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시옷’과 ‘두음 법칙’ 재고(再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5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interpreting ‘Insert-s(ㅅ)’ and ‘Word-initial Rule’ the examples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Korean orthography’. Also, they study examined the problem of expanding or modifying the ‘Korean orthography’ f...

      This study focused on interpreting ‘Insert-s(ㅅ)’ and ‘Word-initial Rule’ the examples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Korean orthography’. Also, they study examined the problem of expanding or modifying the ‘Korean orthography’ framework. The findings point out that the case of western loanwords in terms of ‘Insert-s(ㅅ)’, should be supplemented with Sino-Korean words, and also mentioned that ‘Word-initial Rule’ should be modified with regularity.
      Whether or not the western loanwords can be handled with Sino-Korean words in ‘Insert-s(ㅅ)’ should be reflected in the rules and commentaries, and if the western loanword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ino-Korean words, the reason should be specified. ‘Insert-s(ㅅ)’ and ‘Word-initial Rule’ are used in this study because the use of western loanwords raises problems not only in ‘Insert-s(ㅅ)’, but also in ‘Word-initial Rule’.
      In addition, the class of ‘lyu(류)’ being treated exceptionally needs to be reconsidered. The class of ‘lyu(류)’ can function as a noun, and it should be explained why it combines without the application of ‘Word-initial Rule’ in any conditions.
      As mentioned above, the rules of ‘Insert-s(ㅅ)’ and ‘Word-initial Rule’ of ‘Korean orthography’ need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focuses on that necessity, and the issue of specifying necessity as a regulation 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through further discuss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사이시옷’의 문제
      • 3. ‘두음 법칙’의 문제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사이시옷’의 문제
      • 3. ‘두음 법칙’의 문제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창선, "현행 한글 맞춤법의 몇 가지 문제점 - ‘아니요’와 부사화 접미사 ‘-이’, ‘-히’를 대상으로 -" 한국어문학회 (100) : 59-84, 2008

      2 이동석, "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 민족문화연구원 (54) : 185-226, 2011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4 이동석, "한글 맞춤법 조항에 대한 몇 가지 쟁점 - 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23 : 209-241, 2015

      5 채서영, "한국어 사이시옷 표기 혼란과 표준어 정책의 방향"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187-214, 2008

      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엄태수, "사이시옷 현상과 한글 맞춤법" 시학과 언어학회 13 : 239-288, 2007

      9 임석규, "사이시옷 규정의 문제점 고찰" 우리말글학회 43 : 1-24, 2008

      10 채완, "사이시옷 규정과 문자 생활의 현실" 동덕여자대학교 8 : 23-41, 2002

      1 송창선, "현행 한글 맞춤법의 몇 가지 문제점 - ‘아니요’와 부사화 접미사 ‘-이’, ‘-히’를 대상으로 -" 한국어문학회 (100) : 59-84, 2008

      2 이동석, "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 민족문화연구원 (54) : 185-226, 2011

      3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4 이동석, "한글 맞춤법 조항에 대한 몇 가지 쟁점 - 전문가의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23 : 209-241, 2015

      5 채서영, "한국어 사이시옷 표기 혼란과 표준어 정책의 방향"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187-214, 2008

      6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8 엄태수, "사이시옷 현상과 한글 맞춤법" 시학과 언어학회 13 : 239-288, 2007

      9 임석규, "사이시옷 규정의 문제점 고찰" 우리말글학회 43 : 1-24, 2008

      10 채완, "사이시옷 규정과 문자 생활의 현실" 동덕여자대학교 8 : 23-41, 2002

      11 이호권, "맞춤법과 표준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7

      12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13 시정곤, "국어 형태론에서 단어형성 전용요소의 설정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어학회 38 : 83-107, 2008

      14 이진호, "국어 유음화에 대한 종합적 고찰" 국어학회 31 : 81-120, 1998

      15 김창섭, "국어 어휘자료처리를 위한 한자어의 형태/통사론적 연구" 국립국어원 1999

      16 배주채, "漢字語의 구조와 頭音法則"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1 (31): 31-50, 2003

      17 최형강, "‘방’과 ‘집’의 의미와 단어형성" 한국어학회 50 : 231-260, 2011

      18 엄태수, "‘ㄹ’초성 한자어의 음운현상과 어휘표시" 국제어문학회 (41) : 255-282, 2007

      19 이관규, "<한글 맞춤법> 쟁점 조항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도 조사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3 : 183-20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