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년복지정책 결정과정 연구 : 성남시 청년배당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Youth Welfare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57343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대전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남미애

      • 소장기관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ㆍdescriptiveㆍexplanatory case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a part of
      youth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To
      achieve this, the Systemic Advocacy Coalition Framework(SACF) of Il Jae
      Kim(2013)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methods of Yin(200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 input stage. As three streams of problemsㆍpoliticsㆍpolicies
      became an issue with the introduction of youth dividends, our society's existent
      stream of problems met the political condition-changing politics stream both
      home and aborad, and was reformed into the policies stream by Seongnam City
      mayor Jaemyung Lee.
      Second is the conversion stage. Initiated by experts, basic income concepts
      were introduced into the youth dividend project, and it became an interaction
      agent between the three streams. When the three streams were combined, the
      project was set as an agenda by the Seongnam City Municipal Assembly in
      November 2015. As a policy entrepreneur, Mayor Lee combined the three
      streams during an important period-after the policy window opened, he strove
      to act on his core beliefs.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contributed to
      making youth dividend policy an agenda by cooperating with experts. During
      this stage, the Universal Welfare Coalition which pursues practical libertarianism,
      and the Selective Welfare Coalition which pursues neo-liberalism, disagreed and
      opposed each other regarding their beliefs and interests over the policy. Small
      businesses formed a coalition defending their right to existence and
      enthusiastically supported the youth dividend policy. As a policy broker,
      Gyeonggi Provincial Governor Gyeongpil Nam chose to defer to the Supreme
      Court, divided between his position as the Saenuri Republican Party
      Organization Leader and his duty to integrate Gyeonggi Province as Governor.
      Third is the output stage. After the youth dividend policy regulations were
      passed in the municipal assembly, Seongnam gift certificates were distributed to
      all 24-year-old youth living in Seongnam for over three years, starting on
      January 2016. The amount was 125,000 won each quarter, 50% of the amount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sought
      social integration of the youth generation while opting for a virtuous circulation
      method, where the local economy is vitalized which leads to the stability of the
      youth dividend policy.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passed on the policy while
      youth put the policy into practice.
      Fourth is the evaluation stage. The youth dividend policy reached a
      distribution rate of 94% demonstrating the high support of the youth class. The
      policy was however disputed from the start by central government branches and
      Gyeonggi Province because of its procedural legitimacy. They claimed for local
      subsidy reduction because the policy did not undergo prior consultation. Mayor
      Lee criticized these claims, saying that such arg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Government Act, deface the local government and abuse the authority of
      the Fundamental Social Security Act.
      Fifth is the feedback stage. In December 2016,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was strengthened by additionally distributing 50% of reserve
      funds set apart in preparation for local subsidy reduction by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it could not expand more because plans for yearly
      increasing target age group variety failed. In the new streams of problemsㆍ
      politicsㆍpolicies, the reinforced and preserved policy re-entered the input stage
      on January 20th, 2017.
      Unlike previous youth policies focused on selective welfare,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is founded on basic income which is closer to social
      allowance. It is becoming a consensus as a plan to realize youth welfare as well
      as universal welfare. Also, youth in danger of social exclusion are experiencing
      an opportunity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In order for such youth dividends to
      spread nationwid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must play a pivotal role.
      Keywords :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 case study , basic income
      , youth welfare , universal welfar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exploratoryㆍdescriptiveㆍexplanatory case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a part of youth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ㆍdescriptiveㆍexplanatory case study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a part of
      youth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depth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To
