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형랑의 목랑신앙 = Worshipping Mok-naang after the Appearance of Bee-hyeong-naa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rshipping Mok-naang(木郞) after the Appearance of Bee-hyeong-naang(鼻荊郞):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 a late 13th century text, stated that Bee-hyeong- naang was born between the ghost of King Jin-ji(眞智王...

      Worshipping Mok-naang(木郞) after the Appearance of Bee-hyeong-naang(鼻荊郞):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 a late 13th century text, stated that Bee-hyeong- naang was born between the ghost of King Jin-ji(眞智王) and a widow named Dou-hwa-yeo(桃花女) or Peach-Flower-Lady. The story goes that King Jin-ji asked Dou-hwa to have a relationship with him, but she declined, for she was loyal only to her husband. After the death of King Jin-ji in 579 and the death of Dou-hwa’s husband in 581, the late king’s ghost visited Dou-hwa and stayed with her for seven days. Dou-hwa then became pregnant and later gave birth to Bee-hyeong. Bee-hyeong in this narrative is being considered to be a fictional character representing Yong-chun(龍春) who was the son of King Jin-ji and father of King Mu-Yeol(武烈王).
      『Geographic Survey of the Eastern Kingdom』(『東國輿地勝覽』), a 16th century text, stated that “Mok-naang, i.e., Duduri(豆豆里), has been worshipped since the appearance of Bee-hyeong-naang,” and that “Duduri chases away ghosts by posting spells at doors.” Mok-naang has been considered to be a dokkaebi, i.e., a goblin, made of wood.
      This paper examined the nature of Mok-naang. Mok-naang turned out to be the five Buddhist gods, appearing in the 7th book of 『Sutra of Consecration』(灌頂經), that repel goblins, ghosts, misfortunes, disasters, enemies, etc. The gods exercising the power of Mok-raang, i.e., gods’ mudra(神印), consist of Dìshìtiān(帝釋天) and Four Great Heavenly Kings(四天王). It seems that the Dragon Kings of Five Directions(五方龍神) can also seize the power. The five kings are the blue one in the east, the red one in the south, the white one in the west, the black one in the north, and the yellow one at the center. Many temples in Korea today have Four Great Heavenly Kings color-coded in this way.
      This paper also examined the true identity of ‘Bee-hyeong-naang. ‘Bee-hyeong-naang(鼻荊郞)’ translates into the ‘beginning(鼻) of thorn-man(荊郞)’ where thorn(荊), like peach(桃) in Dou-hwa-yeo(桃花女), has a power to sweep away ghosts, goblins, bad fortunes, etc. Bee-hyeong-naang turned out to be an esoteric Buddhist monk called Ahn-haam(安含), i.e., Ahn-Hong(安弘), a half brother of Yong-chun(龍春). According to 『Biographies of Eminent Korean Monks』(海東高僧傳), an early 13th century text, he was born in the year King Jin-ji died. He studied Esoteric Buddhism(密敎) in Sui(隋) from 601 and returned to Silla in 605 with a śarīra(舍利) claimed to be that of Śākyamuni(釋迦牟尼) and various sutras(佛經) presumably including the 『Sutra of Consecration』(灌頂經) and the 『Golden Light Sutra』(金光明經).
      Upon returning to Silla, Bee-hyeong-naang, i.e., Ahn-Haam(安含), removed the shamanic Buddhist monks from Heung-ryeun-sa(興輪寺), the first Buddhist temple in Silla, with a more formalized and systematic religious dogma imported from Sui. The ghosts that claimed to have built the Ghost Bridge overnight in Gyeongju(慶州), the capital of Silla, were the shamanic Buddhist monks.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used a number of different aliases for Ahn-haam i.e., Ahn-Hong. It used ‘Bee-hyeong-naang(鼻荊郞)’ to describe the birth and early life of Ahn-haam. Then, it changed the alias to ‘Mil-born(密本)’ to indicate that he had formed the root of Korean esoteric Buddh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栗谷全書"

      2 "禮記"

