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14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미술관에서 생성되는 미술 콘텐츠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저작권 서비스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창조산업에서 이미지저작권 콘텐츠 유통시장 활성화와 저작권 서비스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에 의해, 이미지저작권 보호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 다학제적으로 진행된 융복합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1,000여개의 뮤지엄(박물관, 미술관, 전시관 등)의 저작권료에 대한 산정, 분배, 정산, 모니터링에 대한 기준체계를 제안하여 이미지 저작물의 이용 활성화 및 재활용을 통한 미술콘텐츠 생태계 투명화 및 효율성 향상화를 위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우선,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내용설계 및 구조설계를 제안하였으며,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실현 시뮬레이션, 모델 가동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미술관 미술콘텐츠 유통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여, 미술 콘텐츠 저작권료 프로세스 모델을 설정하였다. 미술관 소장품 및 미술작품 유통 과금 기술 개발과 저작권 자동분배 및 정산 엔진 개발은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과금 체계 및 기술 개발이 미약하기 때문에 기본 프레임워크는 기존 콘텐츠 과금 프레임워크를 모델로 사용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미술작가, 미술관 학예사, 유통업체 등이 사용가능한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제안하였다. 사업화 전략에서는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틈새시장 침투전략(Niche penetration strategy)을 제안하였다. 판매확대 전략에서는 미술관 아카이브 시스템의 유동적 연결을 통하여, B2B, B2G, B2C, C2B 형태의 이미지 거래를 효율적으로 진행되게 하며, 이미지 저작물의 관리가 통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수립되었다.
      향후 혹은 앞으로의 과제는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 및 신규 창작 작품의 미술 콘텐츠 분쟁예방 및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미술작품에 대한 이미지저작권자와 소유자간의 분쟁 등을 최소화하고, 미술품 저작물의 관리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술관의 소장품 및 신규작품에 대한 아카이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 이미지저작권 등록 증대가 예상되며, 이미지저작권 유통 서비스에 대한 저작권료, 과금, 분배, 정산 등 다양한 융합적 비즈니스 활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미술관에서 생성되는 미술 콘텐츠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저작권 서비스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창조산업에서 이미지저작권 콘텐츠 유통시장 활성화와...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미술관에서 생성되는 미술 콘텐츠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저작권 서비스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창조산업에서 이미지저작권 콘텐츠 유통시장 활성화와 저작권 서비스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에 의해, 이미지저작권 보호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 다학제적으로 진행된 융복합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1,000여개의 뮤지엄(박물관, 미술관, 전시관 등)의 저작권료에 대한 산정, 분배, 정산, 모니터링에 대한 기준체계를 제안하여 이미지 저작물의 이용 활성화 및 재활용을 통한 미술콘텐츠 생태계 투명화 및 효율성 향상화를 위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우선,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내용설계 및 구조설계를 제안하였으며,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실현 시뮬레이션, 모델 가동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미술관 미술콘텐츠 유통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여, 미술 콘텐츠 저작권료 프로세스 모델을 설정하였다. 미술관 소장품 및 미술작품 유통 과금 기술 개발과 저작권 자동분배 및 정산 엔진 개발은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과금 체계 및 기술 개발이 미약하기 때문에 기본 프레임워크는 기존 콘텐츠 과금 프레임워크를 모델로 사용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미술작가, 미술관 학예사, 유통업체 등이 사용가능한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제안하였다. 사업화 전략에서는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틈새시장 침투전략(Niche penetration strategy)을 제안하였다. 판매확대 전략에서는 미술관 아카이브 시스템의 유동적 연결을 통하여, B2B, B2G, B2C, C2B 형태의 이미지 거래를 효율적으로 진행되게 하며, 이미지 저작물의 관리가 통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수립되었다.
      향후 혹은 앞으로의 과제는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 및 신규 창작 작품의 미술 콘텐츠 분쟁예방 및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미술작품에 대한 이미지저작권자와 소유자간의 분쟁 등을 최소화하고, 미술품 저작물의 관리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술관의 소장품 및 신규작품에 대한 아카이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 이미지저작권 등록 증대가 예상되며, 이미지저작권 유통 서비스에 대한 저작권료, 과금, 분배, 정산 등 다양한 융합적 비즈니스 활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multi-disciplinary convergent study is to establish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for Museums to protect image copyright and vitalize the use of images out of 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copyright services over the life cycle of art contents created by the museums and out of the necessity to vitalize distribution market of image copyright contents in creative industry and to formulate management system of copyright services.
      This study made various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art contents ecosystem through vitalization of use and recycling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by proposing standard system for calculation, distribution, settlement and monitoring of copyright royalty of 1,000 domestic museums, galleries and exhibit halls. First, this study proposed contents and structure design of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and, by proposing art contents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for prototype simulation, execution simulation and model operation simulation, established art contents copyright royalty process model. As billing syste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image contents are still in incipient stage, this study used the existing contents billing framework as basic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billing technology for distribution of museum collections and artworks and automatic division and calculation engine for copyright royalty. Ultimately, study suggested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which can be used by artists, curators and distributors. In business strategy, study suggested niche market penetration of museum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In sales expansion strategy, study established a business model in which effective process of image transaction can be conducted in the form of B2B, B2G, B2C and C2B through flexible connection of museum archive system and controllable management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can be possible.
      This study is expected to minimize disputes between copyright holder of artwork images and their owners and enhance manageability of copyrighted artworks through prevention of such disputes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rt contents (of collections and new creations) owned by the museums. In addition, by providing a guideline for archives of collections of museums and new cre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registration of image copyright and to make various convergent businesses possible such as billing, division and settlement of copyright royalty for image copyright distribution servi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multi-disciplinary convergent study is to establish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for Museums to protect image copyright and vitalize the use of images out of 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copyright services over the lif...