      achieve this, the Systemic Advocacy Coalition Framework(SACF) of Il Jae
      Kim(2013)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methods of Yin(2003).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 input stage. As three streams of problemsㆍpoliticsㆍpolicies
      became an issue with the introduction of youth dividends, our society's existent
      stream of problems met the political condition-changing politics stream both
      home and aborad, and was reformed into the policies stream by Seongnam City
      mayor Jaemyung Lee.
      Second is the conversion stage. Initiated by experts, basic income concepts
      were introduced into the youth dividend project, and it became an interaction
      agent between the three streams. When the three streams were combined, the
      project was set as an agenda by the Seongnam City Municipal Assembly in
      November 2015. As a policy entrepreneur, Mayor Lee combined the three
      streams during an important period-after the policy window opened, he strove
      to act on his core beliefs.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contributed to
      making youth dividend policy an agenda by cooperating with experts. During
      this stage, the Universal Welfare Coalition which pursues practical libertarianism,
      and the Selective Welfare Coalition which pursues neo-liberalism, disagreed and
      opposed each other regarding their beliefs and interests over the policy. Small
      businesses formed a coalition defending their right to existence and
      enthusiastically supported the youth dividend policy. As a policy broker,
      Gyeonggi Provincial Governor Gyeongpil Nam chose to defer to the Supreme
      Court, divided between his position as the Saenuri Republican Party
      Organization Leader and his duty to integrate Gyeonggi Province as Governor.
      Third is the output stage. After the youth dividend policy regulations were
      passed in the municipal assembly, Seongnam gift certificates were distributed to
      all 24-year-old youth living in Seongnam for over three years, starting on
      January 2016. The amount was 125,000 won each quarter, 50% of the amount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sought
      social integration of the youth generation while opting for a virtuous circulation
      method, where the local economy is vitalized which leads to the stability of the
      youth dividend policy.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passed on the policy while
      youth put the policy into practice.
      Fourth is the evaluation stage. The youth dividend policy reached a
      distribution rate of 94% demonstrating the high support of the youth class. The
      policy was however disputed from the start by central government branches and
      Gyeonggi Province because of its procedural legitimacy. They claimed for local
      subsidy reduction because the policy did not undergo prior consultation. Mayor
      Lee criticized these claims, saying that such argument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Government Act, deface the local government and abuse the authority of
      the Fundamental Social Security Act.
      Fifth is the feedback stage. In December 2016,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was strengthened by additionally distributing 50% of reserve
      funds set apart in preparation for local subsidy reduction by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it could not expand more because plans for yearly
      increasing target age group variety failed. In the new streams of problemsㆍ
      politicsㆍpolicies, the reinforced and preserved policy re-entered the input stage
      on January 20th, 2017.
      Unlike previous youth policies focused on selective welfare, the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is founded on basic income which is closer to social
      allowance. It is becoming a consensus as a plan to realize youth welfare as well
      as universal welfare. Also, youth in danger of social exclusion are experiencing
      an opportunity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In order for such youth dividends to
      spread nationwid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must play a pivotal role.
      Keywords : Seongnam City Youth Dividend Policy , case study , basic income
      , youth welfare , universal welfa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5
      • 3. 연구범위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제 1 장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5
      • 3. 연구범위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1. 청년과 청년복지 8
      • 2. 청년복지정책과 기본소득 19
      • 3. 성남시 청년배당정책 42
      • 4. 정책 결정과정 이론 53
      • 5. 체제적 옹호연합모형 57
      • 제 3 장 연구설계 67
      • 1. 연구모형 67
      • 2. 연구방법 70
      • 3. 자료수집 및 전략 82
      • 4. 자료분석 및 절차 91
      • 5. 연구의 엄격성 94
      • 제 4 장 연구결과 98
      • 1. 투입단계 98
      • 2. 전환단계 120
      • 3. 산출단계 138
      • 4. 평가단계 145
      • 5. 환류단계 162
      •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74
      • 1. 요약 및 결론 174
      • 2. 논의 179
      • 3. 제언 185
      • 참고문헌 190
      • 부록 : 동의서/면담지/인공물 207
      • Abstract 21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태성, 성경륭,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출판, 2001