      3 문명대, "良志와 그의 作品論" 1 : 1973

      4 손혜리, "洛下生 李學逵의 『嶺南樂”』 再論" 영남문화연구원 (24) : 279-318, 2013

      5 權悳永, "金仁問 小傳" 한국문화사학회 (21) : 417-440, 2004

      6 이영호, "통일신라시대의 王과 王妃" 신라사학회 (22) : 5-60, 2011

      7 변동명, "충숙왕의 밀교대장 금자사경" 역사학회 (184) : 41-77, 2004

      8 장윤성, "첨성대 회위정(囬囲井) 가설" 한국고대사학회 (54) : 463-502, 2009

      9 장활식, "첨성대 축조 발원자" 신라문화연구소 49 : 31-64, 2017

      10 김병곤, "진평왕의 즉위와 지증왕계 인물의 동향" 한국고대사학회 (56) : 301-336, 2009

      1 "栗谷全書"

      2 "禮記"

      3 문명대, "良志와 그의 作品論" 1 : 1973

      4 손혜리, "洛下生 李學逵의 『嶺南樂”』 再論" 영남문화연구원 (24) : 279-318, 2013

      5 權悳永, "金仁問 小傳" 한국문화사학회 (21) : 417-440, 2004

      6 이영호, "통일신라시대의 王과 王妃" 신라사학회 (22) : 5-60, 2011

      7 변동명, "충숙왕의 밀교대장 금자사경" 역사학회 (184) : 41-77, 2004

      8 장윤성, "첨성대 회위정(囬囲井) 가설" 한국고대사학회 (54) : 463-502, 2009

      9 장활식, "첨성대 축조 발원자" 신라문화연구소 49 : 31-64, 2017

      10 김병곤, "진평왕의 즉위와 지증왕계 인물의 동향" 한국고대사학회 (56) : 301-336, 2009

      11 고현아, "진지왕의 즉위과정과 정책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58) : 5-36, 2015

      12 서윤길, "조선조 불교사상연구" 20 : 1983

      13 김창현, "신라왕경과 고려 도성" 29 : 2001

      14 최홍조, "신라 神行禪師碑의 건립과 그 정치적 배경" 11 : 2013

      15 장지훈, "신라 佛敎의 密敎的 성격" 16 : 2001

      16 김복순, "수·당의 교체 정국과 신라 불교계의 추이" 한국고대사학회 (43) : 169-196, 2006

      17 이동근, "삼국유사의 편찬배경과 과정" 16 : 1997

      18 김상현, "삼국유사의 역사방법론적 고찰" 23 : 1993

      19 장활식,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밀본의 실체" 신라문화연구소 47 : 103-138, 2016

      20 김복순, "삼국유사 ‘명랑신인’조의 구성과 신인종 성립의 문제" 32 : 2011

      21 박기용, "불교설화로 본 도깨비 어원 연구" 우리말글학회 67 : 139-165, 2015

      22 최인학, "도깨비의 民俗學的 考察" 10 : 1979

      23 김덕원, "김용춘의 생애와 활동" 12 : 2000

      24 이명현, "구미호의 이중적 관념과 고전서사 수용양상" 우리문학회 (41) : 213-239, 2014

      25 강영경, "고대 한국 무속의 역사적 전개-신라 진평왕대의 ?鬼(피귀)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회 (10) : 37-92, 2005

      26 장활식, "경주 첨성대의 방향과 상징성" 신라문화연구소 42 : 111-154, 2013

      2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오릉 북편 교량지 발굴조사 보고서" 2002

      28 "高麗史節要"

      29 "高麗史"

      30 서윤길, "高麗 密敎信仰의 展開와 그 特性" 19 : 1982

      31 김당택, "高麗 仁宗朝의 西京遷都·稱帝建元·金國征伐論과 金富軾의 三國史記 편찬" 170 : 2001

      32 "隋書"

      33 "阿吒薄俱元帥大將上佛陀羅尼經修行儀軌"

      34 "阿吒婆拘鬼神大將上佛陀羅尼神呪經"

      35 "閱藏知津"

      36 "輿地圖書"

      37 강은해, "豆豆里(木郞)再考-도깨비의 명칭 分化와 관련하여" 16 : 1989

      38 "請觀世音菩薩消伏毒害陀羅尼呪經"

