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의 만성 요통에 대한 중재적 근-신경 자극 요법과 프롤로테라피의 초기 효과 비교 : IMS vs Prolotherapy in chronic low back pain of the elderly = Comparison of Early effects of Interventional Muscle and Nerve Stimulation and Prolotherapy in chronic low back pain of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499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령의 노인들에게서 만성 요통은 매우 흔하며 일상 활동을 제한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급격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에서 외래에서 쉽고 빠르게 만성 요통을 치료할 수 있는 수기의 습득은 일차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가정의학과 의사의 입장에서 필수적이고 매우 유용하다. 최근에 우리나라의 일차 의료 현장에서 만성 요통에 대한 비약물적 최소 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중재적 근-신경 자극 요법(이하 IMS)과 프롤로테라피가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한 근거중심의학적인 효과의 검증이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저자는 3개월 이상의 만성 요통을 호소하는 34명의 자원자들(평균연령 82세)을 대상으로 IMS, 프롤로테라피 및 0.5% 리도카인 주사의 초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척수 분절 신경근 내측 가지의 주행 경로와 척추 주변 근육의 운동점을 바늘로 찌르는 방법인 IMS, 15% 포도당 용액을 건-골 접합부나 인대-골 접합부에 주입한 프롤로테라피, 그리고 프롤로테라피와 같은 치료 방식으로 용액만 0.5% 리도카인 용액으로 바꿔서 주입한 대조군인 0.5% 리도카인 주사의 세 가지 치료를 1주일 간격으로 각각 2회씩 시행하고 제 3주에 최종 평가하는 것을 한 주기로 하여, 총 9주 동안 일정한 순서에 따라 교차(cross-over)치료 방식으로 총 세 주기의 치료를 한 후 설문과 이학적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9주 간의 모든 교차 치료와 조사 과정을 마친 29명 (N=87)의 분석 결과, 3주 후에 IMS군만이 VAS(P<0.01), Wong-Baker FACES scale(FACES)(P<0.01), 및 수면의 질 점수(P<0.02) 모두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프롤로테라피군은 FACES 점수(P<0.04)만 유의한 호전을 보여, 오히려 VAS(P<0.01)와 FACES 점수(P<0.02)에서 호전을 보인 0.5% 리도카인 주사보다 못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각 변수들의 변화량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odified Schober 검사 결과는 치료 전에 비해 3주 후에 세 군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첫 번째 주기만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N=31), IMS군은 VAS(P<0.01), FACES(P<0.01), 및 수면의 질 점수(P<0.04)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 0.5% 리도카인 주사군도 VAS(P<0.04)와 FACES 점수(P<0.04) 및 수면의 질 점수(P<0.02)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그러나 프롤로테라피군은 모든 점수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못했다. 세 군 간 비교에서 VAS 변화량의 차이가 유의했고, IMS 치료 후의 VAS 변화량이 프롤로테라피에서보다 유의하게 컸다. Modified Schober 검사 결과는 치료 전에 비해 3주 후에 세 군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치료후 통증으로 진통제를 요구한 피험자는 단 한 명도 없었으며, 치료 후 통증의 정도는 세 치료 방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만성 요통을 호소하는 노인들에 대하여 3주 주기의 교차 치료 방식으로 IMS, 프롤로테라피 및 0.5% 리도카인 주사로 치료한 결과 세 군 간의 통증 조절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차 치료에 의한 잔여 효과가 배제된 첫 번째 치료 주기의 결과만으로는 단기간의 통증 조절에 IMS 치료가 프롤로테라피보다 효과적이었다.
      번역하기

      고령의 노인들에게서 만성 요통은 매우 흔하며 일상 활동을 제한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급격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에서 외래에서 쉽고 빠르게 만성 요통을 치료...

