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과 외부효과를 고려한 인구이동 흐름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 Empirical Analysis of a Migration Flows Model Considering Network Autocorrelation and Network Extern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1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internal migration studies in Korean have employed spatial econometrics models in order to control spatial autocorrelation in migration stocks among regions.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and the network-externality can affect the migration flows between different origin-destination combination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migration flows model that incorporates network autocorrelation and its external impact. Such model is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igration flows in Korea. This study combines a gravity model and a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into one migration flows model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influence 6,724 migration flows among 82 c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network autocorrelation in migration flows. Furthermore, cities that previously developed strong migration networks are found to accumulate high migration due to the network externality. This study shows that migration flows modeling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for network autocorrelation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gravity model. In addition, the migration flows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produce more logically intuitive parameter estimates. Finally, a policy implication is provided that regional migration policies need cooperative planning among neighboring regions.
      번역하기

      Most internal migration studies in Korean have employed spatial econometrics models in order to control spatial autocorrelation in migration stocks among regions.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and the network-externality c...

      Most internal migration studies in Korean have employed spatial econometrics models in order to control spatial autocorrelation in migration stocks among regions.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and the network-externality can affect the migration flows between different origin-destination combination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migration flows model that incorporates network autocorrelation and its external impact. Such model is us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igration flows in Korea. This study combines a gravity model and a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into one migration flows model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influence 6,724 migration flows among 82 c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network autocorrelation in migration flows. Furthermore, cities that previously developed strong migration networks are found to accumulate high migration due to the network externality. This study shows that migration flows modeling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for network autocorrelation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gravity model. In addition, the migration flows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produce more logically intuitive parameter estimates. Finally, a policy implication is provided that regional migration policies need cooperative planning among neighboring reg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구이동에 관한 기존 국내 연구에서는 전입지 또는 전출지 주변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통제하기 위해 공간계량모델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인구이동 흐름에서도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구이동 흐름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의 외부효과로 인해 특정지역으로의 누적적인 이동으로 인해 인구 집중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이동 흐름에서 나타나고 있는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과 네트워크의 외부효과를 고려한 인구이동 흐름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델은 중력모델에 공간자기회귀모델을 통합한 모델이다. 82개 도시들 간에 이루어지는 6,724개 네트워크 상에서의 이동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모델의 추정결과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이 존재하며. 네트워크 외부효과로 인해 기존에 누적적으로 이동 네트워크가 잘 발달된 도시로 이동량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을 통제한 인구이동 모델이 전통적 중력모델보다 설명력을 더 증가시키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구축한 인구이동 흐름모델에서 추정된 계수들이 논리적으로 더 직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향후 해당 지역의 인구이동 정책을 수립하는 경우 이웃하는 주변지역과 함께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인구이동에 관한 기존 국내 연구에서는 전입지 또는 전출지 주변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통제하기 위해 공간계량모델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인구이동 흐름에서도 공간적 자기...

      인구이동에 관한 기존 국내 연구에서는 전입지 또는 전출지 주변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통제하기 위해 공간계량모델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인구이동 흐름에서도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구이동 흐름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의 외부효과로 인해 특정지역으로의 누적적인 이동으로 인해 인구 집중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이동 흐름에서 나타나고 있는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과 네트워크의 외부효과를 고려한 인구이동 흐름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델은 중력모델에 공간자기회귀모델을 통합한 모델이다. 82개 도시들 간에 이루어지는 6,724개 네트워크 상에서의 이동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모델의 추정결과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이 존재하며. 네트워크 외부효과로 인해 기존에 누적적으로 이동 네트워크가 잘 발달된 도시로 이동량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의 공간 의존성을 통제한 인구이동 모델이 전통적 중력모델보다 설명력을 더 증가시키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구축한 인구이동 흐름모델에서 추정된 계수들이 논리적으로 더 직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향후 해당 지역의 인구이동 정책을 수립하는 경우 이웃하는 주변지역과 함께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주, "환경통계학" 파주: 동화기술 2007

      2 이문식, "한국의 최근 지역간 이주의 경제적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1155-1170, 2004

