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 Perception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of the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17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 64명의 지구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예비 교사가 내면화 하고 있는 환경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1단계 검사와 ...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과학 교사 64명의 지구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예비 교사가 내면화 하고 있는 환경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1단계 검사와 자신의 환경 그림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2단계 검사를 투입하였다. 다수의 예비 과학 교사들이 지구 환경을 인공적 요소들로 조성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연적 요소들을 인식하는 비율은 전공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구 환경을 부정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예비 교사들이 과반수이고 긍정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사례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정신모형은 인간 영향 공간과 인간 수정 공간 및 인간 공존 공간의 순으로 높았으며 순수 자연 공간으로 인식하는 사례는 극소수에 해당하여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식과는 차이를 보였다. 예비 과학 교사들이 지구 환경에 대해 표출하는 인식은 가까운 미래에 수많은 학생들에게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지구 환경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과학의 영향력에 대한 이들의 믿음을 기반으로 환경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예비 교사 교육을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64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currently in college of education in regard to global environment. Step 1 examination is applied which is to visually describe the image of environmen...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64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currently in college of education in regard to global environment. Step 1 examination is applied which is to visually describe the image of environment internalized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llowed by step 2 examination which is to verbally describe the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ir own drawings. A major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cognize global environment as space composed of artificial factors. It is assumed that a percentage of teachers who recognize natural factors is affected by their majors. In addition, more than a half of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global environment as negative space whereas only a few of them recognize global environment as positive space. In terms of the mental model, human-influence space is the highest, followed by human-modification space and human-coexistence space respectively. Very few of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 as pure natural space, which demonstrat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university students whose major is not science. Percep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garding global environment will have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numerous students and will contribute to changing the glob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critical to systematically train pre-service teachers so that they can cultivate environmental literacy based on the belief in the impact of sc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균, "환경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79-485, 2007

      2 이향연, "환경교사의 지도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505-514, 2013

      3 이미옥, "환경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21 (21): 222-241, 2005

      4 박준호, "환경 그리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환경인식과 미래 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223-236, 2017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45-59, 2007

      7 정철,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의 환경 인식" 24 (24): 273-280, 2003

      8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225-243, 2018

      9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 (8): 25-34, 2015

      10 홍준의, "전공에 따른 예비교사의 환경 인식과 기후 변화 및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인식 비교"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7 (7): 39-55, 2017

      1 김명균, "환경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79-485, 2007

      2 이향연, "환경교사의 지도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505-514, 2013

      3 이미옥, "환경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21 (21): 222-241, 2005

      4 박준호, "환경 그리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환경인식과 미래 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환경교육학회 30 (30): 223-236, 2017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45-59, 2007

      7 정철,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의 환경 인식" 24 (24): 273-280, 2003

      8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225-243, 2018

      9 김윤지,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 (8): 25-34, 2015

      10 홍준의, "전공에 따른 예비교사의 환경 인식과 기후 변화 및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인식 비교"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7 (7): 39-55, 2017

      11 김윤지, "빅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지구 환경 변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교육연구원 35 (35): 185-203, 2019

      12 손연아, "과학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과 배경" 교육연구소 18 (18): 97-122, 2012

      13 황주희, "과학교과서와 환경교과서 분석을 통한 환경교육 방안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4 이상균,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0 (10): 62-75, 2017

      15 Shepardson, D. P.,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44 (44): 327-348, 2007

      16 Okur-Berberoglu, E., "Outdoor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 An Adult-Centred Intervention for the Affective Domain" 7 (7): 34-58, 2017

      17 Fralick, B., "How middle schoolers draw engineers and scientists" 18 : 60-73, 2009

      18 Ben-Zvi Assaraf, O.,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42 (42): 518-560, 2005

      19 권영락, "2015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363-38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