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 및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고, 부적응 요인에 대한 다양한 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21363
2015
Korean
학술저널
129-13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 및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고, 부적응 요인에 대한 다양한 진...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 및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고, 부적응 요인에 대한 다양한 진로지도 방법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014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전라도 소재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46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스트레스는 성별, 학년, 종교,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학생활 적응은 성별, 학년, 경제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고,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과도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생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또한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가지는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uccessful college adjust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nsur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uccessful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s and on the right directions and various methods of career guidance geared toward maladjusted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5 occupational therapy majors in a college located in Jeolla Province. A self- 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31, 2014.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life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year, religion and living standard, and their college adjustment varied with gender, academic year and living standard.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llege adjustment, and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that were the sub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The subfactors of lif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ose of college adjustment as well. In conclusion,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intervention programs geared toward relieving life str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which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campus life, and the effects of programs developed should be investigated as wel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