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보행자 안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매우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특히 성인보다 판단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의 차대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보행자 안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매우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특히 성인보다 판단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의 차대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우리나라의 보행자 안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매우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특히 성인보다 판단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의 차대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어린이 보호구역 내 차대 보행자 사고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증진을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해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선행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의 관점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한 어린이 보호구역을 인지하는 것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증진을 위해 운전자 관점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한 어린이 보호구역의 인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에 교통안전 시설물이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어린이 보호구역이 더욱 안전할 수 있도록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구역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물의 요인을 도출하고, 설문조사 및 주행속도 측정 실험을 통해 운전자의 관점에서 가장 적합한 교통안전 시설물을 파악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한 시설물의 평가 요인은 시인성, 디자인, 정보 전달성, 효과성 총 4가지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각 요인별로 교통안전 시설물을 평가하여 운전자에게 가장 적합한 시설물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모든 요인에서 교통안전 시설물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인성과 디자인, 효과성 요인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시설물은 과속 경보 시스템이었다. 정보 전달성 요인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시설물은 교통안전 표지였다. 4가지 요인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시설물은 옐로 카펫이었다.
과속 경보 시스템 설치 유무에 따른 주행속도 측정 결과, 평균 주행속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차로 수가 많을 수록 평균 주행속도가 높았다. 과속 경보 시스템 설치 유무에 따른 평균 속도의 차이도 존재하였는데, 과속 경보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보다 과속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곳의 평균 주행속도가 더 낮았다. 따라서, 과속 경보 시스템의 설치는 실제 차량의 주행속도 감소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와 주행속도 측정의 결과에 근거하여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과속 경보 시스템의 설치를 적극 활용하고, 교통안전 표지를 정비하여 운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키워드: 어린이 보호구역, 교통안전 시설물 평가, 운전자 관점에서 교통안전 시설물을 통한 어린이 보호구역 인지, 주행속도 측정 실험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s pedestrian safety ranks very low among OECD member countries, but the school zone is designated to prevent pedestrian accidents among children who lack judgment skills, especially adults. However, research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school z...
Korea's pedestrian safety ranks very low among OECD member countries, but the school zone is designated to prevent pedestrian accidents among children who lack judgment skills, especially adults. However, research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school zone is steadily underway because pedestrian accidents in the domestic school zone are still high. Among them,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safety of school zon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However,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school zon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drivers was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ognition of school zones through traffic safety facilities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to improve the safety of school zones.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facilities that could affect drivers' awareness of school zones were derived, and the most suitable traffic safety facilities were identified 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through questionnaires and speed measurement experiments.
The evaluation factors of facilitie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ere four factors: visibility, desig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effectiveness. Through the survey, traffic safety facilities were evaluated for each factor and the best facilities for drivers were selected. The surve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all factors. The facility that was most appreciated for its visibility, design and effectiveness was the speeding warning system. Traffic safety signs were the most highly regarded facilities for communicative factors. The facility that received the lowest rating for four factors was the yellow carpet.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driving spe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eding warning system, the average driving spe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er the number of lanes, the higher the average spee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average spe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speeding warning system was installed, but the average driving speed where a speeding warning system was installed was lower than where a speeding warning system was not install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peeding warning system had an effec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actual vehic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speed measurement conducted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school zon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installation of a speeding warning system, improve traffic safety signs, and effectively communicate information to driv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