      고령의 노인들에게서 만성 요통은 매우 흔하며 일상 활동을 제한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급격한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의 우리나라 상황에서 외래에서 쉽고 빠르게 만성 요통을 치료할 수 있는 수기의 습득은 일차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가정의학과 의사의 입장에서 필수적이고 매우 유용하다. 최근에 우리나라의 일차 의료 현장에서 만성 요통에 대한 비약물적 최소 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중재적 근-신경 자극 요법(이하 IMS)과 프롤로테라피가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한 근거중심의학적인 효과의 검증이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저자는 3개월 이상의 만성 요통을 호소하는 34명의 자원자들(평균연령 82세)을 대상으로 IMS, 프롤로테라피 및 0.5% 리도카인 주사의 초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척수 분절 신경근 내측 가지의 주행 경로와 척추 주변 근육의 운동점을 바늘로 찌르는 방법인 IMS, 15% 포도당 용액을 건-골 접합부나 인대-골 접합부에 주입한 프롤로테라피, 그리고 프롤로테라피와 같은 치료 방식으로 용액만 0.5% 리도카인 용액으로 바꿔서 주입한 대조군인 0.5% 리도카인 주사의 세 가지 치료를 1주일 간격으로 각각 2회씩 시행하고 제 3주에 최종 평가하는 것을 한 주기로 하여, 총 9주 동안 일정한 순서에 따라 교차(cross-over)치료 방식으로 총 세 주기의 치료를 한 후 설문과 이학적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9주 간의 모든 교차 치료와 조사 과정을 마친 29명 (N=87)의 분석 결과, 3주 후에 IMS군만이 VAS(P<0.01), Wong-Baker FACES scale(FACES)(P<0.01), 및 수면의 질 점수(P<0.02) 모두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프롤로테라피군은 FACES 점수(P<0.04)만 유의한 호전을 보여, 오히려 VAS(P<0.01)와 FACES 점수(P<0.02)에서 호전을 보인 0.5% 리도카인 주사보다 못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각 변수들의 변화량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odified Schober 검사 결과는 치료 전에 비해 3주 후에 세 군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첫 번째 주기만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N=31), IMS군은 VAS(P<0.01), FACES(P<0.01), 및 수면의 질 점수(P<0.04)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고, 0.5% 리도카인 주사군도 VAS(P<0.04)와 FACES 점수(P<0.04) 및 수면의 질 점수(P<0.02)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그러나 프롤로테라피군은 모든 점수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못했다. 세 군 간 비교에서 VAS 변화량의 차이가 유의했고, IMS 치료 후의 VAS 변화량이 프롤로테라피에서보다 유의하게 컸다. Modified Schober 검사 결과는 치료 전에 비해 3주 후에 세 군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치료후 통증으로 진통제를 요구한 피험자는 단 한 명도 없었으며, 치료 후 통증의 정도는 세 치료 방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만성 요통을 호소하는 노인들에 대하여 3주 주기의 교차 치료 방식으로 IMS, 프롤로테라피 및 0.5% 리도카인 주사로 치료한 결과 세 군 간의 통증 조절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차 치료에 의한 잔여 효과가 배제된 첫 번째 치료 주기의 결과만으로는 단기간의 통증 조절에 IMS 치료가 프롤로테라피보다 효과적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o compare the early effects of interventional muscle and nerve stimulation(IMS), prolotherapy and 0.5% lidocaine injection(placebo) in chronic low back pain of the elderly.
      Design: A prospective, single-blinded, cross-over trial for nine weeks.
      Participants: Twenty-nine subjects(Age 82)(N=87) with chronic low back pain.
      Results: IMS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s of visual analog scale(P<0.01), Wong-Baker FACES scale(P<0.01), and quality of sleep(P<0.02) after 3 weeks. Prolotherapy showed improvement only in Wong-Baker FACES scale(P<0.04), and 0.5% lidocaine injection in visual analog scale(P<0.01) and Wong-Baker FACES scale(P<0.02). Concerning modified Schober test, IMS resulted in improvement on week 1 and the effect continued for 3 weeks. Prolotherapy showed improvement on week 1, but did not continue the effect after 3 weeks. 0.5% lidocaine injection did not show improvement on week 1, nor continued the effect after 3 week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y values of Week 0 and Week 3 among three methods after the cross-over trial. But after the first cycle, that is free of “residual effects of previous treatm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VAS scores among three methods and IMS reduced VAS scores more significantly than prolotherapy. None of the participants requested analgesic medicine after each treatment.
