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百濟 國家權力의 擴散과 地方 = Spread of Government Power and Regions of Bae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85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briefly the changes of territory in each period of Baekje era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caused by the change of territory, and furthermore looks into the aspect of government power infiltrating into the regions with the help of bibliographic data.
      The Hansung era acted as a turning point for expanding territory in King Goyi period and King Geunchogo period, and the localization was already realized with the whole area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rganized into the Baekje territory in King Geunchogo period. The infiltration of government power into the regions was accomplished indirectly by the commanding class living in the land before the King Goyi period, and since the King Goyi period, the control of the regions started to be carried through on the basis of a system. Moreover, the direct domination through the dispatch of local officials began to be realized by virtue of organization of centralized ruling system and determination of territory in King Geunchogo period. The infiltration of government power into the regions during the Hansung era was found to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methods of doing in order, almsgiving, and collection of labor.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Baekje attempted to maintain the national control over the regions through presenting prestige goods to primary regions because the control over the regions showed limitations among the political change caused by the southward advance of Koguryeo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Hansung era. In addition, the domination over the regions during the Hansung era appeared to be limited as the tradition of ruling class living in the land persisted in some areas.
      In Woongjin era, the loss of Han River basin caused considerable portion of the northern region to be excluded from the territory, which then led to the on the southern region. During the King Dongseong period, a strong policy for controlling regions was carried forward as the political disorder was somewhat settled, and during the King Muryeong period, the direct control over the residents was realized. Government power was directly infiltrated into the regions by local officials who had been given titles of kings and empresses as well as by local powers who had become like central aristocrats under the County and Prefecture System. As a result, the cultural traditionality of each region weakened.
      In Sabi era, a change into the more systematized States and Counties Castle System was realized and the control of regions was established through local officials. It is presumed that the regions that had been organized into States and Counties Castle System were limited to the whole area of Woongju, Jeonju, Muju, which were organized into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fter Baekje was merged into Silla. In addition, these regions were controlled by the military order (county chief) or the lord of a castle who were dispatc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Nevertheless, it is understood that the powerful aristocratic power among the land-holding powers maintained the status as the local officials by having been organized into the official rank of the central government.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briefly the changes of territory in each period of Baekje era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caused by the change of territory, and furthermore looks into the aspect of government power infiltrating into ...

