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혼 후 재혼(동거)가정 내 계부모에 대한 호칭 관련 심리적 기제에 관한 연구-상담에의 함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3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 이혼 후 재혼(동거)가정 자녀의 계부모에 대한 호칭을 둘러싼 갈등을 자녀의 시각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본 연구는 부모 이혼 후 재혼(동거)가정 자녀의 계부모에 대한 호칭을 둘러싼 갈등을 자녀의 시각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부모 이혼후 재혼(동거)가정의 20대 자녀 4명이다. 자료 분석 결과, 자녀들이 계부모에게 아버지/어머니라 부르기 주저하는 이유는 ‘친부모가 있는데 왜 그분을 아버지/어머니라 불러야 하나요?’, ‘아버지/어머니 없이 살아왔는데, 이제 와서 왜 필요하나요?’, ‘그 분이 편하지 않아서 아버지/어머니라 부르지 않아요!’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혼 후 재혼(동거)가정 자녀의 계부모에 대한 호칭을 둘러싼 갈등 중재를 위한 상담의 지침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psychological mechanisms about the appellation of the stepparent by children of reconstituted(cohabited) family after parents’ divorce in the child’s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 was used for the qua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psychological mechanisms about the appellation of the stepparent by children of reconstituted(cohabited) family after parents’ divorce in the child’s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 was used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four children from reconstituted(cohabitated) families after their parents’ divorce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reason children hesitate to call their stepparents father or mother is that ‘why do I need to call them my father/mother when I have my own?’ ‘why do I need them when I have been living just fine without them?’ ‘I don’t call them father/mother because it is just uncomfortable!’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counseling guidelines were provided to arbitrate conflicts about appellations stepparent by children of reconstituted (cohabited) family after parents’ divor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문헌 고찰
      • Ⅲ.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문헌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순, "청소년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의 새부모역할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3 (23): 137-168, 2011

      2 김효순, "청소년 자녀가 있는 재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 75-102, 2007

      3 박선영, "재혼초기 모친과 동거하는 여중생의 가족생활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285-304, 2015

      4 박희정,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36-252, 2017

      5 임춘희, "재혼가족 청소년의 친부모관계와 새부모관계에 대한 연구 -재혼가족에 대한 고정관념과 재혼가족신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79-102, 2006

      6 김효순,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4 (14): 65-86, 2007

      7 김효순, "재혼가족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 새부모·새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2-280, 2015

      8 임춘희, "재혼가정 청소년의 적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가족관계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5 (15): 743-760, 2006

      9 고은영, "재혼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가족생활적응의 관계: 가족경계혼란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397-419, 2012

      10 유희정, "이혼 후 비양육부/모의 자녀와의 관계및 협력적 부모역할에 관한 고찰: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1 (1): 325-351, 2004

      1 김효순, "청소년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의 새부모역할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23 (23): 137-168, 2011

      2 김효순, "청소년 자녀가 있는 재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 75-102, 2007

      3 박선영, "재혼초기 모친과 동거하는 여중생의 가족생활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285-304, 2015

      4 박희정,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36-252, 2017

      5 임춘희, "재혼가족 청소년의 친부모관계와 새부모관계에 대한 연구 -재혼가족에 대한 고정관념과 재혼가족신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3 (13): 79-102, 2006

      6 김효순,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4 (14): 65-86, 2007

      7 김효순, "재혼가족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 새부모·새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62-280, 2015

      8 임춘희, "재혼가정 청소년의 적응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가족관계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5 (15): 743-760, 2006

      9 고은영, "재혼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가족생활적응의 관계: 가족경계혼란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397-419, 2012

      10 유희정, "이혼 후 비양육부/모의 자녀와의 관계및 협력적 부모역할에 관한 고찰: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1 (1): 325-351, 2004

      11 김효순, "새부모의 양육태도유형과 재혼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0) : 245-268, 2010

      12 지승희, "사이버상담 사례에 나타난 재혼가족 여자청소년의 어려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107-126, 2012

      13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1

      14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310523"

      15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

      16 A. I. Schwebel, "Understanding and Helping Families-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94

      17 W. M. Walsh, "Twenty Major Issues in Remarriage Families" 70 : 709-715, 1992

      18 F. F. Furstenberg, "The New Extended Family:The Experience of Parents and Children after Remarriage" guilford 1987

      19 P. R. Amato,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62 : 1269-1287, 2000

      20 C. Smart, "The Changing Experience of Childhood: Families and Divorce" blackwell 2001

      21 D. S. Quick, "Stepmothers and their Adolescentchildren:Adjustment to New Family Roles" greenwood press 1994

      22 K. Morrison, "Stepfamily Assessment : An Integrated Model" 24 (24): 163-182, 1995

      23 D. Mandell, "Stepfamilies: A Model for Groupwork Wthremarried Couples and their Children" 14 (14): 29-41, 1990

      24 J. Gosselin, "Risk and Resilience Factors Linked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Step-parents and Biological Parents" 48 (48): 29-53, 2007

      25 R. E. Emery, "Renegotiation Family Relationships: Divorce, Child Custody and Mediation" gilford 1994

      26 L. H. Ganong, "Remarried Family Relationships" sage publications 1994

      27 J. A. Seltz, "Relationships between Father and Children who Live Apart: The Father’s Role after Separation" 53 : 79-101, 1991

      28 M. Coleman, "Reinvestigating Remarriage : Another Decade of Progress" 62 : 1288-1307, 2002

      29 E. Sherman,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30 J. Gonzales, "Pre-family Counseling: Working with Blended Families" 50 (50): 148-157, 2009

      31 E. B. Visher, "Old Loyalties, New Ties" 1988

      32 Y. Lincoln,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33 P. G. Mulford, "Keys to Successful Stepmothering"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1996

      34 J. Gosselin,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Adjustment in Stepmother Familie Adolescents" 51 (51): 108-123, 2010

      35 M. Crosbie-Burnett, "Impact of Custody Arrangement and Family Structure on Remarriage" 13 (13): 1-15, 1989

      36 E. H. Erikson,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1968

      37 E. C. Shannon, "Family Structure History and Adolescent Adjustment" 29 (29): 944-980, 2008

      38 K. W. Doyle, "Development of the Stepfamily Events Profile" 16 (16): 128-171, 2002

      39 M. L. Keisha, "Attachment to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Examination of Young Adult College Students in Intact Families and Stepfamilies" 18 (18): 600-608, 2004

      40 E. Hetherington, "An Overview of the Virginia Longitudinal Study of Divorce and Remarriage with a Focus on Early Adolescence" 7 (7): 39-56, 1993

      41 B. M. Stoll, "Adolescents in Stepfamilies: A Qualitative Analysis" 44 (44): 177-18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