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은 인간이 구성하는 모든 사회집단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이면서지속되는 집단이다. 다양한 사회문제들의 근원을 찾아가다 보면 늘 그 끝에 가족문제가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가족은 인간이 구성하는 모든 사회집단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이면서지속되는 집단이다. 다양한 사회문제들의 근원을 찾아가다 보면 늘 그 끝에 가족문제가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는...
가족은 인간이 구성하는 모든 사회집단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이면서지속되는 집단이다. 다양한 사회문제들의 근원을 찾아가다 보면 늘 그 끝에 가족문제가 있다. 오늘날 우리사회는 걷잡을 수 없는 사회 변화와 빠르게 형성되고 해체되어지는 새로운 가치관들 속에서 잠재적 갈등과 불안이 증폭되고 있는 현실이다. 가족도 이러한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다. 최근 가족학자들 사이에서도 ‘미래의가족이 과연 붕괴 할 것인가? 존속할 것인가? 존속한다면 그 의미는 무엇이고 어떤 형태로 변화해 갈 것 인가’에 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건강한 가족과 행복한 가족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지만 시대가 변함에 따라 그것에대한 일관적이고 온전한 모습을 설명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별히 한국교회는고전적 핵가족의 형태만이 규범적 가족이라는 주장이 이미 설득력을 잃어가는 현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현대사회의 다양한 내적, 외적 변화가 가족형태 뿐 아니라 전통적 가족구조와 가치에 대한 근본적 변화를 요청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전통적 핵가족 개념에 기초해서 실천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가족관련 선교와 사역은 현대사회 가족해체와 그로 인한 문제와 위기를 분석하고 극복하는데큰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 급속하게 진행되는 가족해체의 상황과 그것으로 인한 위기를 분석하고 기독교적 가족의 의미를 새롭게 규명함으로써 아름답고 건강한 가족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족 신학의 재정립을모색하고자 한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가족의 절대적 중요성을 강조는 것에 비해 가족에 대한 신학적, 성서적 연구가 매우 일천함을 지적하면서, 본 논문이 시대적 변화에 응답하는 가족신학의 정립에 기여함으로 가족에 대한 신학적 담론을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또한 이러한 가족 신학적 담론들이 다양한 가족의 위기를 복음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건강한 가족관과 한국교회 가족선교의 바른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남순, "페미니즘과 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1998
2 Balswick, Jack O., "크리스천 가정" 두란노 1995
3 Toffler, Alvin, "제 3의 물결" 범우사 1992
4 Beck, Ulrich,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새물결 2010
5 "여성성이 뜬다"
6 "서울연합뉴스, 2010. 8. 15"
7 Elkind, David, "변화하는 가족: 새로운 가족 유대와 불균형" 이화여대출판부 1999
8 한국가족관계학회, "가족학이론" 교문사 2002
9 여성한국사회연구회, "가족과 한국사회" 경문사 2001
10 Balswick, Jack O., "The Family : a christian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Home" Baker Academic 2007
1 강남순, "페미니즘과 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1998
2 Balswick, Jack O., "크리스천 가정" 두란노 1995
3 Toffler, Alvin, "제 3의 물결" 범우사 1992
4 Beck, Ulrich, "위험에 처한 세계와 가족의 미래" 새물결 2010
5 "여성성이 뜬다"
6 "서울연합뉴스, 2010. 8. 15"
7 Elkind, David, "변화하는 가족: 새로운 가족 유대와 불균형" 이화여대출판부 1999
8 한국가족관계학회, "가족학이론" 교문사 2002
9 여성한국사회연구회, "가족과 한국사회" 경문사 2001
10 Balswick, Jack O., "The Family : a christian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Home" Baker Academic 2007
11 Breazeale, Kathlyn A, "Mutual Empowerment : A Theology of Marriage, Intimacy, and Redemption" Fortress Press 2008
12 Post, Stephen G, "More Lasting Union : Christianity, the Family, and Society"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0
13 Cahill, Lisa Sowle, "Family : A Christian Social Persepctive" Fortress Press 2000
14 "2005년 인구 및 주택 총 조사 보고서"
15 한국가족문화원, "(새로 본) 가족과 한국사회: 변화하는 가족의 삶 읽기" 경문사 2009
칼 바르트 신학에서『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의 위치와 의의
소비문화의 종교성과 소비 이데올로기 비판 - 소비인간의 이미지와 대리적 소비를 중심으로
신학적 행위와 종말론적 예술로서의 예배에 대한 신학적 이해 : -회상(Anamnetic)과 청원(Epicletic)으로서의 예배 신학 정립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