장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 간에 협력사업장의 안전소통이 미치는 효과 54
      • 4.5.5 원청의 안전지원과 협력사업장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 간에 협력사업장의 교육 및 제도가 미치는 효과 55
      • 4.5.6 협력사업장 경영진 리더십 및 관리감독자 역량의 이중매개 효과 56
      • 4.5.7 협력사업장 안전소통 및 관리감독자 역량의 이중매개 효과 57
      • 4.5.8 협력사업장의 교육 및 제도와 관리감독자 역량의 이중매개 효과 58
      • 4.6 소결 59
      • 제5장 사업장의 안전문화가 화학물질 취급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60
      • 5.1 연구개요 60
      • 5.1.1 화학물질 위험성평가의 개요 60
      • 5.1.2 연구대상 62
      • 5.2 연구모형 및 가설 63
      • 5.3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64
      • 5.3.1 변수 정의 64
      • 5.3.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64
      • 5.3.3 통계방법 및 자료분석 65
      • 5.4 상관관계 분석 66
      • 5.5 가설검증 67
      • 5.5.1 사업장의 안전문화가 화학물질 위험성평가에 미치는 효과 67
      • 5.5.2 화학물질 위험성평가가 화학물질 취급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68
      • 5.5.3 사업장의 안전문화가 화학물질 취급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68
      • 5.5.4 사업장의 안전문화가 화학물질 취급근로자의 안전행동 간에 화학물질 위험성평가가 미치는 효과 69
      • 5.6 소결 70
      • 제6장 결론 및 제언 71
      • 6.1 결론 71
      • 6.2 제언 72
      • 6.3 향후 연구방향 74
      • 참고문헌 75
      • Abstract 8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선희, "안전문화 길라잡이Ⅰ", 이진, 김주은, 2021

      2 이선희, "안전문화 길라잡이Ⅱ", 이진, 2021

      3 전형배, "도급과 근로자의 안전", 노동법논총 31 : 377-406, 2014

      4 von Thaden, T. L., Zhang, H., Wiegmann, D. A., Sharma, G., Gibbons, A. M., "Safety culture: An integrative review", 14(2), 117–134, 2004

      5 백종배, "위험성평가 내실화 방안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산업안전보건연구원) https://www.kosha.or.kr/oshri/researchField/introduction_b.do, 2015

      6 박경돈, "산업재해발생의 인구학적 이해", 지방정부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8(3): 183~204, 2014

      7 고용노동부,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 제12조, 2023

      8 강동묵, 최홍열, 차봉석, 조수헌, 장세진, 임형준, 이상윤, 김재윤, 김재용, 고상백, "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대한사업의학회지, 13(1):18-30, 2001

      9 박희준, "사내하도급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경영논집 제46권 통합호 243-260, 2012

      10 김영선, 이경용, "원 하청 산업재해 통합 통계 산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1, 2016

      1 이선희, "안전문화 길라잡이Ⅰ", 이진, 김주은, 2021

      2 이선희, "안전문화 길라잡이Ⅱ", 이진, 2021

      3 전형배, "도급과 근로자의 안전", 노동법논총 31 : 377-406, 2014

      4 von Thaden, T. L., Zhang, H., Wiegmann, D. A., Sharma, G., Gibbons, A. M., "Safety culture: An integrative review", 14(2), 117–134, 2004

      5 백종배, "위험성평가 내실화 방안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산업안전보건연구원) https://www.kosha.or.kr/oshri/researchField/introduction_b.do, 2015

      6 박경돈, "산업재해발생의 인구학적 이해", 지방정부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8(3): 183~204, 2014

      7 고용노동부,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 제12조, 2023

      8 강동묵, 최홍열, 차봉석, 조수헌, 장세진, 임형준, 이상윤, 김재윤, 김재용, 고상백, "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대한사업의학회지, 13(1):18-30, 2001

      9 박희준, "사내하도급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경영논집 제46권 통합호 243-260, 2012

      10 김영선, 이경용, "원 하청 산업재해 통합 통계 산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1, 2016

      11 고용노동부, "“2023 새로운 위험성평가 안내서”", 2023 새로운 위험성평가 안내서 p.16, 2023

      12 고용노동부, "“2023년 고용형태공시 결과 발표”", 2023년 고용형태공시 결과 발표 p.132, 2023

      13 이병희, "사내하도급 활용 원인과 고용 성과", 산업노동연구. 한국산업노동 학회. 18(1): pp.1~33, 2012

      14 조윤호, "원 하청 산업재해 통합 통계 산출Ⅱ",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7

      15 정정옥, "여성노동자 산업재해 현황과 시사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이슈분석, 제209호(21-23) pp.11-13, 2021

      16 김기선, "사내하도급과 산업안전보건 거버넌스",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Vol.48, pp.31-66, 2016

      17 고진주, 오현정, 김태한,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실사보고서", 산업 안전보건연구원 1-2, 2021

      18 나무위키,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 https://namu.wiki/w/%EA% B5%AC%EC%9D%98%EC%97%AD%20%EC%8A%A4%ED%81%AC%EB%A6%B0%EB%8F%8 4%EC%96%B4%20%EC%A0%95%EB%B9%84%EC%97%85%EC%B2%B4%20%EC%A7%81%E C%9B%90%20%EC%82%AC%EB%A7%9D%EC%82%AC%EA%B3%A0, null

      19 이승우, 한인임, 정재현, 장안석, "위험성 평가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민주노동연구원, 2020

      20 고용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및 관련자료 게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및 관련자료 게시, https://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21201442, 2022

      21 김명준,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 실태와 대응 방안",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22

      22 김명준, 전경민, 이지동, 이종태, 손승아, 박유정, 박영선, 김유림, "주요 국가간 산업재해율 변화 추이 비교분석",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20

