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효과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47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주민의 효과인지와 주민의 만족도는 도시재생사업 목표인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주민의 효과인지와 주민의 만족도는 도시재생사업 목표인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효과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9년 7월 31일 부터 8월 18일까지 19일간 대전광역시 내 도시재생사업 현장 지원센터 10곳에서 지역주민과 방문객, 활동가와 코디네이터 등을 대상으로 각 도시재생사업 현장 지원센터 별 25부씩 총 250부를 자기기입 방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자료 중 신뢰성이 떨어지는 55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195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이 119명(61%)이며, 40대∼50대가 96명(49.2%)이었다. 학력별로는 대학교 이상이 125명(64.1%)이고, 자영업·전문직이 74명(38.0%)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소득은 3000만원∼4999만원이 65명(3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과 동거중이 104명(53%)으로 나타났다. 거주형태(주거, 직장, 주거 및 직장, 방문객외)을 살펴보면, 거주자가 150명(76.9%)이었고, 거주기간은 20∼40년이 64명(32.8%)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사업관련 주민회 가입자는 83명(46.2%)이었고, 도시재생사업과 관련 된 회의 참석횟수에 ‘참석하지 않는다’가 56명(28.7%)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인지에 관한 18개의 설문 문항을 가지고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경제적효과’, ‘부정적 사회적효과’, ‘긍정적 환경적효과’의 3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3개의 요인 중 가장 변량이 높은 것은 ‘긍정적 경제적 효과’ 요인으로 분산 설명력은 35.4%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만족도 영향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업군 중 학생·무직에 종사하는 사람과 소득이 높은 사람이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영향관계는 소득을 제외하고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으로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고소득자가 사업에 관심을 가질만한 이슈발굴과 참여가능한 시간과 장소, 방법마련이 절실히 필요하다. 다음으로 거주형태(주거, 직장, 주거 및 직장, 방문객), 회의 참석횟수가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결과 따라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주민협의체 활성화를 위해 주민회의와 교육을 통해 주민주도로 사업이 추진된다는 인식의 확산과 사업계획 단계부터 지역주민의 의견반영을 위한 정책과 관련법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도시 규모, 주민 특성과 주민역량, 문제진단 역량 등에 착안한 지역 특성이 반영된 차별적 접근이 용이하도록 평가기준 및 관리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효과인지 변인을 추가 투입한 결과 ‘긍정적 경제적효과’는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부정적 사회적효과’는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효과인지 요인은 ‘긍정적 경제적효과’로 지역주민이 도시재생사업을 통하여 긍정적 경제효과의 욕구가 강함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로 사업추진 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주민이 직접적으로 경제효과를 체감 할 수 있는 사업에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 추진과 함께 사회적 경제조직의 설립과 연계 그리고 사회적 경제조직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과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의 연계방법 및 활용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he increase in social capital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capabilities of residents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started in the change of the city development paradigm is a highly crucial aspect that can actuali...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he increase in social capital through the enhancement of the capabilities of residents i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started in the change of the city development paradigm is a highly crucial aspect that can actualize the sustainability of a project, the main goal of an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on the nationwide urban development project.
      For this study, in 10 on-site support centers for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within Daejeon Metropolitan City, 25 copies of self-filled questionnaires have been distributed to each of the on-site support centers, a total of 250 copies, to gather answers from residents, visitors, activists, and coordinators from July 31st (Fri) to August 18th (Tue), 2019. 55 copies were excluded as they lacked credibility, and 19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socio-demographic makeup of the subjects consisted of 119 females (61%) and 96 people in their 40s-50s (49.2%). By education level, 125 subjects (64.1%) had collegiate-level or higher education, and 74 subjects (38.0%) were running their own business or had specialized occupations. Moreover, the income range that took up the highest portion was 30 million - 49.99 million KRW with 65 subjects (33.3%), and there were 104 subjects (53%) who lived with their family members. An examination to the residential types (dwelling, work, dwelling and work, visitor, etc.) of the subjects showed that 150 subjects (76.9%) lived in the city, and for the dwelling period, 64 subjects (32.8%) had been living in the city for 20-40 years. The number of subjects who joined the relevant residents’ associations for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was 82 (46.2%), and 56 subjects (28.7%) answered that they ‘do not attend’ meetings relevant to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conducted through 18 questions on the perceived impact o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showed that there were 3 factors: ‘positive economic effect’, ‘negative social effect’, and ‘positive environmental effect.’ Among the 3 factors, the factor with the highest variate was ‘positive economic effect’, and the variance explanation power of the factor was 35.4%.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of the socio-demographic makeup revealed that people who were either students or jobless and people who had higher incomes showed nega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As there is virtually no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of the socio-demographic makeup except for income level, finding issues that may draw the interests of high income earners and the time, location, and means through which they can participate is crucial. Next, the residential types (dwelling, work, dwelling and work, visitor, etc.) and the number of attendees to meeting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the recognition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n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resident consultative group, the spread of awareness among residents for the project is promoted by the residents having residential meetings and education, and an institutional modification of policies and relevant laws in order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from the project planning stage are required. Moreover, evaluation criteria and the means of management should be proposed to make discriminatory approaches based on the city size,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the residents, and the ability to diagnose problems..
      In sequence, adding a variable for the perceived impact showed that the ‘positive economic effec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and the ‘negative social effect’ a negative impact. The factor of perceived impact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satisfaction was the ‘positive economic effect’, and it demonstrates the high desire of the residents for a positive economic effect from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in terms of the promotion of projects, the interests of residents an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are high for projects through which the residents can directly experience the economic effect through means such as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job creation. Therefore, along with the promotion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 establishment and linkag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policy-level supports should be part of the importance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diverse studies on the ways to link and utilize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should be propo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 제 3 절 용어의 정의 4
      • 3-1. 도시재생 4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의 목적 3
      • 제 3 절 용어의 정의 4
      • 3-1. 도시재생 4
      • 3-2. 효과인지 4
      • 3-3. 만족도 4
      • 제 4 절 연구의 범위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제 1 절 도시재생의 개념 8
      • 1-1. 도시재생 8
      • 1-2. 도시재생사업 11
      • 제 2 절 선행연구 14
      • 2-1. 효과인지 14
      • 2-2. 만족도 16
      • 2-3. 효과인지의 만족도 영향관계 19
      • 제 3 장 연구방법 33
      • 제 1 절 연구모형 33
      • 제 2 절 자료수집 34
      • 제 3 절 측정도구 35
      • 3-1. 종속변수 35
      • 3-2. 독립변수 35
      • 제 4 절 자료분석 37
      • 제 4 장 연구결과 38
      • 제 1 절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38
      • 제 2 절 효과인지 수준 및 차이분석 41
      • 2-1. 주민효과인지 수준의 결혼여부 차이분석 41
      • 2-2. 주민효과인지 수준의 학력별 차이분석 41
      • 2-3. 주민효과인지 수준의 직업군 차이분석 42
      • 2-4. 주민효과인지 수준의 거주형태 차이분석 43
      • 2-5. 주민효과인지 수준의 거주기간 차이분석 44
      • 2-6. 주민효과인지 수준의 회의 참석횟수 차이분석 46
      • 제 3 절 효과인지 요인분석 48
      • 3-1.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48
      • 3-2. 효과인지 요인분석 51
      • 제 4 절 효과인지와 만족도 영향관계 분석 54
      • 4-1.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4
      • 제 5 장 결론 57
      • 참고문헌 61
      • ABSTRACT 66
      • 설문지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