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토리 전개와 등장인물 성격 간 연관성 분석 방법 = Present of the Analysis Method of the validation between the Story proceeding and the charac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12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 content, including animations, movies, plays and novels, has a story. Stories are usually unfolded into conflicting personalities of characters in situations. Appropriate storytelling adds value to the content by inducing readers' interest and interest and feelings of good and bad, which in turn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ontent.

      This paper is an extension of Prof. Seung-Rak Choi's “Present of the Analysis Method of the validation between the Story proceeding and the character” proposed in Digital Design Studies Vol. Conflict Extraction à The analysis of the cultural prototype code through the grammar semantic generation model for the extracted conflict and the behavior analysis indicating the personality type of the main character through the Enneagram were conducted.

      The selection of contents was analyzed with four films featuring the king of Joseon, whose emotions were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s, Guanghea, Sado and Naramassami. As a result, the author or director could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echanism that contains the message in the story by setting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find and analyze the scenes that lead to the change of personality type in the story. It is found to be useful as a way of verifying that personality types are set to reasonably recognize them.

      If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curriculum to use such an analysis method, it can be applied as a useful story development metho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ent creators, and it can be applied as a way to watch a movie more in depth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Key word (Guide word) Story development, Character, Personality type, Grammas semantic generation model, Enneagram heritage
      번역하기

      All content, including animations, movies, plays and novels, has a story. Stories are usually unfolded into conflicting personalities of characters in situations. Appropriate storytelling adds value to the content by inducing readers' interest and int...

      All content, including animations, movies, plays and novels, has a story. Stories are usually unfolded into conflicting personalities of characters in situations. Appropriate storytelling adds value to the content by inducing readers' interest and interest and feelings of good and bad, which in turn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content.

      This paper is an extension of Prof. Seung-Rak Choi's “Present of the Analysis Method of the validation between the Story proceeding and the character” proposed in Digital Design Studies Vol. Conflict Extraction à The analysis of the cultural prototype code through the grammar semantic generation model for the extracted conflict and the behavior analysis indicating the personality type of the main character through the Enneagram were conducted.

      The selection of contents was analyzed with four films featuring the king of Joseon, whose emotions were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s, Guanghea, Sado and Naramassami. As a result, the author or director could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echanism that contains the message in the story by setting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find and analyze the scenes that lead to the change of personality type in the story. It is found to be useful as a way of verifying that personality types are set to reasonably recognize them.

      If i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curriculum to use such an analysis method, it can be applied as a useful story development metho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ent creators, and it can be applied as a way to watch a movie more in depth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Key word (Guide word) Story development, Character, Personality type, Grammas semantic generation model, Enneagram herit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애니메이션, 영화, 연극, 소설 등 모든 콘텐츠는 스토리를 갖는다. 스토리는 상황에 놓인 등장인물의 성격 갈등으로 전개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적절한 스토리 전개는 독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좋고 나쁨의 감정을 유발하게 됨으로써 콘텐츠가 가지는 가치를 더하게 하며, 결론적으로 콘텐츠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가름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4년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2호(통권 제42호)에서 제안된“스토리 전개와 등장인물의 성격 간 연관성 분석 방법”을 확장 적용한 것으로 스토리 전개 분석  등장인물의 갈등 추출  추출된 갈등에 대한 그레마스 의미생성 모델을 통한 문화원형 코드의 분석 그리고 에니어그램을 통한 주인공의 성격 유형을 나타내는 행동 분석 시행하였다.

      콘텐츠의 선정은 인물 중심으로 감정이 전개가 많은 조선의 왕이 등장하는 영화 세 편, 왕이 된 남자 광해, 사도 그리고 나랏말싸미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작가나 감독이 등장인물의 성격설정을 통하여 작품의 스토리 내에 메시지를 담아내는 메커니즘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스토리 내에서 성격 유형의 변화를 끌어내는 장면을 찾아 분석하고, 독자나 시청자가 그 메시지를 타당하게 인지하도록 성격 유형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유용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커리큘럼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콘텐츠 제작자의 관점에서는 유용한 스토리 전개 방법으로써의 적용이 가능하고, 독자의 측면에서는 영화를 좀 더 깊이 있게 감상하는 방법으로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주제어(키워드, 색인어) 스토리 전개, 등장인물, 성격 유형, 그레마스 의미생성모델, 에니어그램
      번역하기

      애니메이션, 영화, 연극, 소설 등 모든 콘텐츠는 스토리를 갖는다. 스토리는 상황에 놓인 등장인물의 성격 갈등으로 전개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적절한 스토리 전개는 독자의 관심과 흥미를 ...

      애니메이션, 영화, 연극, 소설 등 모든 콘텐츠는 스토리를 갖는다. 스토리는 상황에 놓인 등장인물의 성격 갈등으로 전개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적절한 스토리 전개는 독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좋고 나쁨의 감정을 유발하게 됨으로써 콘텐츠가 가지는 가치를 더하게 하며, 결론적으로 콘텐츠의 성공 또는 실패를 판가름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4년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2호(통권 제42호)에서 제안된“스토리 전개와 등장인물의 성격 간 연관성 분석 방법”을 확장 적용한 것으로 스토리 전개 분석  등장인물의 갈등 추출  추출된 갈등에 대한 그레마스 의미생성 모델을 통한 문화원형 코드의 분석 그리고 에니어그램을 통한 주인공의 성격 유형을 나타내는 행동 분석 시행하였다.

