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들의 메가이벤트 개최에 대한 영향인식을 개최 전과 개최 후 시점에서 비교하고, 지역주민들의 영향인식이 동계올림픽 개최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67572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3-116(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들의 메가이벤트 개최에 대한 영향인식을 개최 전과 개최 후 시점에서 비교하고, 지역주민들의 영향인식이 동계올림픽 개최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
본 연구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들의 메가이벤트 개최에 대한 영향인식을 개최 전과 개최 후 시점에서 비교하고, 지역주민들의 영향인식이 동계올림픽 개최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개최 전과 개최 후 시점에서 비교함으로써 이벤트 개최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전 조사와 개최 후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최 전 지역주민들은 긍정적 측면의 문화적 영향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부정적 측면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는 매우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정적 측면의 경제영향에 대해서도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개최 후에는 개최 전과 동일하게 긍정적 측면의 문화적 영향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긍정적 환경영향과 부정적 경제영향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부정적 측면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는 개최 전과 동일하게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긍정적 측면의 경제영향에 대한 인식도 낮은 수준이었다. 개최 효과인식에서는 지역 경제와 지역 홍보에 도움 모두에서 개최 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주민의 영향인식이 개최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개최 전의 경우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의 경제, 사회문화 및 환경영향 모두 개최 효과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개최 후에서는 부정적 경제영향을 제외한 긍정적 측면의 경제, 사회문화, 환경영향과 부정적 측면의 사회문화, 환경영향이 개최 효과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개최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긍정적 경제영향에서 개최 전보다 개최 후에서 긍정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부정적 사회문화영향에서는 개최 전보다 개최 후에 부정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부정적 환경영향에서는 개최 전에는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나 개최 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메가이벤트 개최에 대한 지역주민의 영향인식이 개최 전과 개최 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밝혀낸 것으로서 지역주민의 기대를 파악하고 그것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석표, "확장된 계획행동 모형을 적용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지역주민의 참여의도 검증" 한국체육학회 56 (56): 339-349, 2017
2 이충기, "폐광카지노 지역주민 인식변화에 관항 종단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3 (13): 1-12, 2004
3 류천훈,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의 경제ㆍ사회적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올림픽 개최지역에 대한 기대효과, 신뢰, 참여 등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2 (12): 115-134, 2013
4 경향신문, "평창동계올림픽 619억 원 흑자 달성"
5 박용순,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형성에 대한 종단연구: 4개 농촌마을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 (34): 117-137, 2019
6 이후석, "지역애착과 관광영향인식이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지지여부에 미치는 영향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5-16, 2014
7 전호문, "지역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지역발전 기대요인이 지역 주민의 협력효과 및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447-456, 2012
8 김상원, "제주도 방문 관광객의 방문 전후 이미지차이 분석" 4 : 125-146, 2000
9 연합뉴스, "올림픽 결산 교통 시설 인프라 구축 지역경제 효과 '톡톡'"
10 박경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메가이벤트 개최 효과 분석: 대장경문화축전에의 적용"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4 (14): 31-53, 2013
1 홍석표, "확장된 계획행동 모형을 적용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지역주민의 참여의도 검증" 한국체육학회 56 (56): 339-349, 2017
2 이충기, "폐광카지노 지역주민 인식변화에 관항 종단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3 (13): 1-12, 2004
3 류천훈,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의 경제ㆍ사회적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올림픽 개최지역에 대한 기대효과, 신뢰, 참여 등을 중심으로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2 (12): 115-134, 2013
4 경향신문, "평창동계올림픽 619억 원 흑자 달성"
5 박용순,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형성에 대한 종단연구: 4개 농촌마을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 (34): 117-137, 2019
6 이후석, "지역애착과 관광영향인식이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지지여부에 미치는 영향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8 (28): 5-16, 2014
7 전호문, "지역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지역발전 기대요인이 지역 주민의 협력효과 및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447-456, 2012
8 김상원, "제주도 방문 관광객의 방문 전후 이미지차이 분석" 4 : 125-146, 2000
9 연합뉴스, "올림픽 결산 교통 시설 인프라 구축 지역경제 효과 '톡톡'"
