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로, 작품 속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설화문학의 세부 갈래 중 하나인 전설 문학은 세계의 우위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4402
한명숙 (공주교육대학교)
2025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 Legend ; this World ; the Afterlife ; Deokjin Bridge ; View of Life and Death ; 설화문학 ; 전설 ; 이승 ; 저승 ; 덕진 다리 ; 생사관
KCI등재후보,미등재
학술저널
5-49(4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로, 작품 속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설화문학의 세부 갈래 중 하나인 전설 문학은 세계의 우위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문학은 인간의 삶을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로, 작품 속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설화문학의 세부 갈래 중 하나인 전설 문학은 세계의 우위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벌이면서 세계의 경이로움을 보여주는 특성을 가지는데, 저승 설화 혹은 저승 재물 차용 설화 중에 <덕진 다리> 전설이 이승과 저승을 오가는 서사를 전개해 보여 한국인의 세계관과 생사관을 알게 한다. 초등국어과 교과서에 ‘저승에 있는 곳간’이라는 제목으로 실린 이 이야기는 죽어서 저승에 간 영암 원님이 같은 고을 덕진이라는 처자의 곳간에서 쌀 삼백 석을 꾸어서 이승으로 살아온 후 그것을 갚고자 강에 다리를 놓았다는 서사를 전개하는데, 이렇게 이야기를 지어낸 상상력에서 이승과 저승에 대한 세계관 및 삶과 죽음에 관한 생사관을 볼 수 있다. 첫째, 영암 원님이 죽은 후에 간 저승과 그것에서 맞닥뜨린 곳간 및 곳간 안 쌀과 재물의 이야기에서 세상이 이승과 저승이라는 두 세계로 이루어진 구조요, 인간을 둘러싼 우주라고 보았을 조상들의 세계 인식 및 이승과 저승 두 세계가 다르지 않으며, 다리 하나로 건널 수 있도록 서로 이어져 있다고 본 사유를 읽을 수 있다. 둘째, 저승에서 겪은 경험 및 이승으로의 복귀가 보여주는 두 에피소드에서 현세와 내세를 하나로 인식한 세계관이 보인다. 셋째, 생과 사가 둘이 아닌 하나이며, 죽음은 이승을 떠나 저승 세계로 가는 다리를 건너는 여정이라는 생사관을 읽게 된다. 넷째, 저승의 세계는 이승의 공간을 떠나서 건너간 다리 저편의 세계이고, 라캉의 철학에서 보는 상상계이자 상징계이며, 이승의 상징이자 거울이므로, 죽음 후 저승 세계에서도 잘 살기 위해 이승의 삶에서 선행을 베풀고 덕을 쌓으며 살아야 한다는 숭고하고도 준엄한 삶의 지향을 <덕진 다리> 전설에서 읽을 수 있다. <덕진 다리> 전설에서 보는 이와 같은 세계관 및 생사관은 유한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삶이 다리 하나 건너 죽음의 세계로 이주해 가는 도정임을 인식하게 해 줌으로써 인간의 삶과 생사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ture is an art that allows us to vividly glimpse human life and death. In particular, legends as a traditional literature, <Deokjin Bridge>, a story about the afterlife, develops a narrative tha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is world and ...
Literature is an art that allows us to vividly glimpse human life and death. In particular, legends as a traditional literature, <Deokjin Bridge>, a story about the afterlife, develops a narrative tha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making us think about the worldview of Koreans and life and death. This story, which is included in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under the title “Warehouse in the Afterlife,” develops a narrative that the Yeongam governor, who died and went to the afterlife, borrowed 300 seok of rice from the warehouse of a woman named Deokjin in the same town, and returning alive and built a bridge over the river to repay it. From the imagination that created this story, we can see the worldview of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as well as the view of life and death. First, in the story of the afterlife where Yeongam governor went after his death, we can read the ancestors’ perception of the world as a structure composed of two worlds,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Second, in the two episodes showing the experience in the afterlife and the return to the afterlife, we can also see the worldview that recognizes this world and the next as one. Third, through story of <Deokjin Bridge>, we can read the view of life and death that life and death are not two but one, and that death is like crossing a bridge from this world to the afterlife. Fourth, the afterlife is the world on the other side of the bridge seen from this world, and is the imaginary and symbolic world in Lacan’s philosophy, and is a symbol and mirror of this world, so we can read the noble and stern orientation toward life in the legend of “Deokjin Bridge” that in order to live well in the afterlife after death, we must live by doing good deeds and accumulating virtue in this world. This worldview and view of life and death on <Deokjin Bridge>have great implications in that they help us to reminisce about the importance of life and overcome the fear of death by recognizing that the finite life of a human being is a journey toward the bridge to the world of death.
웹소설의 ‘회귀’ 구조를 통해 본 자기 부정의 극복으로서 ‘다시 살기’의 서사적 의미 -악녀형 인물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