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공격에 의한 사이버공간 전투피해평가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ssessment Method of Battle Damage in Cyberspace by Cyberattac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2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aluating battle damage after conducting an attack on selected targets during warfare is essential. However, regarding theassessment of battle damage caused by cyber-attacks, some methods available under limited circumstances have beensuggested so far.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a militarily applicable, comprehensive, and specific method of battledamage assessment from battle damage assessment methods in combat assessment theories from the understanding ofcyberspace. By using cyberspace components, this paper classifies cyber targets, suggests the assessment methods of datadamage, social cognitive damage, derived damage, and the existing battle damage assessment methods such as physicaldamage, functional damage, and target systems, and provides an example to demonstrate that this method is applicable tothe actual past cyberattack cases.
      번역하기

      Evaluating battle damage after conducting an attack on selected targets during warfare is essential. However, regarding theassessment of battle damage caused by cyber-attacks, some methods available under limited circumstances have beensuggested so fa...

      Evaluating battle damage after conducting an attack on selected targets during warfare is essential. However, regarding theassessment of battle damage caused by cyber-attacks, some methods available under limited circumstances have beensuggested so far.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a militarily applicable, comprehensive, and specific method of battledamage assessment from battle damage assessment methods in combat assessment theories from the understanding ofcyberspace. By using cyberspace components, this paper classifies cyber targets, suggests the assessment methods of datadamage, social cognitive damage, derived damage, and the existing battle damage assessment methods such as physicaldamage, functional damage, and target systems, and provides an example to demonstrate that this method is applicable tothe actual past cyberattack c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쟁수행 간 선정된 표적에 대한 공격 실행 후 전투피해를 평가하는 것은 현대전에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아직까지 사이버공격에 따른 전투피해평가 방안은 제한적인 상황 하에서 가능한 방법들만이 제안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투평가 이론상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에 근거하여 군사적으로 적용 가능한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전투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이버공간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사이버 표적을 분류하고 이를 대상으로 기존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인 물리적 피해평가, 기능적 피해평가, 표적체계 평가 외 데이터 피해 평가, 사회인식적 피해 평가, 파생적 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과거의 실제 사이버 공격 사례에 적용이 가능함을예시하였다.
      번역하기

      전쟁수행 간 선정된 표적에 대한 공격 실행 후 전투피해를 평가하는 것은 현대전에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아직까지 사이버공격에 따른 전투피해평가 방안은 제한적인 상황 하에서 ...

      전쟁수행 간 선정된 표적에 대한 공격 실행 후 전투피해를 평가하는 것은 현대전에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아직까지 사이버공격에 따른 전투피해평가 방안은 제한적인 상황 하에서 가능한 방법들만이 제안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투평가 이론상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에 근거하여 군사적으로 적용 가능한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전투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이버공간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사이버 표적을 분류하고 이를 대상으로 기존의 전투피해평가 방법인 물리적 피해평가, 기능적 피해평가, 표적체계 평가 외 데이터 피해 평가, 사회인식적 피해 평가, 파생적 피해평가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과거의 실제 사이버 공격 사례에 적용이 가능함을예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배, "효율적인 임무 피해 평가를 위한 자산-임무 의존성 모델 적용 및 최적화된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23 (23): 579-587, 2017

      2 장원구, "효과적인 사이버공간 작전수행을 위한 빅데이터 거버넌스 모델" 사)한국빅데이터학회 4 (4): 39-51, 2019

      3 강정호, "전술망 통합운용에 따른 효과적인 사이버작전을 위한 전투피해 평가모델 연구"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14 (14): 1-8, 2017

      4 김기환, "시뮬레이션 기반 육군전술지휘정보체계 웜 피해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11 (11): 43-50, 2008

      5 장월수, "군사비밀 유출에 따른 피해금액 산정을 위한 모델 연구" 고려대학교 정보보호공학전문대학원 2012

      6 Wansoo Cho, "Modeling and Simulation of Cyber Damage Assessment for Cyber Warfare Effectiveness Analysis" 3119-3125, 2016

      7 Joint Staff, "Joint Publication 3-0:Joint Operations"

      8 Hyeonsu Youn, "Development of Risk Index of Cyber Attack and Damage Assessment Priority Calculation Measures" 224-227, 2017

      9 Sunyoung Im, "Damage Assessment for Cyber Assets" 310-311, 2018

      10 Duhoe Kim, "Cyber Battle Damage Assessment Framework" 178-181, 2017

      1 전영배, "효율적인 임무 피해 평가를 위한 자산-임무 의존성 모델 적용 및 최적화된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23 (23): 579-587, 2017

      2 장원구, "효과적인 사이버공간 작전수행을 위한 빅데이터 거버넌스 모델" 사)한국빅데이터학회 4 (4): 39-51, 2019

      3 강정호, "전술망 통합운용에 따른 효과적인 사이버작전을 위한 전투피해 평가모델 연구"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14 (14): 1-8, 2017

      4 김기환, "시뮬레이션 기반 육군전술지휘정보체계 웜 피해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11 (11): 43-50, 2008

      5 장월수, "군사비밀 유출에 따른 피해금액 산정을 위한 모델 연구" 고려대학교 정보보호공학전문대학원 2012

      6 Wansoo Cho, "Modeling and Simulation of Cyber Damage Assessment for Cyber Warfare Effectiveness Analysis" 3119-3125, 2016

      7 Joint Staff, "Joint Publication 3-0:Joint Operations"

      8 Hyeonsu Youn, "Development of Risk Index of Cyber Attack and Damage Assessment Priority Calculation Measures" 224-227, 2017

      9 Sunyoung Im, "Damage Assessment for Cyber Assets" 310-311, 2018

      10 Duhoe Kim, "Cyber Battle Damage Assessment Framework" 178-181, 2017

      11 SeungKeun Yoo, "Comprehensive Approach to Evaluate the Damage of Cyberattack on the Defense Mission System" 1-11, 2018

      12 Joint Staff, "CJCSI 3162.02: Methodology for Combat Assessment"

      13 AhnLab, "AhnLabSabo Security World"

      14 "7·7 DDoS, 6.25 Cyberterror, KHNP H acking Psychological Warfare...Over a nd over again cyberattacks"

      15 "67 cyberattacks from 6.25 Cyberterror ...14 information destruction"

      16 Red Alert, "6.25 Cyber terror analysis report" NSHC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 0.50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