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 비교연구 -츠빙글리와 칼뱅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Eucharistic Theory of the Reformers -Focusing on Zwingli and Calv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5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을 츠빙글리와 칼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전연구의 차원에서 제1, 2차 성찬논쟁을 살핀 후 1525년에 츠빙글리에 의해 시작된 개혁교회의 첫 성찬이후 칼뱅에 의해서 성경적인 성례가 정착되는 과정을 츠빙글리와 칼뱅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살피는 것으로 전개할 것이다.
      츠빙글리의 성찬론은 1528년의 베른에서의 첫 번째 설교에서 집대성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성찬론은 사도신경에서 나왔다고 말하면서 루터파의 성자의 인성의 편재를 비판한다. 츠빙글리가 개혁신학에서 기여한 것은 루터의 종교개혁이 온전히 성경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분명하게 반대하고 개혁신학의 성찬론의 정초를 놓았다는 점이다. 1525년에 처음으로 행하여진 취리히의 개혁된 성찬론은 회중이 떡과 잔을 받는 이중배찬이 시행되었고, 떡에 경배하지도 절하지도 않았으며 무릎을 꿇고 받은 것이 아니라 서서 받았다.
      한편 칼뱅의 성찬론의 특징은 말씀과 성례를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츠빙글리가 성례를 도구로 보지 않았던 것과는 대조가 되며, 칼뱅은 성례를 은혜의 방편에 편입시킨다. 또한 칼뱅은 성령의 역사를 입한다. 그러므로 칼뱅은 루터의 그리스도의 임재라는 초기의 사상을 가져오되 육체적 임재를 거부하면서 영적 임재와 연합으로 나아가며, 츠빙글리의 문자적 상징론과 기념이라는 개념의 한계를 넘어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게 하신다는 연합과 효력을 주장한다. 1525년에 취리히에서 첫 개혁교회의 성찬이 시행되었다면 1541년에 제네바에서 올바른 성찬이 비로소 시행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츠빙글리에 배경을 둔 베른 모델은 칼뱅에 의해서 제네바 모델과 충돌을 일으킨다. 대표적인 것은 성찬에서의 무교병의 사용과 성찬에 참여하는 자의 자격에 대한 부분, 성찬의 시행 횟수에 대하여 충돌을 일으켰다. 칼뱅과 제네바는 1541년에 제네바 모델을 완성하고 취리히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그러나 1549년 취리히 일치신조를 통해서 성찬론의 회복을 도모한다. 칼뱅은 츠빙글리의 어깨를 넘어선다. 한국교회에서의 성찬론은 초라하다. 개혁교회, 장로교회의 정체성은 말할 것도 없고, 개혁교회의 성찬론이 올바르게 목회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다고 말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개혁신학의 성찬론을 재정립하고 현대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을 츠빙글리와 칼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전연구의 차원에서 제1, 2차 성찬논쟁을 살핀 후 1525년에 츠빙글리에 의해 시작...

