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차이: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영향과 가치, 부모-자녀 관계, 규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group and parents group in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figure out the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group and parents group in the sub-dimensions of perceptions on online games, such as harmfulness and benefits of online games, impacts and values of online game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and government regulation of online games. To this end, we conducted online survey targeting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middle or high school regarding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generation in the sub-dimensions of perceptions on online games. Especially,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generation in the perceptions on violence and sociality of online gam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generation gap in these two factors may cause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Also, we ascertained the significant generation gap in the perception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This result implies that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dolescents in real life was reflected in the perception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Our contributions are in specifying the generation gap in the sub-dimensions of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and in identifying the main causes of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group and adolescent grou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figure out the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group and parents group in the sub-dimensions of perceptions on online games, such as harmfulness and benefits of online games, impacts and values of online games, paren...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figure out the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group and parents group in the sub-dimensions of perceptions on online games, such as harmfulness and benefits of online games, impacts and values of online game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and government regulation of online games. To this end, we conducted online survey targeting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middle or high school regarding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generation in the sub-dimensions of perceptions on online games. Especially,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generation in the perceptions on violence and sociality of online gam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generation gap in these two factors may cause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Also, we ascertained the significant generation gap in the perception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This result implies that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dolescents in real life was reflected in the perception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Our contributions are in specifying the generation gap in the sub-dimensions of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and in identifying the main causes of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group and adolescent grou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 세대 집단과 청소년 세대 집단이 온라인 게임 인식의 주요 하위 차원인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과 유익성, 온라인 게임의 영향과 가치,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 온라인 게임 규제에 대해 어떠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고, 각 세대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 고등학생 청소년 155명과 중, 고등학생 부모 192명, 총 3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 인식 척도 문항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게임 인식의 주요 하위 차원에서 부모 세대 집단과 청소년 세대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온라인 게임의 폭력성과 사회성 항목에서 부모 집단과 청소년 집단의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이 두 영역에 대한 세대 간의 인식의 차이가 온라인 게임을 둘러싼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갈등의 중요한 지점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도 세대 집단 간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 청소년 시기 발달 과정 속에서의 부모-자녀 관계가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 상황에서 직면하는 구체적인 활동 수준에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세대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세밀하게 조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부모-자녀 갈등의 원인이 되는 구체적인 지점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는 데에서 실용적인 시사점을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모 세대 집단과 청소년 세대 집단이 온라인 게임 인식의 주요 하위 차원인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과 유익성, 온라인 게임의 영향과 가치,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 ...

      본 연구는 부모 세대 집단과 청소년 세대 집단이 온라인 게임 인식의 주요 하위 차원인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과 유익성, 온라인 게임의 영향과 가치,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 온라인 게임 규제에 대해 어떠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고, 각 세대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 고등학생 청소년 155명과 중, 고등학생 부모 192명, 총 3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 인식 척도 문항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게임 인식의 주요 하위 차원에서 부모 세대 집단과 청소년 세대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온라인 게임의 폭력성과 사회성 항목에서 부모 집단과 청소년 집단의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이 두 영역에 대한 세대 간의 인식의 차이가 온라인 게임을 둘러싼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갈등의 중요한 지점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도 세대 집단 간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 청소년 시기 발달 과정 속에서의 부모-자녀 관계가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 상황에서 직면하는 구체적인 활동 수준에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세대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세밀하게 조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부모-자녀 갈등의 원인이 되는 구체적인 지점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는 데에서 실용적인 시사점을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연,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13 (13): 91-104, 2013

      2 황상민, "사이버 공간의 경험에서 나타난 부모세대와 청소년 세대집단 간의 의식 특성" 13 (13): 145-158, 2000

      3 Shaffer, D.,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4 이투데이, "문화부, 준비되는 업체부터 ‘선택적 셧다운제’ 도입"

      5 Subrahmanyam, K.,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읽기" 에코리브르 2014

      6 김지연, "디지털 시대의 부모-자녀 관계: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미치는 부모 요인의 영향" 2014

      7 강신규, "디지털 게임의 자율규제 방안에 관한 비교분석적 접근" 한국게임학회 12 (12): 107-119, 2012

      8 Back, J. C., "게임세대 회사를 점령하다" 세종서적 2006

      9 김성동, "게임 이용에 따른 부모와 자녀들간의 가정문화 관계에 관한 연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1 (11): 47-54, 2007

      10 김지연, "게임 셧다운제에 대한 부모들의 다양한 인식과 자녀들의 올바른 게임 이용을 위한 사회문화적 개입 전략" 한국청소년학회 19 (19): 55-84, 2012

      1 김지연,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13 (13): 91-104, 2013

      2 황상민, "사이버 공간의 경험에서 나타난 부모세대와 청소년 세대집단 간의 의식 특성" 13 (13): 145-158, 2000

      3 Shaffer, D.,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5

      4 이투데이, "문화부, 준비되는 업체부터 ‘선택적 셧다운제’ 도입"

      5 Subrahmanyam, K.,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읽기" 에코리브르 2014

      6 김지연, "디지털 시대의 부모-자녀 관계: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미치는 부모 요인의 영향" 2014

      7 강신규, "디지털 게임의 자율규제 방안에 관한 비교분석적 접근" 한국게임학회 12 (12): 107-119, 2012

      8 Back, J. C., "게임세대 회사를 점령하다" 세종서적 2006

      9 김성동, "게임 이용에 따른 부모와 자녀들간의 가정문화 관계에 관한 연구"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1 (11): 47-54, 2007

      10 김지연, "게임 셧다운제에 대한 부모들의 다양한 인식과 자녀들의 올바른 게임 이용을 위한 사회문화적 개입 전략" 한국청소년학회 19 (19): 55-84, 2012

      11 Shaw, A., "What is video game culture? Cultural studies and game studies" 5 (5): 403-424, 2010

      12 Skoien, P., "Video games: Parental beliefs and practices"

      13 Wang, R., "Teenager's Internet use and family rules : A research note" 67 : 1249-1258, 2005

      14 Wood, R. T. A., "Problems with the concept of video game addiction : Some case study examples" 6 (6): 169-178, 2008

      15 Nikken, P., "Parents' interest in videogame ratings and content descriptors in relation to game mediation" 22 (22): 315-336, 2007

      16 Kutner, L. A., "Parents' and sons' perspectives on video game play : A qualitative study" 23 (23): 76-96, 2008

      17 Eastin, M. S., "Parenting the Internet" 56 : 486-504, 2006

      18 Eklund, L., "Parental mediation of digital gaming and internet use" 63-70, 2013

      19 Nikken, P.,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video game playing : A comparison of the reports by parents and children. Learning" 31 (31): 181-202, 2006

      20 Nathanson, A. I., "Mediation of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 Working toward conceptual clarity and common understanding" 25 : 115-151, 2001

      21 Hill, J. P., "Early adolescence: A research agenda" 3 : 1-21, 1983

      22 Havighurst, R. J.,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David McKay Company 1972

      23 Holloway, S. L., "Cyberkids: Children in the information age" Routledge 2003

      24 Lee, S., "Children's internet use in a family context : Influence on family relationships and parental mediation" 10 (10): 640-644, 2007

      25 Cho, C. H., "Children's exposure to negative Internet content : Effects of family context" 49 (49): 488-509, 2005

      26 Mumtaz, S., "Children's enjoyment and perception of computer use in the home and the school" 36 : 347-362, 2001

      27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