      Conclusion: In short term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of the elder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ain relief among IMS, prolotherapy and 0.5% lidocaine injection after cross-over trial. However, after the first cycle of treatment which is free of residual effect by cross-over design, IMS showed more significant reduction of pain than prolotherapy.
      번역하기

      Objectives: To compare the early effects of interventional muscle and nerve stimulation(IMS), prolotherapy and 0.5% lidocaine injection(placebo) in chronic low back pain of the elderly. Design: A prospective, single-blinded, cross-over trial for nin...

      Objectives: To compare the early effects of interventional muscle and nerve stimulation(IMS), prolotherapy and 0.5% lidocaine injection(placebo) in chronic low back pain of the elderly.
      Design: A prospective, single-blinded, cross-over trial for nine weeks.
      Participants: Twenty-nine subjects(Age 82)(N=87) with chronic low back pain.
      Results: IMS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s of visual analog scale(P<0.01), Wong-Baker FACES scale(P<0.01), and quality of sleep(P<0.02) after 3 weeks. Prolotherapy showed improvement only in Wong-Baker FACES scale(P<0.04), and 0.5% lidocaine injection in visual analog scale(P<0.01) and Wong-Baker FACES scale(P<0.02). Concerning modified Schober test, IMS resulted in improvement on week 1 and the effect continued for 3 weeks. Prolotherapy showed improvement on week 1, but did not continue the effect after 3 weeks. 0.5% lidocaine injection did not show improvement on week 1, nor continued the effect after 3 week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y values of Week 0 and Week 3 among three methods after the cross-over trial. But after the first cycle, that is free of “residual effects of previous treatmen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VAS scores among three methods and IMS reduced VAS scores more significantly than prolotherapy. None of the participants requested analgesic medicine after each treatment.
      Conclusion: In short term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of the elder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ain relief among IMS, prolotherapy and 0.5% lidocaine injection after cross-over trial. However, after the first cycle of treatment which is free of residual effect by cross-over design, IMS showed more significant reduction of pain than prolotherap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II. 연구목적 = 6
      • III. 연구방법 = 7
      • 1. 피험자의 선정 = 7
      • 2. 시각상사척도 등위에 의한 균등 배정 = 7
      • I. 서론 = 1
      • II. 연구목적 = 6
      • III. 연구방법 = 7
      • 1. 피험자의 선정 = 7
      • 2. 시각상사척도 등위에 의한 균등 배정 = 7
      • 3. 평가 도구 = 8
      • 4. 치료 및 평가의 과정 = 9
      • 5. 자료의 통계적 분석 = 17
      • 6. 윤리적인 문제 = 17
      • IV. 연구결과 = 19
      • 1. 연구 참여자 및 중도 탈락자의 특성 = 19
      • 2. 교차 치료 후의 요통 관련 설문 및 modified Schober 검사 결과 = 22
      • 3. 첫번째 주기 후의 요통 관련 설문 및 modified Schober 검사 결과 = 27
      • 4. 동일 치료 주기 전후의 주관적 통증 관련 수치의 군 간 비교 = 32
      • 5. 치료와 관련된 통증 = 34
      • V. 고찰 = 36
      • 1. 피험자의 특성 = 36
      • 2. 통증 관련 설문 결과 분석 = 36
      • 3. 기존 연구들과의 비교 = 39
      • 4. 요추의 운동범위 변화 분석 = 45
      • 5. 치료와 관련된 통증 = 47
      • 6. 본 연구의 제한점 = 48
      • 7. 본 연구의 보완점 = 50
      • VI. 결론 = 51
      • VII. 참고문헌 = 52
      • <부록 1> 인하대병원 IRB 조건부 승인 통지서, 기관장 확인서, 연구 참여자 동의서 = 61
      • <부록 2> 자가 기입식 설문지(시각상사척도, Wong-Baker FACES 척도) =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