      본 연구는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론을 츠빙글리와 칼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사전연구의 차원에서 제1, 2차 성찬논쟁을 살핀 후 1525년에 츠빙글리에 의해 시작된 개혁교회의 첫 성찬이후 칼뱅에 의해서 성경적인 성례가 정착되는 과정을 츠빙글리와 칼뱅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살피는 것으로 전개할 것이다.
      츠빙글리의 성찬론은 1528년의 베른에서의 첫 번째 설교에서 집대성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성찬론은 사도신경에서 나왔다고 말하면서 루터파의 성자의 인성의 편재를 비판한다. 츠빙글리가 개혁신학에서 기여한 것은 루터의 종교개혁이 온전히 성경에 이르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분명하게 반대하고 개혁신학의 성찬론의 정초를 놓았다는 점이다. 1525년에 처음으로 행하여진 취리히의 개혁된 성찬론은 회중이 떡과 잔을 받는 이중배찬이 시행되었고, 떡에 경배하지도 절하지도 않았으며 무릎을 꿇고 받은 것이 아니라 서서 받았다.
      한편 칼뱅의 성찬론의 특징은 말씀과 성례를 연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츠빙글리가 성례를 도구로 보지 않았던 것과는 대조가 되며, 칼뱅은 성례를 은혜의 방편에 편입시킨다. 또한 칼뱅은 성령의 역사를 입한다. 그러므로 칼뱅은 루터의 그리스도의 임재라는 초기의 사상을 가져오되 육체적 임재를 거부하면서 영적 임재와 연합으로 나아가며, 츠빙글리의 문자적 상징론과 기념이라는 개념의 한계를 넘어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게 하신다는 연합과 효력을 주장한다. 1525년에 취리히에서 첫 개혁교회의 성찬이 시행되었다면 1541년에 제네바에서 올바른 성찬이 비로소 시행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츠빙글리에 배경을 둔 베른 모델은 칼뱅에 의해서 제네바 모델과 충돌을 일으킨다. 대표적인 것은 성찬에서의 무교병의 사용과 성찬에 참여하는 자의 자격에 대한 부분, 성찬의 시행 횟수에 대하여 충돌을 일으켰다. 칼뱅과 제네바는 1541년에 제네바 모델을 완성하고 취리히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그러나 1549년 취리히 일치신조를 통해서 성찬론의 회복을 도모한다. 칼뱅은 츠빙글리의 어깨를 넘어선다. 한국교회에서의 성찬론은 초라하다. 개혁교회, 장로교회의 정체성은 말할 것도 없고, 개혁교회의 성찬론이 올바르게 목회현장에서 실천되고 있다고 말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개혁신학의 성찬론을 재정립하고 현대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former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Zwingli and Calvin.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1st and 2nd sacramental debates in terms of preliminary research, after the first communion in the Reformed Church started by Zwingli in 1525,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iblical sacrament by Calvin is to examin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Zwingli and Calvin. will unfold Zwingli’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can be found compiled in his first sermon in Bern in 1528. He criticizes the omnipresence of the Lutheran saint’s personality, saying that his doctrine of the Eucharist came from the Apostles’ Creed. Zwingli’s contribution to Reformed theology is that he clearly opposed Luther’s Reformation to the part that did not fully reach the Bibl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ucharist of Reformed theology. Zurich’s reformed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which was first conducted in 1525, was practiced in which the congregation received the bread and the cup.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of Calvin’s doctrine of the Eucharist is that it connects the Word and the sacrament. This is in contrast to Zwingli’s not seeing the sacrament as an instrument, and Calvin incorporates the sacrament into the means of grace. Also, Calvin introduce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Calvin brought Luther’s early idea of the presence of Christ, but rejecting the physical presence, moving toward spiritual presence and unity, and going beyond the limits of Zwingli’s literal symbolism and the concept of commemoration, to participate in the body of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It asserts unity and efficacy. If the first Reformed communion was performed in Zurich in 1525,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proper communion was performed in Geneva in 1541.
      The Bern model based in Zwingli clashes with the Geneva model by Calvin. A representative case is the use of unleavened bread in the sacrament, the qualifications of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sacrament,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sacrament. Calvin and Geneva completed the Geneva model in 1541 and walked a different path from Zurich. However, through the Zurich Unity Creed in 1549, the doctrine of Eucharist was restored. Calvin rises above Zwingli’s shoulders.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Korean churches is shabby. Not to mention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no one will say that the Reformed Church’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s being properly practiced in the ministry fiel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tudy on how to redefine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Reformed theology and apply it to the modern church.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former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Zwingli and Calvin.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1st and 2nd sacramental debates in terms of preliminary research, after the first communion in the Reformed Churc...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former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Zwingli and Calvin.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1st and 2nd sacramental debates in terms of preliminary research, after the first communion in the Reformed Church started by Zwingli in 1525,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iblical sacrament by Calvin is to examin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Zwingli and Calvin. will unfold Zwingli’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can be found compiled in his first sermon in Bern in 1528. He criticizes the omnipresence of the Lutheran saint’s personality, saying that his doctrine of the Eucharist came from the Apostles’ Creed. Zwingli’s contribution to Reformed theology is that he clearly opposed Luther’s Reformation to the part that did not fully reach the Bibl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ucharist of Reformed theology. Zurich’s reformed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which was first conducted in 1525, was practiced in which the congregation received the bread and the cup.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of Calvin’s doctrine of the Eucharist is that it connects the Word and the sacrament. This is in contrast to Zwingli’s not seeing the sacrament as an instrument, and Calvin incorporates the sacrament into the means of grace. Also, Calvin introduce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Calvin brought Luther’s early idea of the presence of Christ, but rejecting the physical presence, moving toward spiritual presence and unity, and going beyond the limits of Zwingli’s literal symbolism and the concept of commemoration, to participate in the body of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It asserts unity and efficacy. If the first Reformed communion was performed in Zurich in 1525,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proper communion was performed in Geneva in 1541.
      The Bern model based in Zwingli clashes with the Geneva model by Calvin. A representative case is the use of unleavened bread in the sacrament, the qualifications of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sacrament,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sacrament. Calvin and Geneva completed the Geneva model in 1541 and walked a different path from Zurich. However, through the Zurich Unity Creed in 1549, the doctrine of Eucharist was restored. Calvin rises above Zwingli’s shoulders.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Korean churches is shabby. Not to mention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no one will say that the Reformed Church’s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s being properly practiced in the ministry fiel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tudy on how to redefine the doctrine of Eucharist in Reformed theology and apply it to the modern chu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하인리히 덴칭거, "하인리히 덴칭거 신경, 신앙과 도덕에 관한 규정. 선언편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7

      2 개혁주의학술원, "칼빈의 성찬론과 오늘날의 개혁교회"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02