      39 "蔚珍鳳坪新羅碑"

      40 "蔚州川前里刻石"

      41 朴南守, "蔚州 川前里 書石銘에 나타난 眞興王의 王位繼承과 立宗葛文王" 한국사연구회 (141) : 1-50, 2008

      42 "荊楚歲時記"

      43 김복순, "興輪寺와 七處 伽藍" 신라문화연구소 (20) : 39-56, 2002

      44 "續高僧傳"

      45 "紫栢老人集"

      46 "禪宗頌古聯珠通集"

      47 "石屛集"

      48 "眞樂公文殊院記"

      49 "玄沙語錄"

      50 "涅槃經疏三德指歸"

      51 "海東高僧傳"

      52 "洛下生集"

      53 "法界聖凡水陸大齋法輪寶懺"

      54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55 김기흥, "桃花女·鼻荊郎 설화의 역사적 진실" 41·42 : 1999

      56 김홍철, "桃花女 鼻荊郞 說話 考" 청주대학교 11 (11): 1998

      57 "東方最勝燈王陀羅尼經"

      58 "東國輿地勝覽"

      59 "東京雜記"

      60 박은용, "木郞攷­도깨비의 語源攷" 2 : 1986

      61 "斷俗寺神行禪師碑"

      62 강우방, "新良志論-良志의 活動期와 作品世界" 47 : 1991

      63 문명대, "新羅 神印宗의 硏究" 41 : 1976

      64 박용국, "新羅 眞智王의 廢位와 眞平王 初期의 政治的 性格" 대구사학회 85 : 1-30, 2006

      65 김두진, "新羅 眞平王代 初期의 政治改革—三國遺事 所載 「도화녀·비형랑」條의 分析을 中心으로" 69 : 1990

      66 장창은, "新羅 炤知王代 對高句麗關係와 政治變動" 한국사학회 (78) : 1-35, 2005

      67 장창은, "新羅 智證王의 執權과 對高句麗 防衛體系의 확립" 한국고대사학회 (45) : 97-131, 2007

      68 윤선태, "新羅 中代의 成典寺院과 國家儀禮" 23 : 2002

      69 朴洪國, "斯盧 6村의 위치에 대한 試論" 신라문화연구소 (21) : 259-282, 2003

      70 "成宗實錄"

      71 "慵齋叢話"

      72 "寶星陀羅尼經"

      73 김연민, "密本의 『藥師經』 신앙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학회 (65) : 203-239, 2012

      74 "定宗實錄"

      75 "宋子大全"

      76 신종원, "安弘과 新羅佛國土說" 3 : 1992

      77 "孔雀王呪經"

      78 "太祖實錄"

      79 "太宗實錄"

      80 "大邱戊戌銘塢作碑"

      81 "大東地志"

      82 "大寒林聖難拏陀羅尼經"

      83 "增壹阿含經"

      84 "周禮"

      85 "北齊書"

      86 신용철, "初期 新羅 佛塔觀에 대한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27) : 447-465, 2007

      87 "冊府元龜"

      88 "全唐詩"

      89 "全唐文"

      90 "光海君日記"

      91 "佛說陀羅尼集經"

      92 "佛說灌頂經"

      93 "佛說大金色孔雀王呪經"

      94 "佛說呪魅經"

      95 "佔畢齋集"

      96 신종원, "三國遺事 善德王知幾三事條의 몇 가지 問題" 17 : 1996

      97 "三國遺事"

      98 "三國史記"

      99 곽승훈, "『해동고승전』 안함전 연구"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7) : 117-145, 2014

      100 박기용, "『고려대장경』 불교설화의 도깨비 연구 - 인도와 중국 불경의 도깨비 관련성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7 : 191-221, 2013

      101 신종원, "≪삼국유사≫ <도화녀비형랑>조에 보이는 ‘귀신’ 세력" 신라사학회 (14) : 5-26, 2008

      102 장활식, "[해동고승전] 「釋안함」전의 분석" 신라문화연구소 46 : 243-278,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0 통합 KCI등재
      2020-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of Research for Silla Culture Dongguk University ->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of Dongguk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9 1.45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