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중국, "한성시대 백제의 담로제 실시와 편제기준" 계명사학회 2 : 1991
2 양기석, "한성백제의 청주지역 지배, In 백제 지방세력의 존재양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3 박순발,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4 노중국, "한성도읍기의 역사적 의미, In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 서경문화사 2007
5 강종원, "한성기 백제의 지방세력, 한성백제 사료연구"
6 박현숙, "지방제도, In 백제의 정치제도와 군사"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7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 87-106, 2004
8 전북문화재연구, "임실 성미산성 발굴조사 설명회자료"
9 노중국, "익산지역 정치체의 사적 전개와 백제사상의 익산세력" 원광대학교 마한ㆍ백제문화연구소 15 : 2001
10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7 : 1997
1 노중국, "한성시대 백제의 담로제 실시와 편제기준" 계명사학회 2 : 1991
2 양기석, "한성백제의 청주지역 지배, In 백제 지방세력의 존재양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3 박순발,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4 노중국, "한성도읍기의 역사적 의미, In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 서경문화사 2007
5 강종원, "한성기 백제의 지방세력, 한성백제 사료연구"
6 박현숙, "지방제도, In 백제의 정치제도와 군사"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7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 87-106, 2004
8 전북문화재연구, "임실 성미산성 발굴조사 설명회자료"
9 노중국, "익산지역 정치체의 사적 전개와 백제사상의 익산세력" 원광대학교 마한ㆍ백제문화연구소 15 : 2001
10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7 : 1997
11 곽장근, "웅진기 백제와 가야의 역학관계 연구" 백제연구소 44 (44): 85-124, 2006
12 김영심, "웅진ㆍ사비기 백제의 영역, In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3
13 안병우, "영일 냉수리신라비와 5~6세기 신라의 사회경제사상" 한국고대사학회 3 : 1990
14 우재병,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의 출현과 그 배경" 호서고고학회 10 : 2004
15 임영진, "영산강유역 석실분의 수용과정" 전라남도 3 : 1990
16 정재윤,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호서사학회 56 : 233-269, 2010
17 신형식, "순행을 통해 본 삼국시대의 왕" 일지사 25 : 1981
18 이병도, "백제칠지도고, In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19 노중국, "백제정치사 연구" 일조각 1988
20 양기석, "백제의 지방통치체제, In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한국고대사학회 2007
21 김수태, "백제의 지방통치와 도사,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22 한국상고사학회, "백제의 지방통치" 학연문화사 1998
23 김영심, "백제의 지방지배방식과 섬진강유역, In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화사 2008
24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출판부 1997
25 문안식, "백제의 영역확장과 지방통치" 신서원 2002
26 임영진, "백제의 영역 변천" 주류성 2006
27 주보돈, "백제의 영산강 유역 지배방식과 전방후원분 피장자의 성격, In 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28 박순발, "백제의 남천과 영산강유역 정치체의 재편, In 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29 김영관, "백제유민 예식진묘지 소개" 신라사학회 10 : 2007
30 이기동, "백제사회의 지역공동체와 국가권력"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6 : 1996
31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32 朴賢淑, "백제 한성시기 流民의 발생과 對民支配의 양상" 한국고대학회 27 (27): 57-80, 2007
33 김주성, "백제 지방통치조직의 변화와 지방사회의 재편" 국사편찬위원회 35 : 1991
34 이용빈, "백제 지방통치제도 연구" 서경문화사 2002
35 김기섭, "백제 전기의 부에 대한 시론, In 백제의 지방통치" 학연문화사 1998
36 노중국, "백제 율령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7 : 1986
37 김수태, "백제 성왕대의 변경: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백제연구소 44 : 125-140, 2006
38 전영래, "백제 남방경역의 변천, In 천관우선생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정음문화사 1985
39 이남석, "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한국고대학회 26 : 215-244, 2007
40 이병도, "백제 근초고왕 척경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 : 1970
41 이남석, "백제 관제와 관식 - 관제 관식의 정치사적 의미고찰 -" 백제문화연구소 (20) : 5-20, 1990
42 김기섭, "백제 漢城都邑期 연구 동향과 과제" 백제문화연구소 1 (1): 5-36, 2011
43 박찬규, "문헌을 통해 본 마한의 시말" 백제학회 3 : 2010
44 노중국, "문헌기록 속의 영산강유역" 백제학회 2011
45 김성범, "나주 복암리유적 출토 백제목간, In 고대의 목간 그리고 산성"
46 윤무병, "김제 벽골제 발굴보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7 : 1976
47 강봉룡, "금강ㆍ영산강유역의 세력동향과 백제의 경영, In 웅진도읍기의 백제"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48 김기섭, "근초고왕대 남해안진출설에 대한 재검토" 백제문화연구소 (24) : 3-26, 1995
4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궁남지"
50 천관우, "광개토왕의 정복활동, In 한국사시민강좌 3" 일조각 1988
51 임영진,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출토 금동관의 의의, In 충청학과 충청문화 5-2" 2006
52 김영심,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축조의 역사적 배경, In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 전남대학교 박물관 2011
53 이한상,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금동관모와 금동식리에 대한 검토, In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 전남대학교박물관 2011
54 전북문화재연구원, "고창 흥덕 농공단지 조성지역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55 정영호, "고려산성고, In 천관우선생 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1985
56 권오영, "고고학자료로 본 지방사회, In 백제의 정치제도와 군사"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57 김현숙, "高句麗의 漢江流域 領有와 支配" 백제연구소 50 : 27-54, 2009
58 천관우, "馬韓諸國의 位置試論, In 고조선사ㆍ삼한사연구" 일조각 1989
59 서현주, "考古學 資料로 본 百濟와 榮山江 流域" 백제연구소 44 : 141-170, 2006
60 홍승우, "百濟 律令 반포 시기와 지방지배" 한국고대사학회 54 : 217-260, 2009
61 박현숙, "百濟 檐魯制의 實施와 그 性格, In 宋甲鎬敎授停年退任論文集" 1993
62 金英心,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 5-7세기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63 朴賢淑,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64 田中俊明, "熊津時代 百濟의 領域再編과 王ㆍ侯制, In 百濟의 中央과 地方"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65 이도학, "漢城後期의 百濟 王權과 支配體制의 整備" 백제문화개발연구원 2 : 1990
66 츠지 히데토, "榮山江流域의 前方後圓墳과 倭國 周緣地域의 前方後圓墳" 백제연구소 44 (44): 211-244, 2006
67 김낙중, "榮山江流域政治體와 百濟王權의 關係變化" 백제연구소 50 : 83-111, 2009
68 山尾幸久, "朝鮮三國の軍區組織, In 古代朝鮮と日本"
69 이병도, "國譯 三國史記" 을유문화사 1977
70 末松保和,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1961
71 山本孝文,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 2006
72 연민수, "6세기 전반 가야제국을 둘러싼 백제ㆍ신라의 동향" 동국대학교 신라문화 연구소 9 : 1990
73 김영심, "5~6세기 백제의 지방통치체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2 : 1990
74 양기석, "5세기 백제의 왕ㆍ후ㆍ태수제에 대하여" 한국사학회 38 : 1984
75 권오영, "4세기 백제의 지방통치방식 일례"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8 : 1989
76 강종원, "4세기 백제사 연구" 서경 2002
77 양기석, "475년 위례성 함락직후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선, In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78 강봉룡, "3~5세기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와 그 성격" 역사교육학회 69 : 1999
79 이한상,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