      2 노병일, "『사회보장론』", 기한재, 고양: 공동체, 2009

      3 곽효문, "『정책학원론』", 고양: 학문사, 1998

      4 강희갑,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서울: 나눔의 집, 2011

      5 김선애, "청년발달과 이해", 창지사, 서울: 창지사, 2014

      6 전재일, "학교 사회복지론", 양서원, 고양: 공동체, 2011

      7 김정열, "「청소년복지론」", 공동체, 고양: 공동체, 2014

      8 이정우, "『사회복지정책』",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7

      9 박이은, "성체제와 기본소득",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마르크스주의 연구』10(2): 43-65, 2013

      10 신현석, 황인옥, 임광수, 이명현, 양정하, "『사회복지정책론』", 대경, 서울: 양서원, 2002

      1 김태성, 성경륭,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출판, 2001

      2 노병일, "『사회보장론』", 기한재, 고양: 공동체, 2009

      3 곽효문, "『정책학원론』", 고양: 학문사, 1998

      4 강희갑,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서울: 나눔의 집, 2011

      5 김선애, "청년발달과 이해", 창지사, 서울: 창지사, 2014

      6 전재일, "학교 사회복지론", 양서원, 고양: 공동체, 2011

      7 김정열, "「청소년복지론」", 공동체, 고양: 공동체, 2014

      8 이정우, "『사회복지정책』",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17

      9 박이은, "성체제와 기본소득",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마르크스주의 연구』10(2): 43-65, 2013

      10 신현석, 황인옥, 임광수, 이명현, 양정하, "『사회복지정책론』", 대경, 서울: 양서원, 2002

      11 양정하,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파주: 양서원, 2009

      12 노병일, "『사회복지정책론』", 창지사, 고양: 공동체, 2016

      13 박차상, "『사회복지정책학』", 형설, 서울: 형설출판사, 2006

      14 성남시, "『성남시 보도자료』", 사회복지과 보도자료, 2016

      15 임경석, "“글로벌 기본소득.”",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22(4): 255-283, 2011

      16 김태성, "『사회복지정책입문』", 청목, 서울: 청록, 2003

      17 장하준, "『나쁜 사마리아인들』", 서울: 부키, 2007

      18 장휘숙, "『전생애 발달심리학』", 서울: 박영사, 2016

      19 오석홍, "『정책학의 주요이론』", 법문사, 파주: 경세원, 1993

      20 라기태, "2017, 기보소득 실험의 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글로벌 사회정책 브리프』24: 1-5, 2017

      21 박홍규, "“일반: 기본소득 연구.”", 『민주법학』36: 199-223, 2008

      22 김영화, "“청년복지학 연구서설.”",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43(3): 141-163, 2016

      23 이선일, "“하이데거의 기술의 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철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4

      24 라기태, "“유럽연합의 청년보장제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글로벌 사회정책 브리프』34: 1-4, 2016

      25 권정미(Kwon, Jung Mi),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삶의 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10(2): 75-102, 2016

      26 곽노완, "“대안지구화의 경제적 시공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마르크스주의 연구』5(4): 154-184, 2008

      27 강남훈, "“성남시 청년배당 논쟁과 경험.”",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 회』2016: 3-26, 2016

      28 오재호, 천영석, "“청년지원, 해답인가? 문제인가?”", 『GRI경기연구원』(249): 1-25, 2016

      29 최승호, "“독일의 기본소득보방 모델연구.”", 『한국사회과학논총』23(1): 91-122, 2013

      30 조돈문, "『브라질에서 진보의 길을 묻는다』", 서울: 후마니타스, 2009

      31 성남시, "『성남시 청년배당 사업 설명자료』", 복지보건국, 2016

      32 강남훈, 이상동, "『성남시 청년배당 실행 방안 연구』", 오산: 한신대학교, 2015

      33 성남시, "『성남시 청년배당 실행 방안 연구』", 연구기관 : 한신대학교, 2015

      34 김엘림(Kim, El-Lim), "저출산 대책과 노동법의 역할과 과제", 한국노동법학회, 『노동법학』2016: 85-120, 2016

      35 이병희, "청년 사회안전망 논의의 쟁점과 과제", 『월간노동리뷰』2016(1): 47-50, 2016

      36 김기헌, 황세영, 최선화, 김정숙, "『동북아 청소년정책 국제비교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37 김교성,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2): 33-57, 2009

      38 금민, "“탈자본주의 이행과 기본소득 전략.”", 한국사회경제학회, 『한국사회경제학회 학술대회자료 집』2016(2): 145-161, 2016

      39 이석형, 이진숙, "“장애인연금법의 정책결정과정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37(3): 1-25, 2010

      40 신영아, "“긴급복지지원법 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4(1): 59-90, 2010

      41 김태완, 원일, 여유진, 노대명, "『사회수당제도 도입타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 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42 노혜진, "빈곤가구 자녀의 노동시장 진입과정 유형화",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39(4): 109-134, 2012

