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추출온도에 따른 국내 벼 품종 미강의 항산화 활성 비교 =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by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Cultivars of Rice Bra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877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at temperatures of 10℃, 25℃, and 60℃ using 70% ethanol solution.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s in the 70% ethanol extract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rice bran extracts were 790.39∼930.07, 782.71∼1,039.57, and 848.22∼1,052.96 ㎎ gallic acid eq./100 g in 10℃, 25℃ and 60℃,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in all cultivars and temperatures was the highest in Cheonghaejinmi rice bran extracted at 25℃. The results obtained in the in vitro models suggest that extracts from rice bran, especially Cheonghaejinmi, has significant health-promoting effects, as it exhibits antioxidant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at temperatures of 10℃, 25℃, and 60℃ using 70% ethanol solution.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ave been used to 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at temperatures of 10℃, 25℃, and 60℃ using 70% ethanol solution.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s in the 70% ethanol extracts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rice bran extracts were 790.39∼930.07, 782.71∼1,039.57, and 848.22∼1,052.96 ㎎ gallic acid eq./100 g in 10℃, 25℃ and 60℃,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in all cultivars and temperatures was the highest in Cheonghaejinmi rice bran extracted at 25℃. The results obtained in the in vitro models suggest that extracts from rice bran, especially Cheonghaejinmi, has significant health-promoting effects, as it exhibits antioxidant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벼 품종(삼광, 미광, 칠보, 청해진미및 조운)의 도정 부산물인 미강에 대한 추출 온도에 따른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과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을 비교․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미강의 항산화성분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에서는 추출 온도가높을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총 flavonoid 함량은 추출 온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제외한 총 항산화력(ABTS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사되어진 품종들의미강 최적 추출조건은 청해진미로 25℃에서 추출하였을 경우에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이에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기능성 성분을 활용할 수 있는 추출 온도를 제공함으로써 도정 부산물의 최적 추출조건 및 품종별 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벼 품종(삼광, 미광, 칠보, 청해진미및 조운)의 도정 부산물인 미강에 대한 추출 온도에 따른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과항산화 활성(DPPH radical...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벼 품종(삼광, 미광, 칠보, 청해진미및 조운)의 도정 부산물인 미강에 대한 추출 온도에 따른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과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을 비교․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미강의 항산화성분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에서는 추출 온도가높을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총 flavonoid 함량은 추출 온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제외한 총 항산화력(ABTS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사되어진 품종들의미강 최적 추출조건은 청해진미로 25℃에서 추출하였을 경우에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이에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기능성 성분을 활용할 수 있는 추출 온도를 제공함으로써 도정 부산물의 최적 추출조건 및 품종별 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수현, "흑미의 도정분획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815-819, 2008

      2 최선필, "유색미 겨 추출물의 염증반응 억제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22-227, 2004

      3 서선정,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9-135, 2008

      4 박은미, "쌀겨 추출물의 항암효과(in vitro) 및 항알레르기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297-1303, 2006

      5 오세관, "벼 품종별 도정 부산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624-630, 2010

      6 김용호, "근적외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미강의 Tocopherol과 Tocotrienol 함량 분석" 한국작물학회 49 (49): 211-215, 2004

      7 배성문, "감마선 조사에 의한 왕겨, 미강, 맥강의 항산화능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246-250, 2002

      8 우정향, "가압열처리가 톱풀와 울릉미역취 어린잎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123-130, 2010

      9 Kim DO,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American Chemical Society 50 (50): 3713-3717, 2002

      10 Turkmen N,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total phenol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93 : 713-718, 2005

      1 공수현, "흑미의 도정분획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815-819, 2008

      2 최선필, "유색미 겨 추출물의 염증반응 억제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22-227, 2004

      3 서선정, "여러 가지 특수미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9-135, 2008

      4 박은미, "쌀겨 추출물의 항암효과(in vitro) 및 항알레르기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297-1303, 2006

      5 오세관, "벼 품종별 도정 부산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624-630, 2010

      6 김용호, "근적외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미강의 Tocopherol과 Tocotrienol 함량 분석" 한국작물학회 49 (49): 211-215, 2004

      7 배성문, "감마선 조사에 의한 왕겨, 미강, 맥강의 항산화능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246-250, 2002

      8 우정향, "가압열처리가 톱풀와 울릉미역취 어린잎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식물학회 23 (23): 123-130, 2010

      9 Kim DO,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American Chemical Society 50 (50): 3713-3717, 2002

      10 Turkmen N,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s total phenol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93 : 713-718, 2005

      11 Ardiansyah, "The driselase-treated fraction of rice bran is a more effective dietary factor to improve hypertensi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oke-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compared to ferulic acid" 97 : 67-76, 2007

      12 Jia Z,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64 : 555-559, 1999

      13 Vilaño D,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71 : 230-235, 2007

      14 Scalbert A, "Polyphenols: anti- oxidants and beyond" 81 : 215S-217S, 2005

      15 Sakihama Y,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 177 : 67-80, 2002

      16 Lai P, "Phytochemicals and anti- oxidant proper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Japonica rice bran" 117 : 538-544, 2009

      17 Renuka Devi R, "Phy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efatted rice bran and optimization of a process for their extraction and enrichment" 98 : 3037-3043, 2007

      18 Qureshi AA,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vel tocotrienols from rice bran with hypocholesterolemic,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perties" 48 : 3130-3140, 2000

      19 Choi Y,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mus edodes) mushroom" 99 : 381-387, 2006

      20 Nam SH,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40 : 307-312, 1997

      21 Antella S, "Ferulic acid caffeic acids as potential protective agents against photooxidative skin damage" 79 : 476-480, 1999

      22 Bae SM,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30 : 1026-1032, 2001

      23 Lee KY,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Oryza sativa L.)" 8 : 296-301, 2001

      24 Lee YH,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26 : 288-294, 1994

      25 Ryu KC, "Color changes and optimization of organoleptic properties of roasted Poly-gonatum odoratum tea" 26 : 831-837, 1997

      26 Hong MJ, "Changes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 30 : 413-418, 1998

      27 Ha TY, "Bioactive components in rice bran oil improve lipid profiles in rat fed a high-cholesterol diet" 25 : 597-606, 2005

      28 Kong S, "Antioxidants in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cultivars" ELSEVIER SCI LTD 120 (120): 278-281, 2010

      29 Halliwell B,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16 : 33-49, 1996

      30 Mau JL,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35 : 519-526, 2002

      31 Chotimarkorn C, "Antioxidant com-ponents and properties of five long-grained rice bran extracts from commercial available cultivars in Thailand" 111 : 636-641, 2008

      32 Choi Y,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 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13 : 130-138, 2007

      33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4 Velioglu Y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46 : 4113-4117, 1998

      35 Heon-Sang Jeong,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한국식품과학회 16 (16): 765-770, 2007

      36 Chen MH, "A rapid procedure for analyzing rice bran tocopherol, tocotrienol and oryzanol contents" 18 : 139-15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