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설사에서 宋代 話本小說은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전의 주류였던 문언소설에서 백화소설로 이전함에 따라 독자층이 확대 되었으며 더욱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문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47881
수원 : 경희대학교, 2009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2009. 8
2009
한국어
812 판사항(20)
경기도
86 p. : 삽도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민관동
참고문헌 : p. 84-8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소설사에서 宋代 話本小說은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전의 주류였던 문언소설에서 백화소설로 이전함에 따라 독자층이 확대 되었으며 더욱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문학...
중국 소설사에서 宋代 話本小說은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전의 주류였던 문언소설에서 백화소설로 이전함에 따라 독자층이 확대 되었으며 더욱 많은 사람이 향유할 수 있는 문학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 가운데 話本小說의 가장 오래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고 보여 지는 宋代 7편의 話本小說集인《京本通俗小說》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으로《京本通俗小說》을 자세히 분석하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및 話本小說이 창작될 수 있었고 흥성할 수 있었던 宋代 배경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京本通俗小說》및 話本小說의 발생배경을 크게 2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하고자 한다. 第 1 節에서는 宋代의 時代的 배경을 알아보고 있고, 第 2 節에서는 宋代의 文學的 배경을 파악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의 7개 작품의 內容分析에 중점을 둔다.《京本通俗小說》내용에는 당시 사람들의 사상이 반영되어있다. 그런데 7개의 작품에서 표현하는 사상적 관점은 다양하다. 따라서《京本通俗小說》의 내용분석 통해 第 1 節에서 주제사상, 第 2 節에서는 종교적 사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의 體裁, 韻文의 套語性, 白話的 언어묘사가 가지는 특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京本通俗小說》은 入話-正話-篇尾의 話本小說의 體裁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운문의 활용은 매우 특징적인데 특히 투어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이것은 구연의 흔적을 잘 보유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언어사용에 있어서 실생활 용어를 반영하는 백화를 구사하여 문학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 제 5장에서는《京本通俗小說》연구를 종결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中国古代小说发展到了宋代,出现了一个非常重要的变化,就是由以前担当主流的文言小说转变到白话小&...
中国古代小说发展到了宋代,出现了一个非常重要的变化,就是由以前担当主流的文言小说转变到白话小说"话本"。阅读小说的阶层也得到扩大,并且成为了更多人享受的一种文学形式。其中,宋代的七篇话本小说集《京本通俗小说》保留了话本小说最早的形态。本论文依照此观点对《京本通俗小说》进行分析。
第二章的研究重点是理解《京本通俗小说》及话本小说在宋代诞生和兴盛的历史背景。《京本通俗小说》及话本小说的发展背景大分为两类。第一节谈到宋代的時代背景,第二节把握宋代的文学背景。
第三章的研究重点是分析《京本通俗小说》中的七篇作品的内容。《京本通俗小说》在内容上都反映了当时人民的思想,但是七篇小说所表达的观点却是各种各样的。因此,对《京本通俗小说》内容的分析分为第一节的主题思想分析和第二节的宗教思想分析。
第四章的研究重点在分析《京本通俗小说》的体裁,韵文的套语性,白话的语言描述的特征。《京本通俗小说》保留了入话-正话-篇尾的话本小说体裁的特征,而且韵文的活用是重要的特征,特别是套语性占有重要的地位,这可以说是保留了口语的痕迹。在语言使用上用于反映现实生活的用语就是白话,相对于文言文,白话能更直接更生动的描述人物的个性,而且更容易被大众接受和吸收。
第五章是对整篇《京本通俗小说》研究的总结和归纳。
《京本通俗小说》中的故事情节生动,人物刻画,尤其是心理描写达到了一定的水平,生动、真实地反映了当时的社会生活及人民的思想。不但对小说史的研究具有很高的价值,也有相当重要的民俗、语言研究价值。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