      3 김성태,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경제적 결정요인 : 1970-1991" 3 (3): 175-197, 1997

      4 하상근,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309-332, 2005

      5 유경문,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의 경우1966~1985 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 39 (39): 157-209, 1991

      6 이희연, "인구이동 확장모형 개발 및 실증분석" 안양 : 국토연구원 2008

      7 이희연,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흐름 분석" 국토연구원 67 : 123-142, 2010

      8 한이철,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연령대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11 (11): 59-67, 2005

      9 박헌수,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시군구의 인구 및 고용변동 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43-52, 2003

      10 Bartel, A.P., "Where do new U.S. immigrants live" 7 (7): 371-391, 1989

      1 김영주, "환경통계학" 파주: 동화기술 2007

      2 이문식, "한국의 최근 지역간 이주의 경제적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1155-1170, 2004

      3 김성태,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경제적 결정요인 : 1970-1991" 3 (3): 175-197, 1997

      4 하상근,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309-332, 2005

      5 유경문,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의 경우1966~1985 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학회 39 (39): 157-209, 1991

      6 이희연, "인구이동 확장모형 개발 및 실증분석" 안양 : 국토연구원 2008

      7 이희연,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흐름 분석" 국토연구원 67 : 123-142, 2010

      8 한이철,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연령대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11 (11): 59-67, 2005

      9 박헌수,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시군구의 인구 및 고용변동 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43-52, 2003

      10 Bartel, A.P., "Where do new U.S. immigrants live" 7 (7): 371-391, 1989

      11 Frey, W.H., "The new geography of US population shifts: trends toward Balkanization, In The state of the union: social trends" New York: Russell Sage 271-336, 1995

      12 McDonald, J. T., "The location choice of new immigrants to Canada: the role of ethnic networks In Canadian immigration policy for the 21st century" Kingston: Queen's University 2002

      13 Mitchell, J, "The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to the UK: a panel based modelling approach" NIESR Discussion Paper 2003

      14 LeSage, J, "Spatial econometric modeling of origin-destination flows" 48 (48): 941-967, 2005

      15 de la Mata T, "Social networks and trade of services: modeling interregional tourism flows with spatial & network autocorrelation effects" paper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research project TransporTrade

      16 Uhlig, H., "Regional labor markets, network externalities and migration: the case of German reunification" Kiel Working Paper 2007

      17 Zimmer, M., "Network effects on domestic migration flows across Germany– a spatial autoregressive perspective with spatially structured origin and destination effects and heteroskedastic innovations–" 9-10, 2008

      18 Fischer M, "Model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 spatial interaction data: an application to patent citation data in the European Union" 48 (48): 969-989, 2008

      19 Chun, Y. W., "Modeling network autocorrelation within migration flows by eigenvector spatial filtering" 10 (10): 317-344, 2008

      20 LeSage, J., "Knowledge spillovers across europe: evidence from a poisson spatial interaction model with spatial effects" 86 (86): 393-422, 2007

      21 LeSage, J,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Boca Raton: CRC Press 2008

      22 Gschlößl, S, "Introducing and evaluating a Gibbs sampler for spatial poisson regression models, Discussion paper 412" 2005

      23 Bauer, T., "Herd effects or migration networks? The location choice of mexican immigrants in the U.S" 26 : 199-229, 2007

      24 Chiswick, B, "Ethnic networks and language proficiency among immigrants" 9 (9): 19-35, 1996

      25 Sargento, A.,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gravity model in two different contexts: estimation and explanation" 27 : 103-127, 2007

      26 Beine, M., "Dissecting network externality in international migration, Discussion Paper 2011-09, Center for Research in Economic Analysis" University of Luxembourg 2011

      27 Chun, Y. W., "Behavioral specifications of network autocorrelation in migration modeling: an analysis of migration flows by spatial filtering" The Ohio State University 2007

      28 Lambert, D., "A two-step estimator for a spatial lag model of counts: theory, small sample performance and application" 40 : 241-252, 2010

      29 Lebreton M, "A spatial interaction models with spatial dependence for trade flows in oceania: a preliminary analysis" Spatial Econometrics and Statistics,Besancon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72 0.92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