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for Elderly' on Quality of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6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ooked into 242 old people over 65 years who continued to participate in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for Elderly’ conducted as part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4 cities including S cit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tion by comparing their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In order to measure quality of life, it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QOL-BREF. The data assessment was made by SPSS 18.0 Ver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urned out as follow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turned out significantly improved as whole(p<.001). Looking into the sub-variables, we saw that 'social relationship' increased by 0.52, which showed greatest improvement among all the sub-factors.
      'Physical health' and 'environment' were also see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by 0.46 and 0.09, respectively. Only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domain was increased slightly, it didn’t turn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original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be achieved.
      번역하기

      This study looked into 242 old people over 65 years who continued to participate in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for Elderly’ conducted as part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4 cities including S city to ver...

      This study looked into 242 old people over 65 years who continued to participate in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for Elderly’ conducted as part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4 cities including S cit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tion by comparing their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In order to measure quality of life, it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QOL-BREF. The data assessment was made by SPSS 18.0 Ver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urned out as follow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turned out significantly improved as whole(p<.001). Looking into the sub-variables, we saw that 'social relationship' increased by 0.52, which showed greatest improvement among all the sub-factors.
      'Physical health' and 'environment' were also see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by 0.46 and 0.09, respectively. Only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domain was increased slightly, it didn’t turn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original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be achie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S시 등의 4개 지역에서 2012년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 24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서비스를 실시하기 전․후의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서비스의 참여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민성길 외(2000)가 개발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가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후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20.599, p<.001). 삶의 질에 대한 각 하위요인 중에서 ‘사회적 관계’영역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체적 건강’영역과 ‘환경’영역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신․심리적 건강’영역은 다소 상승하였으나, 서비스 참여 전․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서비스가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년층을 위한 사회서비스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지자체의 자율성을 강화하여 지역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내지는 영양 및 운동 등 복합적인 관리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하는 등의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S시 등의 4개 지역에서 2012년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 242명을 연구대상으...

      본 연구에서는 S시 등의 4개 지역에서 2012년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 24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서비스를 실시하기 전․후의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서비스의 참여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민성길 외(2000)가 개발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가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후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20.599, p<.001). 삶의 질에 대한 각 하위요인 중에서 ‘사회적 관계’영역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체적 건강’영역과 ‘환경’영역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신․심리적 건강’영역은 다소 상승하였으나, 서비스 참여 전․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서비스가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년층을 위한 사회서비스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지자체의 자율성을 강화하여 지역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내지는 영양 및 운동 등 복합적인 관리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하는 등의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성길,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의 개발" 39 (39): 571-579, 2000

      2 신창환, "한국의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공급구조와 바우처 작동기제에 관한 연구 -ADHD 아동 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99-420, 2010

      3 남찬섭,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에서 바우처의 의미와 평가" 26 : 7-45, 2008

      4 배상열,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55-266, 2010

      5 이윤경,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6 이홍구, "캐나다 밴쿠버의 체육시설 및 프로그램 탐색" 37 : 51-59, 2007

      7 류진석,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특징과 쟁점 : 대전광역시 지역개발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1 (21): 85-108, 2010

      8 한미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성과에 대한 실증 연구: 「취약가정 아동 집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177-200, 2012

      9 조성숙,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재이용의사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대구지역 아동정서발달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3 (13): 127-148, 2012

      10 표갑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환경이 이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7 (37): 1-21, 2011

      1 민성길,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의 개발" 39 (39): 571-579, 2000

      2 신창환, "한국의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공급구조와 바우처 작동기제에 관한 연구 -ADHD 아동 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99-420, 2010

      3 남찬섭,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에서 바우처의 의미와 평가" 26 : 7-45, 2008

      4 배상열,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55-266, 2010

      5 이윤경,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 분석 및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6 이홍구, "캐나다 밴쿠버의 체육시설 및 프로그램 탐색" 37 : 51-59, 2007

      7 류진석,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특징과 쟁점 : 대전광역시 지역개발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1 (21): 85-108, 2010

      8 한미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성과에 대한 실증 연구: 「취약가정 아동 집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177-200, 2012

      9 조성숙,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서비스 품질과 재이용의사에 대한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대구지역 아동정서발달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3 (13): 127-148, 2012

      10 표갑수,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환경이 이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7 (37): 1-21, 2011

      11 이남국,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CSI)에서 분권형 정부간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방자치단체 담당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83-106, 2009

      12 김은정,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이용자의 서비스 효과성 인식과 관련요인" 3 (3): 67-94, 2011

      13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안내"

      14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만족도 조사" 보건복지부 2011

      15 김창환, "지역사회 노인운동 정책수립" 보건복지부 2011

      16 신광택, "지역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 및 체력상태와 객관적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511-522, 2007

