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복합 자질 기반 언어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채팅 문장 생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06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채팅 시스템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용하여 인간과 컴퓨터 간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핵심어와 화행을 입력으로 받아 자연스러운 채팅 문장을 생성하는 통계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먼저 핵심어를 포함한 어절을 말뭉치에서 선택하고, 해당 어절의 주위에 있는 어절의 출현 정보와 구문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문장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화행에 기초한 언어 모델, 어절간 공기 정보, 각 어절의 구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후보 문장 중 하나를 선택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 모델은 단순한 언어 모델에 기반한 기존의 모델보다 좋은 86.2%의 적합 문장 생성률을 보였다.
      번역하기

      채팅 시스템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용하여 인간과 컴퓨터 간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핵심어와 화행을 입력으로 받아 자연스러운 채팅 문장을 생성하...

      채팅 시스템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용하여 인간과 컴퓨터 간의 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논문에서는 핵심어와 화행을 입력으로 받아 자연스러운 채팅 문장을 생성하는 통계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먼저 핵심어를 포함한 어절을 말뭉치에서 선택하고, 해당 어절의 주위에 있는 어절의 출현 정보와 구문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문장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화행에 기초한 언어 모델, 어절간 공기 정보, 각 어절의 구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후보 문장 중 하나를 선택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 모델은 단순한 언어 모델에 기반한 기존의 모델보다 좋은 86.2%의 적합 문장 생성률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hatting system is a computer program that simulates conversations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using natural language. Assuming that keywords and speech acts are inputs of responding senten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pose method to create natural sentences. The proposed method is first to choose Eojeol, or a paragraph, including keywords, from chatting corpus, and to create sentence candidates fit in the constraint condition of generating sentence, having syntactic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paragraphs located around a corresponding paragraph. And the final step is to choose one of the sentence candidates by using the following: speech acts-based language model, co-occurrence between paragraphs, and syntactic information of each paragraph. According to the testing result, the proposed model shows 86.2% correct sentence generation rate, better than the previous models based on simple language model have.
      번역하기

      A chatting system is a computer program that simulates conversations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using natural language. Assuming that keywords and speech acts are inputs of responding senten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pose method to create n...

      A chatting system is a computer program that simulates conversations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using natural language. Assuming that keywords and speech acts are inputs of responding senten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pose method to create natural sentences. The proposed method is first to choose Eojeol, or a paragraph, including keywords, from chatting corpus, and to create sentence candidates fit in the constraint condition of generating sentence, having syntactic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paragraphs located around a corresponding paragraph. And the final step is to choose one of the sentence candidates by using the following: speech acts-based language model, co-occurrence between paragraphs, and syntactic information of each paragraph. According to the testing result, the proposed model shows 86.2% correct sentence generation rate, better than the previous models based on simple language model ha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II. 관련 연구 - 2
      • III. 한국어 채팅 문장 생성 시스템 - 4
      • 1. 후보 문장 생성 - 5
      • 2. 응답 문장 선택 - 7
      • I. 서론 - 1
      • II. 관련 연구 - 2
      • III. 한국어 채팅 문장 생성 시스템 - 4
      • 1. 후보 문장 생성 - 5
      • 2. 응답 문장 선택 - 7
      • IV. 실험 및 평가 - 15
      • V. 결론 - 19
      • 참고문헌 - 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