      3 임종구, "칼빈과 제네바목사회" 부흥과개혁사 2015

      4 박건택, "칼뱅작품선Ⅶ" 부흥과개혁사 2021

      5 박건택, "칼뱅작품선Ⅵ" 부흥과개혁사 2021

      6 박건택, "칼뱅작품선Ⅴ" 부흥과개혁사 2021

      7 박건택, "칼뱅작품선Ⅳ" 부흥과개혁사 2021

      8 박건택, "칼뱅작품선Ⅲ" 부흥과개혁사 2021

      9 박건택, "칼뱅작품선Ⅱ" 부흥과개혁사 2021

      10 박건택, "칼뱅작품선Ⅰ" 부흥과개혁사 2021

      1 하인리히 덴칭거, "하인리히 덴칭거 신경, 신앙과 도덕에 관한 규정. 선언편람"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7

      2 개혁주의학술원, "칼빈의 성찬론과 오늘날의 개혁교회"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02

      3 임종구, "칼빈과 제네바목사회" 부흥과개혁사 2015

      4 박건택, "칼뱅작품선Ⅶ" 부흥과개혁사 2021

      5 박건택, "칼뱅작품선Ⅵ" 부흥과개혁사 2021

      6 박건택, "칼뱅작품선Ⅴ" 부흥과개혁사 2021

      7 박건택, "칼뱅작품선Ⅳ" 부흥과개혁사 2021

      8 박건택, "칼뱅작품선Ⅲ" 부흥과개혁사 2021

      9 박건택, "칼뱅작품선Ⅱ" 부흥과개혁사 2021

      10 박건택, "칼뱅작품선Ⅰ" 부흥과개혁사 2021

      11 박건택, "칼뱅서간집Ⅰ" 부흥과개혁사 2019

      12 츠빙글리, "츠빙글리저작선집Ⅰ-Ⅳ"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13 리터, "중세교회 : 교회와 신학의 역사원전Ⅱ" 한국신학연구소 2010

      14 디아메이드 멕클로흐, "종교개혁의 역사" CLC 2011

      15 앨리스터 맥그래스, "종교개혁시대의 영성" 좋은 씨앗 1991

      16 앨리스터 맥그래스, "종교개혁시대 사상" CLC 1999

      17 유스토 곤잘레스, "종교개혁사" 은성 1988

      18 스피츠 루이스, "종교개혁사" 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19 롤랜드 베인튼, "종교개혁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3

      20 카트린 린드버그, "종교개혁과 신학자들" CLC 2012

      21 폴커 렙핀, "종교개혁 : 교회와 신학의 역사 원전Ⅲ" 한국신학연구소 2010

      22 스페르트 리차드, "종교개혁"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23 페트릭 콜린슨, "종교개혁" 을유문화사 2005

      24 카트린 린드버그, "유럽의 종교개혁" CLC 2012

      25 박건택, "요한네스 칼빈의 제네바 교회의 교리문답" 한들출판사 2008

      26 미하엘 바인리히, "요한네스 칼빈과 교회일치" 한들출판사 2009

      27 월리스터 워크, "세계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75

      28 키이스 A. 매티슨, "성찬의 신비-칼빈의 성찬론 회복" 개혁주의학술원 2011

      29 황대우, "부써, 교회연합운동의 선구자" 익투스 2020

      30 루시 버나드, "마틴루터의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2002

      31 루시 버나드, "루터연구입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3

      32 박건택, "기독교강요 프랑스어초판" 부흥과개혁사 2018

      33 박건택, "기독교강요 최종판" 생명의 말씀사 1988

      34 박건택, "기독교강요 초판" 생명의 말씀사 2009

      35 앨리스터 맥그래스,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 국제제자훈련원 2009

      36 필립 샤프, "교회사전집 8 : 스위스종교개혁"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37 필립 샤프, "교회사전집 7 : 독일종교개혁"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4

      38 필립 샤프, "교회사전집 6 : 보니파키우스 8세로부터 루터까지"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4

      39 리터, "고대교회 : 교회와 신학의 역사 원전Ⅰ" 한국신학연구소 2006

      40 개혁주의학술원, "갱신과 부흥" 고신대학교개혁주의학술원 2013

      41 필립 샤프, "개혁신앙의 산실 제네바교회" 칼빈아카데미 2006

      42 Philip E, "The Register of The Company of Pastors of Geneva in The Time of Calvin" Wipe and Stock 1966

      43 Kingdon, Robert M, "Registres de la Compagnie des pasteurs de Genève au temps de Calvin 1553–1564 Tome. Ⅱ" Droz 1962

      44 Bergier. Jean-François, "Registres de la Compagnie des pasteurs de Genève au temps de Calvin 1546-1553 Tome Premier" Droz 1964

      45 Battles, "Library of Christian Classics Vols. 20-21" The Westminster Press 1954

      46 A.M. Ritter, "Kichen-und Theologiegeschte in Quellen VolⅠ-Ⅲ" Neukichener Verlag

      47 Zwingli, Ulrich, "Huldrych Zwingli Schriften Ⅰ-Ⅳ"

      48 Heinrich denzinger, "Enchirdion symbolorum Defintionum et declarationum de rebus fidei et Morum Editio Petrus Hunermann" Quod emendavit in linguam germanicam transtuli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