      43 비전성남, "“‘3대 무상복지’ 2017년에도 계속됩니다.”", 2017

      44 강남훈, "“기본소득, 인공지능 시대에 우리의 권리.”", 우리신학연구소, 『가톨릭 평론』4: 44-54, 2016

      45 신인철, 김기헌, 하형석, "『청년 사회ㆍ경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Ⅰ』",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46 이현정, "“수도권 사회진출초기 임차자의 주거비 실태.”",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 집』26(1): 71-79, 2015

      47 이명현, "“시민권과 기본소득: 호혜성 원리 중심의 고찰.”", 한국사회보장학회, 『사회보장연구』 26(4): 33-63, 2010

      48 이남인,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구별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 한국현상학회, 『철학과 현상, 2012

      49 김대규, 박용성, "“정책옹호연합(ACF)모형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한국공 공관리학보』24(4): 101-133, 2010

      50 김순양, "“정책하위체제내 옹호연합의 형성과 정책중개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 15(3): 43-78, 2006

      51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시작시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 회지: 발달』21(4): 109-126, 2008

      52 이승윤(Lee, Sophia Seung-Yoon), 백승호(Baek, Seung-ho), 이정아(Yi, Jung-A), "한국의 불안정 청년노동시장과 청년 기본소득 정책안",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비판사회정 책』(52): 365-405, 2016

      53 김중백, 임훈민, 우혜영, "“취업이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2013.6: 393-402, 2013

      54 윤석명, "『미래세대 배려 정책으로 세대 간 형평성 정립해야』", 연합뉴스. <청년이여는미래ㆍ바른사회시민회의 국회 토론회>, 2016

      55 정 훈, "“Cooper 등의 교육정책분석 이론 및 모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국가정책연 구』24(4): 115-142, 2010

      56 안현효, "“인지자본주의와 기본소득-기본소득의 유지 가능성.”",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마르크스주의의 연구』9(1): 124-143, 2012

      57 김기헌, 조진우, "“지방자치단체 청년정책사업 현황 및 정책방안연구.“", 『청소년정책 이슈브리프』28: 1-15, 한국청 소년정책연구원, 2016

      58 구철회, "“주요 사회적 이슈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한국사회과 학연구』37(1): 121-135, 2015

      59 심우찬, "『질적 연구의 이해: 사회복지질적자료분석론 강의노트』", 대전대학교, 2014

      60 박영도, "“신자유주의적 자유의 역설과 민주적인 사회적 공공성.”",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사회와 철 학』31: 131-158, 2016

      61 양재섭, 이재수, 송희숙, "『서울시 1ㆍ2인 가구 유형별 특성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

      62 성남시, "보도자료. “성남시 청년배당 지급 조례, 시의회 본회의 통과", ” 『사회복지과』, 2015

      63 김혜연, "“기본소득 제안이 여성의 경제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 지정책』41(1): 33-63, 2014

      64 강성식, "“정책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개발제한구역 정책을 중심으로.”", 서울대 학교 행정학 석사학위논문, 2005

      65 유진성,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과 노동시장개혁에 대한 시사점.”", 한국경제연구원, 『한국 경제원』2016: 1-36, 2016

      66 남춘호, "고용의 질 지수를 이용한 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 추세분석",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92: 305-350, 2011

      67 성남시, "보도자료, “국민기초생활수급자에겐 청년배당이 무용지물이다?", ” 『사회복지과』, 2016

      68 하봉운, 한은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경기도 무상급식 정책형성과정 분석", 『교육정치학연구』21(2): 159-185, 2014

      69 문호영, 최창욱, "“생애주기에 따른 아동ㆍ청소년ㆍ청년 연령구분 실태와 방 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청소년정책이슈브리프』21: 1-16, 2015

      70 권정임, "“생태사회와 기본소득-고르의 기본소득론에 대한 비판과 변형.”", 『시 대와 철학』22(3): 1-40, 2011

      71 김영미,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논집』47(2): 27-52, 2016

      72 김태호,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자율형 사립고의 정책형성과정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73 주경필, "“성인도래기의 개념정립을 통한 국내 청년복지정책에 대한 소고.”", 『청소년복지연구』17(1): 189-213, 2015

      74 박경철, "“농민기본소득제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지도학회, 『농촌지도와 개발』23(1): 74-87, 2016

      75 윤희웅, "“데이터 정치의 서막은 열렸다 주먹구구 선거에서 현미경 선거로.”", 『D.gov』2016: 16-19, 2016

      76 강남훈, "“한국에서 기본소득 정책과 기초생활보장 정책의 재분배효과 비교.”",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마르크스주의 연구』3(3): 76-98, 2011