      This article examines briefly the changes of territory in each period of Baekje era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caused by the change of territory, and furthermore looks into the aspect of government power infiltrating into the regions with the help of bibliographic data.
      The Hansung era acted as a turning point for expanding territory in King Goyi period and King Geunchogo period, and the localization was already realized with the whole area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organized into the Baekje territory in King Geunchogo period. The infiltration of government power into the regions was accomplished indirectly by the commanding class living in the land before the King Goyi period, and since the King Goyi period, the control of the regions started to be carried through on the basis of a system. Moreover, the direct domination through the dispatch of local officials began to be realized by virtue of organization of centralized ruling system and determination of territory in King Geunchogo period. The infiltration of government power into the regions during the Hansung era was found to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methods of doing in order, almsgiving, and collection of labor.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Baekje attempted to maintain the national control over the regions through presenting prestige goods to primary regions because the control over the regions showed limitations among the political change caused by the southward advance of Koguryeo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Hansung era. In addition, the domination over the regions during the Hansung era appeared to be limited as the tradition of ruling class living in the land persisted in some areas.
      In Woongjin era, the loss of Han River basin caused considerable portion of the northern region to be excluded from the territory, which then led to the on the southern region. During the King Dongseong period, a strong policy for controlling regions was carried forward as the political disorder was somewhat settled, and during the King Muryeong period, the direct control over the residents was realized. Government power was directly infiltrated into the regions by local officials who had been given titles of kings and empresses as well as by local powers who had become like central aristocrats under the County and Prefecture System. As a result, the cultural traditionality of each region weakened.
      In Sabi era, a change into the more systematized States and Counties Castle System was realized and the control of regions was established through local officials. It is presumed that the regions that had been organized into States and Counties Castle System were limited to the whole area of Woongju, Jeonju, Muju, which were organized into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fter Baekje was merged into Silla. In addition, these regions were controlled by the military order (county chief) or the lord of a castle who were dispatc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Nevertheless, it is understood that the powerful aristocratic power among the land-holding powers maintained the status as the local officials by having been organized into the official rank of the central gover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백제시대 각 시기별 영역의 변천과 그에 따른 지방제도의 변화모습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나아가 國家權力의 지방침투 양상을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성기는 고이왕대 및 근초고왕대에 영역확대의 전기가 되었으며, 근초고왕대 이미 남해안 일대까지 백제의 영역으로 편제됨으로써 地方化가 이루어졌다. 국가권력의 지방침투는 고이왕대 이전에는 재지수장층을 통해 間接的으로 이루어졌고, 고이왕대부터 제도적인 차원에서 지방에 대한 지배가 관철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근초고왕대 중앙집권적 지배체제의 정비와 영역의 확정에 의해 지방관의 파견을 통한 直接支配가 실현되기 시작하였다. 한성기 국가권력의 지방침투는 순행과 진휼, 그리고 역역의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성후기 고구려의 남진으로 인한 정치적 변동 속에서 지방지배의 한계가 나타남으로써 주요지역에 대한 威勢品의 賜與를 통해 지방에 대한 국가의 지배력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일부지역에서는 在地的 전통이 지속되고 있어 한성기 지방지배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웅진기에는 한강유역의 상실로 북방지역의 상당부분이 영역에서 배제됨으로써 지방의 재편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웅진기에는 남부지역에 대한 지배에 주력하였다. 동성왕대 정치적 혼란이 어느 정도 안정을 회복함에 따라 지방에 대한 강력한 지배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무령왕대에는 주민들에 대한 직접지배를 실현해 나갔다. 국가권력은 담로체제 하에 王ㆍ侯號를 부여받은 地方官과 중앙귀족화한 地方勢力을 통해 직접적으로 침투되었다. 그 결과 각 지역의 문화적 전통성은 약화되었다.
      사비기에는 보다 체계화된 方郡城 체제로의 전환과 地方官에 의한 지방지배가 확립되었다. 방군성으로 편제된 지역은 백제가 신라에 병합된 이후 지방제도로 편제된 웅주ㆍ전주ㆍ무주 일원에 한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중앙에서 파견된 郡令(郡將)ㆍ城主에 의해 통제되었다. 그렇지만 재지세력 중 유력한 귀족세력은 중앙의 관등에 편제되어 지방관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백제시대 각 시기별 영역의 변천과 그에 따른 지방제도의 변화모습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나아가 國家權力의 지방침투 양상을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성기는 고이...

      본고에서는 백제시대 각 시기별 영역의 변천과 그에 따른 지방제도의 변화모습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나아가 國家權力의 지방침투 양상을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성기는 고이왕대 및 근초고왕대에 영역확대의 전기가 되었으며, 근초고왕대 이미 남해안 일대까지 백제의 영역으로 편제됨으로써 地方化가 이루어졌다. 국가권력의 지방침투는 고이왕대 이전에는 재지수장층을 통해 間接的으로 이루어졌고, 고이왕대부터 제도적인 차원에서 지방에 대한 지배가 관철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근초고왕대 중앙집권적 지배체제의 정비와 영역의 확정에 의해 지방관의 파견을 통한 直接支配가 실현되기 시작하였다. 한성기 국가권력의 지방침투는 순행과 진휼, 그리고 역역의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성후기 고구려의 남진으로 인한 정치적 변동 속에서 지방지배의 한계가 나타남으로써 주요지역에 대한 威勢品의 賜與를 통해 지방에 대한 국가의 지배력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일부지역에서는 在地的 전통이 지속되고 있어 한성기 지방지배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웅진기에는 한강유역의 상실로 북방지역의 상당부분이 영역에서 배제됨으로써 지방의 재편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웅진기에는 남부지역에 대한 지배에 주력하였다. 동성왕대 정치적 혼란이 어느 정도 안정을 회복함에 따라 지방에 대한 강력한 지배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무령왕대에는 주민들에 대한 직접지배를 실현해 나갔다. 국가권력은 담로체제 하에 王ㆍ侯號를 부여받은 地方官과 중앙귀족화한 地方勢力을 통해 직접적으로 침투되었다. 그 결과 각 지역의 문화적 전통성은 약화되었다.
      사비기에는 보다 체계화된 方郡城 체제로의 전환과 地方官에 의한 지방지배가 확립되었다. 방군성으로 편제된 지역은 백제가 신라에 병합된 이후 지방제도로 편제된 웅주ㆍ전주ㆍ무주 일원에 한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중앙에서 파견된 郡令(郡將)ㆍ城主에 의해 통제되었다. 그렇지만 재지세력 중 유력한 귀족세력은 중앙의 관등에 편제되어 지방관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중국, "한성시대 백제의 담로제 실시와 편제기준" 계명사학회 2 : 1991