      The purpose of this multi-disciplinary convergent study is to establish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for Museums to protect image copyright and vitalize the use of images out of 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copyright services over the life cycle of art contents created by the museums and out of the necessity to vitalize distribution market of image copyright contents in creative industry and to formulate management system of copyright services.
      This study made various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art contents ecosystem through vitalization of use and recycling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by proposing standard system for calculation, distribution, settlement and monitoring of copyright royalty of 1,000 domestic museums, galleries and exhibit halls. First, this study proposed contents and structure design of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and, by proposing art contents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for prototype simulation, execution simulation and model operation simulation, established art contents copyright royalty process model. As billing syste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image contents are still in incipient stage, this study used the existing contents billing framework as basic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billing technology for distribution of museum collections and artworks and automatic division and calculation engine for copyright royalty. Ultimately, study suggested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which can be used by artists, curators and distributors. In business strategy, study suggested niche market penetration of museum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In sales expansion strategy, study established a business model in which effective process of image transaction can be conducted in the form of B2B, B2G, B2C and C2B through flexible connection of museum archive system and controllable management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can be possible.
      This study is expected to minimize disputes between copyright holder of artwork images and their owners and enhance manageability of copyrighted artworks through prevention of such disputes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rt contents (of collections and new creations) owned by the museums. In addition, by providing a guideline for archives of collections of museums and new cre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registration of image copyright and to make various convergent businesses possible such as billing, division and settlement of copyright royalty for image copyright distribution ser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고찰 분석
      • Ⅲ.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 제안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고찰 분석
      • Ⅲ.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 제안
      • Ⅳ.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현우, "이미지 저작권 보호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5 : 233-247, 2014

      2 이재경, "응용미술품의 저작권법적인 보호- 이승환 vs 컨츄리꼬꼬의 “무대디자인 도용” 사건을 계기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683-727, 2008

      3 이정재, "스마트환경에 따른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2 : 221-227, 2013

      4 안현정, "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교육학회 9 (9): 91-123, 2014

      5 하은옥,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적 검색과 관리를 위한 UCI 식별체계의 온톨로지 적용" 한국전자거래학회 14 (14): 215-228, 2009

      6 양연경, "국가 R&D 산출물 성과관리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개선방안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471-483, 2015

      7 "http://www.uci.or.kr"

      8 "http://www.law.go.kr"

      9 "http://www.komca.or.kr"

      10 "http://www.copyrightkorea.or.kr"

      1 남현우, "이미지 저작권 보호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5 : 233-247, 2014

      2 이재경, "응용미술품의 저작권법적인 보호- 이승환 vs 컨츄리꼬꼬의 “무대디자인 도용” 사건을 계기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683-727, 2008

      3 이정재, "스마트환경에 따른 디지털콘텐츠식별체계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2 : 221-227, 2013

      4 안현정, "미술감상교육에서의 저작권 활용방안 연구- 미술작품의 공정이용(Fair use)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교육학회 9 (9): 91-123, 2014

      5 하은옥,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적 검색과 관리를 위한 UCI 식별체계의 온톨로지 적용" 한국전자거래학회 14 (14): 215-228, 2009

      6 양연경, "국가 R&D 산출물 성과관리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개선방안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471-483, 2015

      7 "http://www.uci.or.kr"

      8 "http://www.law.go.kr"

      9 "http://www.komca.or.kr"

      10 "http://www.copyrightkorea.or.kr"

      11 "http://www.copyright.or.kr"

      12 "http://news.naver.com"

      13 남현우, "UCI를 기반으로 한 미술관 이미지 저작권 분류체계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5 (15): 29-40, 2015

      14 Park, Moon Seong, "Study about copyright management reformation for improving protection and utilizing of copyright" Yonsei University Graduate 2011

      15 Back, Yoon Chul, "Public database Enabled distribution system naintenance" 2006

      16 Kim, Dal Jin, "Korea Artisis Guest book" Kim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2010

      17 Hwang, Gyu Seong, "A Study on the Collection Policy and Management System of Fine Art Museum" 10·11 : 2006

      18 Kim, Ki Hyun, "A Study On Introducing Art Archives to Korea" Chung-ang University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