      77 안대영, 이진숙, "“건강가정기본법의 정책결정과정의 분석: 킹돈의 이론을 중 심으로.”", 『사회복지정책』23: 159-181, 2005

      78 양승일, "“교육정책형성과정의 동태성 분석:참여정부의 사학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학회보』11(2): 53-78, 2007

      79 곽노완, "“좋은 삶과 기본소득-기본소득을 향한 드워킨 분배정의론의 재구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7(1): 63-94, 2015

      80 권정임 ( Kwon Jeong-im ), "신공화주의 기본소득론의 비판과 변형-공유경제와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27(3): 7-52, 2016

      81 채성준, "“테러방지법 입법의 정책변동 사례 분석-ACF와 MSF를 결합한 모형 적용-.”",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확회』25(4): 315-358, 2016

      82 권정임, "“공유사회와 기본소득-미드의 아가토토피아 기획에 대한 비판과 변 형.”",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시대와 철학』26(2): 7-50, 2015

      83 신지윤, 이영재, "“정책옹호연합(ACF) 모형을 통한 지적재조사 사업의 정책 결정과정 분석.”", 한국지적정보학회, 『한국지적정보학회지』16(2): 23-40, 2014

      84 Zastrow, C, "Kirst-ashman, Karen.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김규수 외 역, 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서울: 나눔의 집, 2001

      85 유정호, 조민효, "“한국 청년세대의 복지의식 유형에 관한 연구: 잠재집단분석 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2015: 1066-1094, 2015

      86 이명현, "“기본소득: 규범과 경험의 정책 과학적 분석-청년배당 지급조례 중심 으로-.”", 『한국사회복지학』68(4): 119-141, 2016

      87 전영옥, "“다중흐름모형(MSF)을 적용한 지방자치단체 학생인권정책의 형성과 정 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한국자치행정학보』30(2): 181-203, 2016

      88 서정희, 조광자, "“새로운 분배제도에 대한 구상-기본소득과 사회적 지분급여 논쟁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24(1): 27-50, 2008

      89 김남희, "“청년수당의 함의-기본소득의 출발인가? 지방자치단체 복지정책의 확 장인가?”", 『월간복지동향』(221): 52-58, 2017

      90 양승일, "ACPS 모형을 활용한 규제정책 변동과정 분석: 그린벨트정책의 개발허용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학회보』10(2): 77-101, 2006

      91 김선희, 이현정, "수정된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을 활용한 정책변동 분석 -의료영리화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24(4): 301-337, 2015

      92 김태환,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재정 집행에 관한 고찰: 서울시 청년수당 갈등 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2016(2): 11-28, 2016

      93 전진석(Chun Jin-Suk), 이선영(Lee, Sun Young), "옹호연합모형과 정책 네트워크의 결합모형을 통한 의료민영화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26(2): 385-414, 2015

      94 백학영,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와 불평등 그리고 빈곤: 연령집단 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40(3): 75-105, 2013

      95 김성희, "“박근혜정부 노동개혁과 청년실업-정책의 도구화와 반복되는 실패에 서 벗어나기.”", 『노동연구』31: 5-37, 2015

      96 전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분석: 국내 학 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한국사회와 행정연구』25(2): 1-28, 2014

      97 윤홍식,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기초연금, 사회수당, 그 리고 기본소득.”", 『비판사회정책』54: 81-119, 2017

      98 김경휘, "“정규직 청년근로자의 고용특성 및 정규직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22: 25-57, 2009

      99 최인규, "“첨단의료복합단지 결정과정의 정책갈등 분석: 언론보도와 옹호연합 모형의 틀 적용.”", 『한국위기관리논집』8(2): 267-286, 2012

      100 양승일, "「수자원정책 형성과정의 상호작용 분석: 이명박정부의 한반도대운하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20(3): 189-229, 2011

      101 이준협, "“청년 열정페이의 특징과 시사점-열정페이 청년 63.5만명, 청년 임금 근로자의 17%에 달해.”", 『한국경제주평』689(0): 1-15, 2016

      102 권기헌, 임다희, "정책결정에 있어서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의 실증적 접근 -한국의 대외원조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24(1): 201-224, 2015