      2 양기석, "한성백제의 청주지역 지배, In 백제 지방세력의 존재양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3 박순발,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4 노중국, "한성도읍기의 역사적 의미, In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 서경문화사 2007

      5 강종원, "한성기 백제의 지방세력, 한성백제 사료연구"

      6 박현숙, "지방제도, In 백제의 정치제도와 군사"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7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 87-106, 2004

      8 전북문화재연구, "임실 성미산성 발굴조사 설명회자료"

      9 노중국, "익산지역 정치체의 사적 전개와 백제사상의 익산세력" 원광대학교 마한ㆍ백제문화연구소 15 : 2001

      10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7 : 1997

      1 노중국, "한성시대 백제의 담로제 실시와 편제기준" 계명사학회 2 : 1991

      2 양기석, "한성백제의 청주지역 지배, In 백제 지방세력의 존재양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3 박순발,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4 노중국, "한성도읍기의 역사적 의미, In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 서경문화사 2007

      5 강종원, "한성기 백제의 지방세력, 한성백제 사료연구"

      6 박현숙, "지방제도, In 백제의 정치제도와 군사"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7 최성락, "전방후원형 고분의 성격에 대한 재고" 한국상고사학회 44 : 87-106, 2004

      8 전북문화재연구, "임실 성미산성 발굴조사 설명회자료"

      9 노중국, "익산지역 정치체의 사적 전개와 백제사상의 익산세력" 원광대학교 마한ㆍ백제문화연구소 15 : 2001

      10 이근우, "웅진시대 백제의 남방경역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7 : 1997

      11 곽장근, "웅진기 백제와 가야의 역학관계 연구" 백제연구소 44 (44): 85-124, 2006

      12 김영심, "웅진ㆍ사비기 백제의 영역, In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3

      13 안병우, "영일 냉수리신라비와 5~6세기 신라의 사회경제사상" 한국고대사학회 3 : 1990

      14 우재병,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의 출현과 그 배경" 호서고고학회 10 : 2004

      15 임영진, "영산강유역 석실분의 수용과정" 전라남도 3 : 1990

      16 정재윤,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호서사학회 56 : 233-269, 2010

      17 신형식, "순행을 통해 본 삼국시대의 왕" 일지사 25 : 1981

      18 이병도, "백제칠지도고, In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19 노중국, "백제정치사 연구" 일조각 1988

      20 양기석, "백제의 지방통치체제, In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한국고대사학회 2007

      21 김수태, "백제의 지방통치와 도사, In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22 한국상고사학회, "백제의 지방통치" 학연문화사 1998

      23 김영심, "백제의 지방지배방식과 섬진강유역, In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화사 2008

      24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의 중앙과 지방" 충남대학교 출판부 1997

      25 문안식, "백제의 영역확장과 지방통치" 신서원 2002

      26 임영진, "백제의 영역 변천" 주류성 2006

      27 주보돈, "백제의 영산강 유역 지배방식과 전방후원분 피장자의 성격, In 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28 박순발, "백제의 남천과 영산강유역 정치체의 재편, In 한국의 전방후원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29 김영관, "백제유민 예식진묘지 소개" 신라사학회 10 : 2007

      30 이기동, "백제사회의 지역공동체와 국가권력"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6 : 1996

      31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32 朴賢淑, "백제 한성시기 流民의 발생과 對民支配의 양상" 한국고대학회 27 (27): 57-80, 2007

      33 김주성, "백제 지방통치조직의 변화와 지방사회의 재편" 국사편찬위원회 35 : 1991

      34 이용빈, "백제 지방통치제도 연구" 서경문화사 2002

      35 김기섭, "백제 전기의 부에 대한 시론, In 백제의 지방통치" 학연문화사 1998

      36 노중국, "백제 율령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7 : 1986

      37 김수태, "백제 성왕대의 변경: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백제연구소 44 : 125-140, 2006

