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정보화의 역기능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정보화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법 제도와 관련 시스템 기술을 구축하고 있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08785
천안 :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IT응용기술학과 , 2009. 8
2009
한국어
충청남도
vi, 75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정보화의 역기능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정보화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법 제도와 관련 시스템 기술을 구축하고 있지...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정보화의 역기능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정보화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법 제도와 관련 시스템 기술을 구축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인터넷 사용자의 윤리 의식이 개선되기 전에는 효율적인 예방책이 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역기능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 정보통신 윤리교육을 실천해야 할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통신 윤리와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 지역 초등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개발한 정보통신 윤리지표 예시안과 선행 연구를 통해 제작한 설문지다. 자료 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교차분석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는 정보통신 윤리 의식을 높이기 위해 저작파일을 불법으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지적 재산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타인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정보통신 윤리 교육은 저학년에서부터 실시되어야 하며, 불건전 정보의 유해성을 알리고 불건전 정보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전통적 교수법인 설명 위주의 훈화 및 예화 자료를 탈피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통신 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체계적인 정보통신 윤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정보통신 윤리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홍보 및 연수를 확대하여야 한다. 사이버 원격 연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면 연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제한이 없어 많은 교사들이 정보통신 윤리교육 연수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