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문화콘텐츠기획과 세대론 = Cultural Contents Planning and Generational Dis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7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scussions on the generational theory have recently become more activ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emergence of the Digital Natives (the generation born before and after 2000) is a direct cause of interest in the generational theory. T...

      Discussions on the generational theory have recently become more active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emergence of the Digital Natives (the generation born before and after 2000) is a direct cause of interest in the generational theory. This new generation, commonly referred to as Generation C or Generation Z, is “no longer the successors of the Generation X or Generation Y”(R. Giry). That way, Generation C show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consciousness, generation value, behavior style, communication method, and culture consumption behavior.
      It is not just that we are interested in Generation C because it is a generation different, established generations such as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The more direct reason is that a new generation, who is accustomed to thinking and acting in the same way as peer groups, is born and raised in an everyday world and becomes a major decision maker and actor in every society in 20 years. As well as “consomm’acteur”(R. Morin).
      Cultural contents planning without precise understanding of Generation C, which will serve as a barometer of future cultural contents market, is more likely to be a ‘worthless effort’. If we consider Generation C, which is the generation of digital + emotion, to be the ‘Golden Fishing Ground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n a generational study on it is inevitable. In this paper, we will propose in terms of the theo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generation theory that it is time to diversify and itemize cultural contents planning by raising such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대론에 관한 논의가 최근 국내외적으로 활기를 띄고 있다. ‘디지털 원주민’ 세대(2000년 전후에 태어난 세대)의 등장이 세대론에 대한 관심을 추동시킨 직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C세...

      세대론에 관한 논의가 최근 국내외적으로 활기를 띄고 있다. ‘디지털 원주민’ 세대(2000년 전후에 태어난 세대)의 등장이 세대론에 대한 관심을 추동시킨 직접적 원인이라 할 수 있다. C세대 또는 Z세대로 통칭되는 이 신세대는 “X세대나 Y세대의 계승자가 더 이상 아니다.”(R. Giry) 그 정도로 C세대는 기성세대와 세대의식, 세대가치, 행동양식, 직업관, 의사소통방식, 문화소비 행태 등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우리가 C세대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단순히 베이비부머세대, X세대, Y세대 등 기성세대와 세대차이가 난다는 점 때문만은 아니다. 더 직접적 이유는 이들 인터넷 환경이 일상화된 세계에서 출생하고 성장한 세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또래집단과 같은 방식으로 사고하고 같은 방식으로 행동하는데 익숙한 신세대가 20년 후면 모든 사회의 주요 의사결정자 및 행위자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소비주동자(consomm’acteur)”(R. Morin)로 부상할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미래의 문화콘텐츠시장의 바로미터 역할을 할 C세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는 문화콘텐츠기획은 ‘보람 없는 수고’에 그칠 확률이 높다. 우리가 만일 ‘디지털 + 감성의 세대’인 C세대를 문화콘텐츠산업의 ‘황금어장’이라고 생각한다면, 이에 대한 세대론적 연구는 필수적일 수밖에 없지 않은가. 본고에서 우리는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통해 문화콘텐츠기획의 다변화·세분화가 필요한 때라는 점을 세대론의 관점에서, 시론적으로, 제안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재, "한국의 세대론과 세대문화코드" 2004

      2 Fromm, J, "최강소비권력 Z세대가 온다" 홍익출판사 2018

      3 박치완, "진정한 글로벌 가치란? - 서구 중심적 세계관에서 로컬 중심적 세계관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58 (58): 237-262, 2019

      4 박길성, "왜 세대인가" (54) : 2002

      5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결과 창의의 아이콘, C제너레이션" 2 (2): 2017

      6 송도영, "소비사회의 전개와 한국 세대문화론의 시각" (5) : 2003

      7 박재흥, "세대연구의 이론적ㆍ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회 24 (24): 47-78, 2001

      8 허석재, "세대연구의 경향과 쟁점" 미래정치연구소 5 (5): 21-47, 2015

      9 김선기, "세대연구를 다시 생각한다 : 세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문화사회학회 17 : 207-248, 2014

      10 박재흥,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판사회학회 (81) : 10-34, 2009

      1 김희재, "한국의 세대론과 세대문화코드" 2004

      2 Fromm, J, "최강소비권력 Z세대가 온다" 홍익출판사 2018

      3 박치완, "진정한 글로벌 가치란? - 서구 중심적 세계관에서 로컬 중심적 세계관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58 (58): 237-262, 2019

      4 박길성, "왜 세대인가" (54) : 2002

      5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결과 창의의 아이콘, C제너레이션" 2 (2): 2017

      6 송도영, "소비사회의 전개와 한국 세대문화론의 시각" (5) : 2003

      7 박재흥, "세대연구의 이론적ㆍ방법론적 쟁점" 한국인구학회 24 (24): 47-78, 2001

      8 허석재, "세대연구의 경향과 쟁점" 미래정치연구소 5 (5): 21-47, 2015

      9 김선기, "세대연구를 다시 생각한다 : 세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문화사회학회 17 : 207-248, 2014

      10 박재흥,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판사회학회 (81) : 10-34, 2009

      11 전상진, "세대 개념의 과잉, 세대연구의 빈곤-세대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학회 38 (38): 31-52, 2004

      12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13 Martin, J., "The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Fact or fiction?" (290-291) : 2012

      14 Corsten, M., "The Time of Generations" 8 (8): 1999

      15 Taylor, P., "The Next America: Boomers, Millennials and the Generational Showdown" PublicAffairs 2014

      16 OECD, "The Future of Families to 2030 : A Synthesis Report" OECD Publications 2011

      17 Baudrillard, J., "Simulacres et Simulation" Galilée 1981

      18 Buffel, T., "Promoting Sustainable Communities Through Intergenerational Practice" 116 : 2014

      19 Işıtman, O., "Producers of contemporary art: X, Y, Z generations" (7) : 2017

      20 Levit, A., "Make Way for Generation Z"

      21 Boström, A, "Lifelong learning, intergenerational learning, and social capital:From theory to practice" 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Stockholm University 2003

      22 Sirinelli, J. -F., "Les baby-boomers. Une generation, 1945-1969" Hachette 2003

      23 Castarede, M. -F., "Le nouveau choc des générations" Plon 2015

      24 Préel, B., "Le Choc des générations" Découverte 2000

      25 Baudrillard, J., "La Société de consommation" Gallimard 1970

      26 Sanchez, M., "Intergenerational programmes : Towards a society for all ages" 6 (6): 2008

      27 Strauss, W, "Generations: The History of Americas Future, 1584 to 2069" William Morrow 1991

      28 Joshi, A., "Generations in organizations" 31 : 2011

      29 Twenge, J, "Generation Me - Revised and Updated: Why Today's Young Americans Are More Confident, Assertive, Entitled and More Miserable Than Ever Before" Atria Books 2006

      30 Dejoux, C., "Diversité générationnelle : implications, principes et outils de management" (43) : 2011

      31 Masson, A., "Des liens et des transferts entre générations" Editions de l'EHESS 2009

      32 Berger, A. A., "Cultural Perspectives on Millennials" Palgrave Macmillan 2018

      33 Abrioux, F., "Comment nuancer l’approche générationnelle des attitudes au travail?" (4) : 2012

      34 Monhollon, R, "Baby boom: People and Perspectives" ABC-CLIO 2010

      35 주은우, "90년대 한국의 신세대와 소비문화" 1994

      36 허지웅, "20대와 세대론의 결별" (140)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