      23 Mearns, K. J., & Flin, R., "Assessing the state of organizational safety—cultureorclimate?", 18(1), 5-17, 1999

      24 Deal, T. E., & Kennedy, A. A, "Corporate cultures: The rites and rituals of organizational life", 98-103, 1982

      25 김재광, 조은혜, 조승규, 정미경, 임혜인, 이진아, 이성민, 손익찬, 박애란, "노 동자 권리로 이해하는 산업안전보건법 해설서",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p. 5, 2021

      26 권오성, 정흥준, 박인호, 박서정, 나민오, "Wikipedia(2021), 노사 참여를 통한 안전문화 확산방안",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 147, 2022

      27 최숙희, "고령화새대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2014

      28 김준우, 허지희, 정홍인, 임희수, 이현정, 이용희, 원지연, 신상문, 김태완, "산 업안전보건교육의 현장 작동성 강화를위한 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위험성평가 홈페이지, 위험성평가 개요, https://kras.kosha.or.kr/information/danger1_page, 2017

      29 Bass, B. M., "Two decad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8(1), 9-32, 1999

      30 김원, 최영은, 정태진, 박현아, 박주현, 박미진, "소규모 사업장 화학물질 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21

      31 고진주, 조윤호, 오현정, 김태한,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표본설계 기술 보고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p. 5-15, 2021

      32 정진우, "우리나라의 사업장 위험성평가 제도 실시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9(3) 121-128, 2014

      33 박가영, "사업장 내 협력업체 및 파견근로자의 직업건강 관리방안",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전기학술대회 발표자료, 2022

      34 김명열, "안전문화가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 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93, 2017

      35 Bradley, J. C., Wallace, J. C., Christian, M. S., Burke, M. J., "Workplace safety: a meta-analysis of the roles of person and situation factors", 94(5), 1103-1127, 2009

      36 김규정, 이주엽, 이근원, 김태옥, "공정안전관리를 통한 도급업체 안전관리 강화에 관한 연구", 한국가스학회지, 19(4), 15-21, 2015

      37 김은주, 정명진, 이명구, 박시현, "사업주 및 관리감독자의 실효성 있는 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8

      38 Zohar , D.,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65(1), 96-102, 1980

      39 He, Y., Wang, Y., Payne, S. C., "How is safety climate formed? A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of safety climate", 9(2-3), 124-156, 2019

      40 김현아, "중소기업 위험성평가 실행력 강화방안(위험성평가 정책 방향)", 미 래안전문화포럼 발표자료, 2023

      41 Beus, J. M., Payne, S. C., Bergman, M. E., & Arthur Jr, W., "Safety climate and injuries: An examination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lationships", 95(4), 713-727, 2010

      42 Clarke, 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A meta-analytic review", 11(4), 315-327, 2006

      43 이부일, 이필석, 이선희, "남기은 지옥영 김나경, 기업의 안전문화 수준에 관한 심층 분석 연구", 산업안전보건연구원 pp. 6-17, 2017

      44 송동윤, "관리감독자 안전업무 성과 향상을 위한 업무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20

      45 박해천, 이경훈, "사업장 관리자의 안전리더십이 작업장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 향 연구", 대한안전경영과 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99-313, 2011

      46 노현승, "제조업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가 근로자 안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건학회지, 33(1), 50-59, 2023

      47 Campbell, J. P., McCloy, R. A., Oppler, S. H., Sager, C. E., "A theory of performance. In N., Schmitt,W. C. Borman, (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pp. 35-70, 1993

      48 Chen, Z., Shaw, W., Lee, J., Huang, Y. H., Cheung, J. H., "A systematic review of the safety climate intervention literature: Pas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24(1), 66–91, 2019

      49 Kines, P., Lappalainen, J., Mikkelsen, K. L., Olsen, E., Pousette, A., Tharaldsen, J., & Törner, M., "Nordic Safety Climate Questionnaire (NOSACQ-50): A new tool for diagnosing occupational safety climate", 41(6), 634-646, 2011

      50 GoodDaysWork. Ag, Guldenmund, F. W., "Move From a safety program to a safety cultureThe nature of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p.19 34(1-3), 215-257, 2000

      51 서진두, "“중대재해처벌법상 도급관계에서 안전보건 확보의무 이행 주 체에 관한 소고”", 이승길 중대재해처벌법상 도급관계에서 안전보건 확보의무 이행 주 체에 관한 소고 사회법연구 no.48(2022) : 245-280, 2022

      52 이경용, "박정선, 문용호, 이관형, 최성원, 이나루, 김민수, 오지영, 산재취약 계층 실태분석",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3, 2006

      53 Zohar, D., "The effects of leadership dimensions, safety climate, and assigned priorities on minor injuries in work groups", 23(1), 75-92, 2002

      54 문광수, 이재희, 오세진,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과 조직 내 안전 분위 기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안전학회지, 28(2), 66-72, 2013

      55 이선희, "이진 최진홍 안정현 강승균 정태준 윤지영, 화학산업 안전풍토 (Safety Climate) 조성방안 마련", 산업안전보건, 176, 2020

      56 Griffin , M. A. , & Neal , A.,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 knowledge , and motivation", 5(3). 347-358, 2000

      57 문석주, "관리감독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선박엔진 제조업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58 이경용, "제조업 사업장의 안전보건활동이 안전보건수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산 업안전보건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18(4), pp.79~111, 2011

      59 이원종, "이슬기 안전문화가 안전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령 근로자 및 외국인 근로자 근무비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안전문화연구 no.23, 125-141, 2023

      60 윤정일, "3인 인간응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BK21역량기반교육혁신 사업단ㆍBK21 핵심역심 연구센터, 역량기반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