10 박경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메가이벤트 개최 효과 분석: 대장경문화축전에의 적용"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4 (14): 31-53, 2013
11 최정자, "메가이벤트(Mega Event)의 영향에 대한지역주민의 지각과 태도 : 경주 세계문화엑스포를 중심으로" 23 : 261-282, 2006
12 김미경, "메가이벤트 개최전후 지역주민의 영향인식과 지역애착도 비교연구"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3 (13): 45-66, 2013
13 박복재, "메가 이벤트 개최 전후 개최지역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통상정보학회 17 (17): 289-307, 2015
14 박상윤, "국제스포츠이벤트 유치에 대한 국민인식이 지지도 및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7 (47): 81-91, 2008
15 매일경제, "국민 81.4% “평창올림픽 성공적” 경제효과 41조원 이상 추산도"
16 김진옥, "관광개발영향이 지역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남부 폐광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국관광학회 41 (41): 69-83, 2017
17 Paternoster, R., "Using the correct statistical test for the equality of regression coefficients" 36 (36): 859-866, 1998
18 Getz, D., "Trends and issues in sport event tourism" 22 (22): 61-62, 1997
19 Kim, H. J., "The impact of the 2002 World Cup on South Korea : Comparisons of pre-and post-games" 27 (27): 86-96, 2006
20 Edwards, J. R., "The UK heritage coasts : an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impacts of tourism" 14 (14): 71-87, 1987
21 Getz, D., "Residents’ attitudes towards tourism : A longitudinal study in Spey Valley, Scotland" 15 (15): 247-258, 1994
22 Mason, P., "Residents’ attitudes to proposed tourism development" 27 (27): 391-411, 2000
23 Ap, J., "Residents' perceptions research on the social impacts of tourism" 17 (17): 610-616, 1990
24 Ap, J., "Residents' perceptions on tourism impacts" 19 (19): 665-690, 1992
25 Gibson, H. J., "Psychic income and social capital among host nation residents : A pre-post analysis of the 2010 FIFA World Cup in South Africa" 44 : 113-122, 2014
26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11
27 Deccio, C., "Nonhost community resident reactions to the 2002 Winter Olympics : The spillover impacts" 41 (41): 46-56, 2002
28 Lorde, T., "Local residents’perceptions of the impacts of the ICC Cricket World Cup 2007 on Barbados : Comparisons of pre-and post-games" 32 (32): 349-356, 2011
29 김민철, "IPA기법을 활용한 지역주민이 지각하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과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74) : 231-242, 2018
30 Kim, K., "How does tourism in a community impact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residents?" 36 : 527-540, 2013
31 Getz, D., "Festivals, special events, and tourism" Van Nostrand Reinhold 1991
32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Factsheet: The olympic winter games"
33 Lee, C. K.,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a mega-event on host and neighbouring regions" 36 (36): 138-152, 2017
34 Crompton, J. L., "Economic impact analysis of sports facilities and events : Eleven sources of misapplication" 9 (9): 14-35, 1995
35 Lee, C. K., "Critical reflections on the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a mega-event : the case of 2002 FIFA World Cup" 26 (26): 595-603, 2005
36 Chi, C. G. Q., "Changing perceptions and reasoning process : Comparison of residents’ pre-and post-event attitudes" 70 : 39-53, 2018
37 이계영,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평화올림픽 성과와 과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151-166, 2018
38 인경현, "2018평창동계올림픽 레거시 기대효과와 지역사회의식 및 행동의도 간 관계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7 (27): 441-452, 2018
39 서세훈,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재도전에 대한 개최예정후보지역 주민 인식조사" 10 : 37-46, 2012
40 박진경,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올림픽레거시와 경기장 시설 사후활용방안" 한국체육학회 53 (53): 357-372, 2014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승객과의 라포(Rapport) 및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라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축제방문객에 의한 축제품질과 진정성 지각이 축제신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광안리어방축제와 낙동강구포나루축제를 중심으로
축제 자원봉사자의 교육훈련이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정감 및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 2017 금산 세계인삼엑스포 대상
대학의 서비스 품질, 대학 이미지 및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7-12-2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3-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관광연구저널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5 | 1.95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2 | 1.8 | 2.18 | 0.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