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신문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의 정보격차 이슈를 비교분석하였다.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BigKinds)와 구글뉴스검색을 통해 다문화 정보격차와 관련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06387
2021
-
다문화 ; 정보격차 ; 코로나19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신문기사 ; multiculture ; digital divide ; COVID-19 ; keyword network analysis ; newspaper
350
KCI등재
학술저널
37-5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신문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의 정보격차 이슈를 비교분석하였다.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BigKinds)와 구글뉴스검색을 통해 다문화 정보격차와 관련된...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신문기사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의 정보격차 이슈를 비교분석하였다. 뉴스 빅데이터 시스템인 빅카인즈(BigKinds)와 구글뉴스검색을 통해 다문화 정보격차와 관련된 뉴스내용을 키워드 빈도, 키워드 네트워크, 키워드 군집 등의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정보격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코로나19 이후 높아졌으며, 다문화 정보격차의 핵심 이슈는공통적으로 다문화가정과 교육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정보격차와 관련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있는 주제는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전시기에는 학교 밖의 지원을, 코로나19 이후시기에는 학교교육을 중점적으로 보도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시기에다문화 집단을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다문화 정보격차를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는신문기사를 바탕으로 형성된 국내 다문화정보격차 관련 이슈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문화 정보격차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정책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것이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issues addressed in newspaper articles before and after COVID-19. This study analyzes of keyword frequency, keyword network and cluster for news contents related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t...
This study compares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issues addressed in newspaper articles before and after COVID-19. This study analyzes of keyword frequency, keyword network and cluster for news contents related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through BigKinds and Google News Search. As a result, social interest in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has increased after COVID-19. The core issues of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that appeared in all periods before and after COVID-19 were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 However, it found that the topics focused on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differ depending on the period. Before COVID-19, the main report was the support programs outside the school. On the other hand, after COVID-19, school education-centered support to solve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was mainly reported, and the multicultural group was classified in details. Also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was approached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 a new research method by analyzing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based on newspaper articles. Through continuos research, it is expected to find the comprehensive policy measures to resolve the multicultural digital divide.
목차 (Table of Contents)
산림 내 연료 수분함량이 산불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홍릉숲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원격탐사와 수재해 정보 플랫폼을 이용한 홍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기후변화 언론보도 빅데이터 분석:시기 및 언론사 정치적 성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