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생활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 An Analysis on the Difficulty Factors in the Guidance of Included Class Teachers Facing in Include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4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 통합학급 교사들이 통합교육에서 생활지도를 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학급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생활하는 공...

      본 연구는 초등 통합학급 교사들이 통합교육에서 생활지도를 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학급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으로 생활지도를 할 때 느끼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부담 요인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2019년 3월 통합교육을 1년 이상 운영한 교사를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선정하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5월 1∼2주간 질문지에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하고, 5월 3주에 자료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입력-범주화-영역화의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1900개의 요인이 68개의 소영역으로 분류되었고, 소영역의 내용은 14개의 중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최종적으로 교사의 지식 및 경험이 근간이 되는 ‘교사요인(33.5%)’, 문제행동 및 인식과 태도가 중심인 ‘학생요인(31.5%)’, 생활지도 여건에 따른 ‘환경요인(21.6%)’, 학부모 인식과 갈등의 ‘학부모 요인(13.3%)’ 순으로 총 4개의 대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초등교사가 통합학급에서 생활지도를 할 때 느끼는 어려움의 요인을 규명하여 이를 감소시키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활동하는 통합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 difficult in giving guidance in included education. In the included class, where disabled and non-disabled students work together, we used open questionn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 difficult in giving guidance in included education. In the included class, where disabled and non-disabled students work together, we used open questionnaires to identify what the specific and realistic difficulties and burdens are in the guidan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object of this study to the teachers that have managed included classes for over an year, who were selected through extraction method of convenience sample in March 2019, and asked them to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to the questionnair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week of May. On the third week, the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The retrieved data were processed in the form of input - categorization - zoning, and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1900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68 sub - domains, and the contents of the sub - domains were classified into 14 middle areas and finally four large areas in total. The large areas are Teacher Factors (33.5%), which are based on teachers’ knowledge and experience, Student Factors (31.5%), which are centered on problem behavior, awareness and attitude, Environmental Factors (21.6%), which depend on the conditions of guidance and Parents Factors (13.3%) of parents perceptions and confli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difficul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fe guidance in included classrooms, to reduce them,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ative growth of included education in which disabled students and non - disabled students work toge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숙경,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상담 및 생활지도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정동영, "특수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014

      3 정동영, "통합학급의 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전략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63-187, 2008

      4 김봉세,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학습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99-817, 2019

      5 최성규, "청각장애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기초한 생활지도 방안" 21 (21): 3-20, 1988

      6 김봉세,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 만족 요인의 속성과 영향력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183-205, 2015

      7 백종수, "중학교 기계체조 수업 운영 실태 및 부담 요인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83-100, 2006

      8 김봉세, "장애학생 통합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99-128, 2014

      9 우정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통한 사회과 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장애학생의 학습참여도 및 일반학생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63-86, 2008

      10 강문희, "아동정신건강" 정민사 2005

      1 강숙경,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상담 및 생활지도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정동영, "특수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2014

      3 정동영, "통합학급의 장애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전략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63-187, 2008

      4 김봉세, "통합학급 교사가 통합교육에서 직면하는 학습지도에 대한 어려움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99-817, 2019

      5 최성규, "청각장애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기초한 생활지도 방안" 21 (21): 3-20, 1988

      6 김봉세,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 만족 요인의 속성과 영향력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183-205, 2015

      7 백종수, "중학교 기계체조 수업 운영 실태 및 부담 요인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3 (13): 83-100, 2006

      8 김봉세, "장애학생 통합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99-128, 2014

      9 우정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을 통한 사회과 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장애학생의 학습참여도 및 일반학생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합교육학회 3 (3): 63-86, 2008

      10 강문희, "아동정신건강" 정민사 2005

      11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생활지도 실태 및 개선 방향"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0 (30): 107-127, 2014

      12 박주영, "생활지도 우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3 신희경, "교육심리학" 신정 2009

      14 교육부, "교원능력개발평가 표준매뉴얼"

      15 손강숙, "교사의 효과적인 생활지도 역량 탐색 연구: 중등학교 교육실습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 (20): 163-186, 2018

      16 강은영, "교사의 생활지도 태도가 청소년의 학교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26, 2016

      17 장지연,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작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규범습득 생활지도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8 김정섭,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서현사 2006

      19 Luke, M. D.,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11 : 31-46, 1991

      20 Figley, G. E., "Determinants of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4 : 229-240, 1985

      21 이명희, "ADHD 아동을 위한 학습과 생활지도" 46 : 379-39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