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운기업의 해상공급사슬보안과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and Risk Management Strategies of Shipping Indus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51309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해운항만물류학과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영란

      • UCI식별코드

        I804:21028-200000186659

      • 소장기관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선진국과 국제무역기구의 동향에 따르면 911테러 이후 국제 사회의 주요 이슈로 공항과 항만 등을 비롯하여 국제물류 전 단계에서의 보안과 효율성 강화, WCO, 미국, EU가 주도하는 무역안전망 확보를 위한 국제물류보안체제 구축이 적
      극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보안사고의 현황과 원인을 파악하여 선박보안관리의 특성을 조사하고 선박보안관리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상공급사슬보안의 개념과 특징, 보안위험과 공급사슬의 취약성을 조사하였다.
      국제기구의 해상공급사슬보안제도 및 주요국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인증제도 현황을 분석하여 해상공급사슬보안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모든 물류 구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 공격과 같은 보안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해상공급사슬이 실시간으로
      원활히 운영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해운회사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요소 및 범위를 확립하고, 보안위험을 예방하고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립된 대책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유형별 해상보안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안체계 구축 방법과 해운회사의 해상공급사슬 보안사고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선진국과 국제무역기구의 동향에 따르면 911테러 이후 국제 사회의 주요 이슈로 공항과 항만 등을 비롯하여 국제물류 전 단계에서의 보안과 효율성 강화, WCO, 미국, EU가 주도하는 무역...

      최근 선진국과 국제무역기구의 동향에 따르면 911테러 이후 국제 사회의 주요 이슈로 공항과 항만 등을 비롯하여 국제물류 전 단계에서의 보안과 효율성 강화, WCO, 미국, EU가 주도하는 무역안전망 확보를 위한 국제물류보안체제 구축이 적
      극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보안사고의 현황과 원인을 파악하여 선박보안관리의 특성을 조사하고 선박보안관리시스템의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상공급사슬보안의 개념과 특징, 보안위험과 공급사슬의 취약성을 조사하였다.
      국제기구의 해상공급사슬보안제도 및 주요국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인증제도 현황을 분석하여 해상공급사슬보안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모든 물류 구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 공격과 같은 보안 사고를 예방함으로써 해상공급사슬이 실시간으로
      원활히 운영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해운회사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요소 및 범위를 확립하고, 보안위험을 예방하고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립된 대책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유형별 해상보안위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안체계 구축 방법과 해운회사의 해상공급사슬 보안사고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리스크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advanced countries and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s, the strengthening of security and efficiency of international logistics such as airports and seaports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fter 9.11 terrorist attack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logistics security system has been actively promoted to secure trade safety net led by WCO, U.S. and EU.
      In this study, the status and cause of ship security accidents were identif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hip security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the ship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security risk and vulnerabilities in the supply chain were researched.
      Further, the current status of the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system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of major countries were analyzed and derived implications to ensure that the logistics security system is operated in real time by improving problems in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and preventing security accidents such as possible terror attacks in all logistics sections.
      In addition,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o establish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elements and scope of the shipping companies, and establish measures to prevent security risks and reduce risks of the shipping companies.
      Through this, effective risk management strategies for security accidents of shipping companies are proposed by establishing a personal and physical security system to effectively cope with each type of maritime security risk.
      번역하기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advanced countries and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s, the strengthening of security and efficiency of international logistics such as airports and seaports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advanced countries and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s, the strengthening of security and efficiency of international logistics such as airports and seaports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fter 9.11 terrorist attack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logistics security system has been actively promoted to secure trade safety net led by WCO, U.S. and EU.
      In this study, the status and cause of ship security accidents were identif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hip security management and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the ship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security risk and vulnerabilities in the supply chain were researched.
      Further, the current status of the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system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of major countries were analyzed and derived implications to ensure that the logistics security system is operated in real time by improving problems in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and preventing security accidents such as possible terror attacks in all logistics sections.
      In addition,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o establish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elements and scope of the shipping companies, and establish measures to prevent security risks and reduce risks of the shipping companies.
      Through this, effective risk management strategies for security accidents of shipping companies are proposed by establishing a personal and physical security system to effectively cope with each type of maritime security ris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 제2장 선박 보안사고 현황
      • 제1절 선박 보안사고 실태
      • 제2절 선박 보안사고 원인
      • 제1장 서 론
      • 제2장 선박 보안사고 현황
      • 제1절 선박 보안사고 실태
      • 제2절 선박 보안사고 원인
      • 제3장 이론적 고찰
      • 제1절 해상공급사슬보안 (maritime supply chain security)
      • 1. 해상공급사슬보안의 개념
      • 2. 해상공급사슬보안의 특징
      • 3. 보안위험과 공급사슬의 취약성
      • 제2절 국제기구의 해상공급사슬보안제도
      • 1. 국제표준화기구의 ISO 28000
      • 2. 국제관세기구의 WCO Framework
      • 3. 국제해사기구의 ISPS Code
      • 제3절 주요국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인증제도
      • 1. 미국의 C-TPAT
      • 2. EU의 AEO
      • 3. 싱가포르의 STP
      • 4. TAPA
      • 제4장 해상공급사슬보안과 위험관리 전략
      • 제1절 해운기업의 해상공급사슬보안 활동
      • 1. 해운기업의 해상공급사슬보안 요소 및 범위
      • 2. 해운기업의 보안위험의 예방
      • 제2절 해운기업의 보안사고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전략
      • 1. 위험관리전략
      • 2. 공급사슬 보안기술의 활용
      • 제5장 결 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