      103 양승일, "「장묘시설을 둘러싼 복지정책형성과정의 역동성 분석: 서울추모공원건립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한국정책학회보』43(1): 321-350, 2009

      104 권석천, 장현주,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통해서 본 검찰개혁과정-대검 찰청 중앙수사부 폐지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24(2): 335-362, 2015

      105 양성관, 윤권수,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국립대학 법인화 정책변동 과정 분석 : 서울대학교 법인화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06 김일재, "“국민연금제도 개혁의 정책결정과정 연구-정책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 형의 융합모형의 적용-”", 가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일반행정전공 박사 학위논문, 2013

      107 이현정, 김재영, "“철도구조개혁 과정에서의 이해집단간 갈등탐색에 관한 고 찰: 옹호연합모형(ACF)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대한교통학회지』33(6): 531-542, 2015

      108 정용일,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정책형성 연구: 정책흐름모형과 Allison 모형 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109 이계백, 김지경, 정연순, "『20대 청년, 후기청소년정책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4년제 일반대학 재학 및 졸업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110 우창빈, 정우철, "다중흐름모형의 수정모형을 활용한 정책과정 분석 - 치매특별등급제도의 정책변동 과정에 대한 분석 -",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24(3): 437-469, 2015

      111 최인규, "“SSM의 유통산업 규제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정책흐름모형과 옹호연합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균형발전연구』2(2): 121-139, 2011

      112 박하정, "“사회복지정책결정과정의 정책네트워크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법과 노인복지입법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13 주은선, "“한국의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모색-현행의 복지국가 프로그램과 한시 적 시민수당의 결합에 대한 시론.”",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비판사회정책』(38): 83-126, 2013

      114 박용성, 최성구, "“세종시 정책변동 과정에 관한 연구-정책옹호연합모형과 다 중흐름 모형의 결합(coupling)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23(4): 371-412, 2014

      115 박용성, 최정우, "“일반논문: 정책옹호연합모형에 있어서 정책중개자의 유형과 역할에 대한 연구: 세종시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49(2): 103-125, 2011

      116 이인원, "“기술적 네크워크 분석에서 통계적 네트워크 분석으로-정책학 연구에 있어서 네트워크 방법론의 접목 가능성-.”", 『한국정책학회보』22(2): 31-61, 2013

      117 유정호, 조민효, "“한국 청년세대의 신뢰․갈등과 복지의식 유형에 관한 연구- 잠재집단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1): 171-207, 2016

      118 장아름, "“다중흐름모형을 통한 유아교육ㆍ보육통합 논의의 변동과정 분석: 만 5세 누리과정 고시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교육정치학연구』20(3): 159-187, 2013

      119 전병주, "“청년 실업자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고용정 책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ocial Science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9(4): 197-224, 2013

      120 김순양, "“한국에서의 의료보험조합 통합일원화 논의의 정치: 정책네트워크, 옹호연합, 그리고 보건의료 정책형성의 동태성.”",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42(4): 61-102, 2011

      121 곽노완, "“기본소득은 착취인가? 정의인가?-판돈젤라의 기본소득반대론에 대한 반비판과 마르크스주의 기본소득론의 재구성.”", 『마르크스주의 연구』8(2): 40-68, 2011

      122 곽노완, "“신자유주의와 실질적 자유지상주의의 경제철학: 하이에크의 시장중 심주의와 Van Prijs의 기본소득 논의를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Vol.- (18): 1-31, 2009

      123 김민곤, 허만형, 이정철, 김지수, "아동 성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 장치 부착제도의 형성과정 분석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s model)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21(1): 251-283, 2012

      124 변미희, "“김대중 정부의 아동복지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아동복지법 전면 개정과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25 서울시, "청년허브ㆍ청년유니온ㆍ슬로워크 “청년, 어떻게 살고 있나.” http://youthnews.tistory.com/attachment/cfile1.uf@2565594E279B461112AF6 .pdf.『서울", 청년 인포그랙픽스3』, 2013

      126 이경민, "“청년, 이기는 경험을 시도해보자”-전국순회 청년문제 공개 토론회 “불평등 속의 청년의 삶, 변화는 가능한가?-21세기 청년론”", 『월간 복지동 향』2014.12(194): 48-51,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