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분열병의 약물 유지치료 현황  :  서울, 경기 일원의 정신과 임상의들의 의견 A Survey on the Psychiatrists' Practice in Extended Seoul Metropolitan Areas = Antipsychotics Maintenance Therapy of Schizophrenic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6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분열병 환자의 항정신병 약물 유지치료에 관한 임상의들의 의견을 통해 실제 치료 현황을 살펴보고자, 서울, 경기 일원에서 진료에 종사하는, 임상 경험이 최소한 2년 이상이고 50세 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항정신병 약물 유지치료에 관한 임상의들의 의견을 통해 실제 치료 현황을 살펴보고자, 서울, 경기 일원에서 진료에 종사하는, 임상 경험이 최소한 2년 이상이고 50세 이하인 정신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우편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 453명에게 설문지를 보내어 215명으로 부터 유효한 응답을 얻었다(응답률 47%). 응답자들은 유지치료 전략 가운데 약물치료에 가장 큰 비중(58%)을 두고 있었다. 응답자 대다수(79%)가 Halo-peridol을 가장 선호하였고 전체적으로 일일 상용 유지 용량은 Chlorpromazine 치환량으로 383±229(75∼1250)mg이었으며 유지 기간은 첫 발병인 경우 1.8±1.0(0.25∼7.5)년, 두 번 이상의 발병인 경우 3.9±1.8(0.5∼10)년으로 개인적 변이가 컸다. 치료 비중도에서 전공의군이 전문의군에 비해 정신치료에 대한 비중이 높았고 진료기관 유형에 따라 치료 비중도, 유지 용량및 유지 기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유지치료 방침에 대해서는 대다수(93%)가 '일정 용량을 장기적으로 유지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약물 유지치료에 대한 기존 지침에 만족하는 경우(4.3%)는 매우 적었다. 정신분열병의 약물 유지치료에 관한 내용과 방법은 임상의마다 다양하였고 진료 환경이나 임상의의 연한이 이에 영항을 미치고 있었다. 향후 임상가들 마다 상이한 의견 차이를 좁히고 임상에서 유용한 치료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임상 연구와 함께 약물 역학적(pharmaco-epidemiological)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antipsychotics maintenance therapy(AMT) for schizophrenic patients through a mail survey sent to psychiatrists practic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ho had no less than two years of psychiatric expertise and wh...

      We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antipsychotics maintenance therapy(AMT) for schizophrenic patients through a mail survey sent to psychiatrists practic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ho had no less than two years of psychiatric expertise and who were below fifty years of age.
      Out of 453 questionnaires sent, 215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response rate 47%). The majority of respondents considered pharmacotherapy as the most important longterm treatment strategy for schizophrenia. Haloperidol was selected by the majority as their first choice neuroleptics. The proposed mean daily maintenance dosage was 383±229(75-1250)mg in chlorpromazine equivalent. The mean duration of AMT was 1.8±1.0(0.25-7.5)years after the first episode and 3.6±1.8(0.5-10)years after multi-episodes. Psychotherapy was regarded as more important by the resident psychiatrists group than by the certified psychiatrists group. There were preferential differences for a particular treatment strategy, dosage and duration of AMT among the different clinics. A great number of respondents(93%) regarded long-term continuous maintenance as their major AMT policy. Only a few respondents(4.3%) were satisfied with the established guidelines for AMT in treatment of schizophrenia.
      The results show considerable variations in psychiatrists opinions on AMT which was influenced by grades of expertise of the clinician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clinic or the hospital. To decrease these variabilities and make clinically useful guidelines, it will be necessary to do further pharmacoepidemiological studies as well as other types of related clinical researc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