      콘텐츠의 선정은 인물 중심으로 감정이 전개가 많은 조선의 왕이 등장하는 영화 세 편, 왕이 된 남자 광해, 사도 그리고 나랏말싸미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작가나 감독이 등장인물의 성격설정을 통하여 작품의 스토리 내에 메시지를 담아내는 메커니즘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스토리 내에서 성격 유형의 변화를 끌어내는 장면을 찾아 분석하고, 독자나 시청자가 그 메시지를 타당하게 인지하도록 성격 유형이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유용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 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커리큘럼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콘텐츠 제작자의 관점에서는 유용한 스토리 전개 방법으로써의 적용이 가능하고, 독자의 측면에서는 영화를 좀 더 깊이 있게 감상하는 방법으로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주제어(키워드, 색인어) 스토리 전개, 등장인물, 성격 유형, 그레마스 의미생성모델, 에니어그램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2장. 본론 3
      • 2.1 등장인물 3
      • 2.2 페르소나 3
      • 제1장. 서론 1
      • 제2장. 본론 3
      • 2.1 등장인물 3
      • 2.2 페르소나 3
      • 2.3 그레마스의 의미생성 모델 5
      • 2.4 에니어그램 (Enneagram) 6
      • 2.5 분석대상 영화의 스토리 전개 12
      • 2.6 대상 인물의 갈등상황 분석 및 의미생성 모델 분석 25
      • 2.6.1 영화 광해의 분석 25
      • 2.6.1.1 분석장면 1 광해가 독살을 걱정하는 장면 25
      • 2.6.1.2 분석상황 2 유림들의 유정우 상소 장면 26
      • 2.6.1.3 분석장면 3. 광해가 광대 하선을 만나는 장면 28
      • 2.6.1.4 분석장면 4. 궁을 나간 광해가 숨겨둔 애첩과 만남 29
      • 2.6.1.5 분석장면 5. 은수저의 변색 이유를 알게 된 광해 31
      • 2.6.1.6 분석장면 6. 광해의 대역을 알게 된 대신들의 반란 32
      • 2.6.2 영화 사도의 분석 34
      • 2.6.2.1 분석장면 1. 사도세자의 영조 시해 시도 발생 34
      • 2.6.2.2 분석상황 2: 영조가 사도세자의 추궁과 처벌 36
      • 2.6.2.3 분석장면 3. 영조의 회상 사도세자의 어린 시절 37
      • 2.6.2.4 분석장면 4. 세자를 평민으로 만드는 교지 작성 39
      • 2.6.2.5 분석장면 5. 세자빈의 회상을 통한 영조의 성격 40
      • 2.6.2.6 분석장면 6. 종묘에서 사도를 훈육하는 영조 41
      • 2.6.2.7 분석장면 7. 대리청정을 시행하는 영조 43
      • 2.6.2.8 분석장면 8. 영조와 세손과의 대화 44
      • 2.6.2.9 분석장면 9. 영조의 세자 죽음 확인과 개선가 46
      • 2.6.2.10 분석 장면10. 사도세자의 직위 회복과 기록의 삭제 47
      • 2.6.3 영화 나랏말싸미의 분석 50
      • 2.6.3.1 분석장면 1. 세종대왕의 기우제 50
      • 2.6.3.2 분석상황 2. 일본 승려의 팔만대장경판 요구 51
      • 2.6.3.3 분석장면 3. 신미 대사에게 소리글자의 실마리를 얻음 53
      • 2.6.3.4 분석장면 4. 소리글자의 정체를 살피는 세종대왕 54
      • 2.6.3.5 분석장면 5. 세종의 집현전 학자 정인지 독대 56
      • 2.6.3.6 분석장면 6. 소리글자를 만들기를 원하는 세종대왕 57
      • 2.6.3.7 분석장면 7. 단순하게 만들라 기준을 제시하는 세종 59
      • 2.6.3.8 분석장면 8. 소리글자와 글꼴을 연결 노력 60
      • 2.6.3.9 분석장면 9. 신미와 중전의 이야기를 들은 세종 62
      • 2.6.3.10 분석 장면10. 세종과 대신 간의 갈등 63
      • 2.6.3.11 분석 장면11. 세종의 병에 대한 의관과의 대화 64
      • 2.6.3.12 분석 장면12. 궁궐 밖에서 소리글자를 만드는 세종 66
      • 2.6.3.13 분석 장면13. 소리글자의 진행을 보고 받는 세종 67
      • 2.6.3.14 분석 장면14. 명황제의 새예복에 대한 갈등 69
      • 2.6.3.15 분석 장면15. 소리글자의 완성 보고를 받는 세종 71
      • 2.6.3.16 분석 장면16. 소리글자의 완성에 기뻐하는 세종 73
      • 2.6.3.17 분석 장면17. 정인지와 세종의 소리글 창제 대화 74
      • 2.6.3.18 분석 장면18. 세종대왕과 신미와의 갈등 76
      • 2.6.3.19 분석 장면19. 소현왕후와의 갈등 77
      • 2.6.3.20 분석 장면20. 소현왕후의 죽음과 세종의 결심 79
      • 2.6.3.21 분석 장면21. 신미를 다시 부르는 세종 80
      • 2.6.3.22 분석 장면22. 새 문자에 이름을 지어주는 세종 81
      • 2.6.3.23 분석 장면23. 소현왕후의 천도제 83
      • 2.6.3.24 분석 장면24. 언문의 반포와 정인지와 세종의 대화 84
      • 2.6.3.25 분석 장면25. 훈민정음의 서문을 만드는 세종 86
      • 2.6.3.26 분석 장면26. 천도제와 유자들의 반대 집회 87
      • 2.6.3.27 분석 장면27. 천도제에 대해 세종과 대신 간의 갈등 89
      • 2.6.3.28 분석 장면28. 훈민정음을 대신들에게 배포하는 세종 90
      • 2.6.3.29 분석 장면29. 중전의 천도제에 참석한 세종 92
      • 제3장. 결론 95
      • 참고문헌 98
      • 국문초록 100
      • ABSTRACT 1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