      17 김은정, "지방화 관점에서 본 사회서비스 확충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1 (31): 79-103, 2007

      18 박정임,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33-62, 2012

      19 신윤희, "재가노인의 기분상태에 관한 연구" 17 (17): 194-505, 1997

      20 이은주, "재가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서비스 이용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0 (30): 171-190, 2005

      2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2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통계청 2012

      23 남기민,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2 (52): 325-348, 2011

      24 손신영,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 15 (15): 99-107, 2009

      25 노은이, "서울시 노인 여가스포츠 활성화 방안" 10 (10): 53-68, 2009

      26 최명심, "삶의 의미 수준과 자존감,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및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6 (16): 363-377, 2011

      27 김종건, "사회서비스시장 형성에 지자체가 미치는 영향 - 경남지역 산모신생아도우미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2 (32): 85-105, 2010

      28 최은영, "사회서비스 품질 요소로서 제공인력의 근무특성 :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101-121, 2010

      29 이재원, "사회서비스 정책의 전개과정과 정책과제 :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333-359, 2012

      30 강혜규, "사회서비스 공급의 역할분담 모형개발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31 이재원, "사회기반 확충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특성 분석: 정책 가치와 제도 그리고 개선과제" 서울행정학회 19 (19): 27-47, 2009

      32 김용하, "보건복지 분야의 향후 국정방향과 과제" 166 : 2-8, 2010

      33 주성순, "독일의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스포츠 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50 (50): 237-245, 2011

      34 도세록, "노인의 의료이용 증가와 시사점" 1-8, 2012

      35 이승범,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가 건강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8 (8): 1-17, 2004

      36 김양례, "노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건강평가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5 (45): 187-198, 2006

      37 고승덕,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38 오승환, "노인의 삶의 질 특성에 관한 연구 - 도시·농촌·어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2 (32): 119-147, 2006

      39 이평숙, "노인의 삶의 질 예측모형 구축" 18 (18): 37-61, 1998

      40 진기남, "노인의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삶의 질" 67 : 35-53, 2000

      41 이동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 (30): 93-108, 2010

      42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53 (53): 291-312, 2011

      43 이윤환,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실태와 정책과제" 192 : 40-51, 2012

      44 김정연,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30 (30): 471-484, 2010

      45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2003

      46 박석돈,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8

      47 이선희, "노인들의 규칙적인 체육활동이 노후불안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8 (28): 953-968, 2008

      48 김민영, "기관경쟁과 이용자선택이 사회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중 아동대상 대인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5 (15): 153-176, 2012

      49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연보"

      50 남찬섭, "개정 사회보장기본법의 사회서비스의 의미와 개념적 긴장"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79-100, 2012

      51 이형석, "「노인삶의질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의 표준화"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859-881, 2003

      52 "http://stats.oecd.org/index.aspx"

      53 UN,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1 Revision"

      54 Torrance, G. N., "Utility approach to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40 (40): 593-600, 1987

      55 Roulstone, A., "Understanding Disability Policy" Policy Press 2012

      56 Bowing, A., "Towards the good life" 2 : 55-81, 2001

      57 Larson, L.,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33 (33): 109-125, 1987

      58 Giddens, A., "The ThirdWay: The Renewal of Social Democracy" Polity press 1998

      59 Robb K.,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Optimismand Pessimism" 16 (16): 331-338, 2009

      60 Jack, W., "Social InvestmentFunds:AnOrganizational Approach to Improved Development Assistance" 16 (16): 109-124, 2001

      61 Raphael, D., "Quality of life in health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Sage Publications 1996

      62 Mcgilvy, J. K., "Quality of life hearing impaired olderwomen" 5 (5): 35-71, 1985

      63 Ferguson, I., "IncreasingUserChoice or Privatizing Risk?" 37 : 387-403, 2007

      64 Thompson, M. G., "Facets of support related to well-being" 5 (5): 535-544, 1990

      65 Nalin, A. S., "Exercise and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 3 (3): 197-208, 2000

      66 Pinquart, M., "Creating and Maintaining Purpose in life in old age" 27 (27): 90-115, 2002

      67 Keng, K. A., "Assessing quality of life inSingapore" 35 (35): 21-71, 1995

      68 노방환, "ADHD아동의 정서발달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255-278, 2011

      69 전종귀, "24주간의 수중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 건강관련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운동사협회 12 (12): 25-33, 2010

      70 기획재정부, "2013년 정부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기획재정부 2013

      71 고경환, "2012 OECD 공표로 본 우리의 사회복지지출 특성과 시사점" 194 : 85-95, 2012

      72 박우영,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이 농촌노인의 기초체력 및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215-226,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