      38 전영래, "백제 남방경역의 변천, In 천관우선생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정음문화사 1985

      39 이남석, "백제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검토" 한국고대학회 26 : 215-244, 2007

      40 이병도, "백제 근초고왕 척경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 : 1970

      41 이남석, "백제 관제와 관식 - 관제 관식의 정치사적 의미고찰 -" 백제문화연구소 (20) : 5-20, 1990

      42 김기섭, "백제 漢城都邑期 연구 동향과 과제" 백제문화연구소 1 (1): 5-36, 2011

      43 박찬규, "문헌을 통해 본 마한의 시말" 백제학회 3 : 2010

      44 노중국, "문헌기록 속의 영산강유역" 백제학회 2011

      45 김성범, "나주 복암리유적 출토 백제목간, In 고대의 목간 그리고 산성"

      46 윤무병, "김제 벽골제 발굴보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7 : 1976

      47 강봉룡, "금강ㆍ영산강유역의 세력동향과 백제의 경영, In 웅진도읍기의 백제"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48 김기섭, "근초고왕대 남해안진출설에 대한 재검토" 백제문화연구소 (24) : 3-26, 1995

      4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궁남지"

      50 천관우, "광개토왕의 정복활동, In 한국사시민강좌 3" 일조각 1988

      51 임영진,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출토 금동관의 의의, In 충청학과 충청문화 5-2" 2006

      52 김영심,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축조의 역사적 배경, In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 전남대학교 박물관 2011

      53 이한상,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금동관모와 금동식리에 대한 검토, In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의 역사적 성격" 전남대학교박물관 2011

      54 전북문화재연구원, "고창 흥덕 농공단지 조성지역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55 정영호, "고려산성고, In 천관우선생 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1985

      56 권오영, "고고학자료로 본 지방사회, In 백제의 정치제도와 군사"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7

      57 김현숙, "高句麗의 漢江流域 領有와 支配" 백제연구소 50 : 27-54, 2009

      58 천관우, "馬韓諸國의 位置試論, In 고조선사ㆍ삼한사연구" 일조각 1989

      59 서현주, "考古學 資料로 본 百濟와 榮山江 流域" 백제연구소 44 : 141-170, 2006

      60 홍승우, "百濟 律令 반포 시기와 지방지배" 한국고대사학회 54 : 217-260, 2009

      61 박현숙, "百濟 檐魯制의 實施와 그 性格, In 宋甲鎬敎授停年退任論文集" 1993

      62 金英心,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 5-7세기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63 朴賢淑,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64 田中俊明, "熊津時代 百濟의 領域再編과 王ㆍ侯制, In 百濟의 中央과 地方"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65 이도학, "漢城後期의 百濟 王權과 支配體制의 整備" 백제문화개발연구원 2 : 1990

      66 츠지 히데토, "榮山江流域의 前方後圓墳과 倭國 周緣地域의 前方後圓墳" 백제연구소 44 (44): 211-244, 2006

      67 김낙중, "榮山江流域政治體와 百濟王權의 關係變化" 백제연구소 50 : 83-111, 2009

      68 山尾幸久, "朝鮮三國の軍區組織, In 古代朝鮮と日本"

      69 이병도, "國譯 三國史記" 을유문화사 1977

      70 末松保和,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1961

      71 山本孝文,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 2006

      72 연민수, "6세기 전반 가야제국을 둘러싼 백제ㆍ신라의 동향" 동국대학교 신라문화 연구소 9 : 1990

      73 김영심, "5~6세기 백제의 지방통치체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2 : 1990

      74 양기석, "5세기 백제의 왕ㆍ후ㆍ태수제에 대하여" 한국사학회 38 : 1984

      75 권오영, "4세기 백제의 지방통치방식 일례"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8 : 1989

      76 강종원, "4세기 백제사 연구" 서경 2002

      77 양기석, "475년 위례성 함락직후 고구려와 백제의 국경선, In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78 강봉룡, "3~5세기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와 그 성격" 역사교육학회 69 : 1999

      79 이한상,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1.84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