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향의 시에 나타난 영화적 기법 연구 = A study on cinematic techniques used in the poetry of Cho-hy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00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20년대 한국에 유입된 영화는 신문화를 선도했다. 문학계는 영화를 외면하는 부류와 그것을 수용해 새로운 융합 형태의 형식을 만들어낸 부류가 있었다. 후자에 속하는 부류에 김기림을 비...

      1920년대 한국에 유입된 영화는 신문화를 선도했다. 문학계는 영화를 외면하는 부류와 그것을 수용해 새로운 융합 형태의 형식을 만들어낸 부류가 있었다. 후자에 속하는 부류에 김기림을 비롯해 정지용, 김광균, 오장환, 이상 등의 시인이 속한다. 이들은 신생 문화 예술로 등극한 영화에 대한 영향으로 일부 작가들은 시의 형식이나 내용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들이 직간접적으로 영화의 영향을 받은 것은 그만큼 당시 영화의 파급력이 컸음을 보여준다. 시네포엠은 이러한 흐름에 의해 서서히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후 1950년대 이르러 조향에 의해 시와 영화의 교섭을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문학론’이 주창되었다. 조향은 1940년에 등단해 낭만적 서정주의 경향의 시를 선보였으나, 1941년 일본의 『詩と詩論』을 접하고부터 모더니즘과 초현실주의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초현실주의에 경도된 조향은 한국 시문학사에서 초현실주의 시론을 정립한 인물로 전위적인 모더니즘 시를 다방면으로 실험한 인물이다. 그의 다양한 모더니즘 시창작 방법론 가운데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시에 영화적 기법을 수용한 실험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 이른바 시네포엠이라 불리는 시와 영화의 교섭을 통한 시나리오 문학론이 주창되었다.
      원래 시네포엠은 1920년대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운동에서 시작된 전위적인 영화와 시의 접목을 통해 탄생한 새로운 시창작 방법이다. 이것이 일본으로 전파되어 일본의 시네포엠은 문학의 한 장르로 자리 잡았다. 반면에 1930년대 한국에서 실험된 시와 영화의 교섭을 통한 영화적인 시가 실험되었으나 시론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그러다 문학의 암흑기인 1940년대를 지나 1950년에 이르러 조향에 의해 시와 영화의 교섭을 통한 영화적인 시 즉 시네포엠이 실험되고 이론으로 주창되었다. 이후 시네포엠은 한국 시단에 하나의 물줄기를 형성하고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문학사에서 시와 영화의 교섭과 관련된 연구는 1930년대 김기림, 이상, 오장환 등을 대상으로 하거나 1960년대 이후 김춘수, 김수영, 이승훈, 황지우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 조향의 시작품이 영화적 관점에서 분석되기 시작했으나 그리 많은 연구가 개진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조향의 시작품에서 발견되는 여러 가지 실험적인 영화기법에 대해 천착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크게 4가지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시도라 할 수 있다. 첫째 조향이 추구한 시네포엠이란 무엇인가? 둘째 그의 시네포엠은 어떤 논리적 근거(이론)이었으며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 셋째 영화의 어떤 기법을 도입했으며 그것이 이루는 시적 효과는 무엇인가? 넷째 그의 영화적 기법을 수용한 실험시가 모더니즘 시사에서 가지는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가이다. 이에 본고는 시와 영화의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조향의 시작품에 수용된 영화적 기법을 분석하였으며, 그것이 시작품 속에서 어떠한 시적 효과를 거두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영화적 기법을 수용한 실험시의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실험시가 모더니즘 시사에서 가지는 성과와 한계에 대해 살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향이 추구한 시네포엠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먼저 영상을 보는 것처럼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적 감흥을 드러낸 작품, 다음으로 시나리오 형식을 시에 끌어들인 산문시, 끝으로 영화적 템포와 리듬을 가미한 즉물적 사실주의 문체로 만들어진 새로운 산문 스타일의 작품을 일컫는다.
      둘째, 조향의 시네포엠은 시와 영화의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살펴본 결과 시적은유와 영화의 몽타주, 시적 시‧공간의 변주와 플래시백, 시적 순간의 응축과 클로즈업의 유사성에 의해 영화의 교섭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조향의 시에 수용된 영화적 기법은 크게 편집 기법, 장면전환 기법, 카메라 기법으로 나누어진다. 편집기법은 충돌 몽타주, 시청각적 몽타주, 율동의 몽타주로 구분해 수용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몽타주 기법은 시적 영상미를 실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장면전환 기법은 플래시백, 오버랩과 이중노출, 페이드인과 페이드아웃이 수용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법의 수용은 화자의 무의식 세계를 탐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카메라 기법은 클로즈업, 리프레이밍, 앵글을 중심으로 수용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법은 시점의 다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조향이 시도한 시에 영화적 기법을 수용한 실험은 모더니즘 실험시의 방법론을 장르간의 교섭을 통해 기존의 장르를 다른 장르로 확장시켰다는 점과 시청각적 영상 이미지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이 드러났다. 먼저 다양한 실험을 통한 이론적 모색과 달리 그의 시작품이 과작인 탓에 새로운 시작법의 시적 변모 양상을 살피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초현실주의 시와 영화적 기법의 과도한 실험으로 그의 시가 난해해 독자와 소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시창작 방법이 모두 완전하게 시를 만드는 것에 진보 혹은 진화로 나아가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네포엠 즉 시와 영화의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한 조향의 새로운 모더니즘 방법론은 서로 다른 장르의 결합에 의해 다른 장르로 그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시청각적 영상 이미지를 실현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920s, the movie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led the New Culture. The literary world had a group that ignored movies and the other group embraced them and created new forms of fusion. The latter group belongs to poets such as Kim Ki-lim, Jeon...

      In the 1920s, the movie which was introduced to Korea led the New Culture. The literary world had a group that ignored movies and the other group embraced them and created new forms of fusion. The latter group belongs to poets such as Kim Ki-lim, Jeong Ji-yong, Kim Kwang-gyun, Oh Jang-hwan, and Yi Sang. As a result of their influence on films that have emerged as new cultural arts, some artists have sought changes in the form and content of poetry. The influence of the cinema directly or indirectly shows that the influence of the film was great at that time. Ciné-poém has begun to be made gradually by this flow.
      In the 1950s, “scenario literature theory”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poetry and film was advocated by Cho-hyang. In 1940, He introduced his romantic Lyric poetry, but in 1941 he began to open his eyes to modernism and surrealism after he encountered Japanese ‘poetry and poetics’. The Cho-hyang is a person who established surrealism poetics in Korean poetry history and experimented various aspects of avant – garde modernism poetry. Among his various modernistic methodologies, experiments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the cinematic technique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se experiments, the theory of scenario literature through the interaction of poetry and cinema called Ciné-poém was advocated.
      Originally, Ciné-poém was a new way of creative writing of poem,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vant-garde films and poetry that began in the French avant-garde film movement of the 1920s. This spread to Japan, and Ciné-poém of Japan became a genre of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cinematic poetry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poetry and film experimented in Korea in the 1930s was experimented but failed to progress to poetics. In the 1940s, that period was the dark days of literature.
      In 1950, cinematic poetry through the interaction of poetry and cinema by the effort of Cho-hyang was experimented and advocated as a theory. Since then, Ciné-poém has formed a single stream in the Korean world of poetry and has been continued to these days. Nevertheless, the studies on the interaction of poetry and film in Korean poetry were done about Kim Ki-lim, Yi Sang and Oh Jang-hwan in the 1930s. The studies on that interaction have been also done about Kim Chun-soo, Kim Soo-young, Lee Seung-hun and Hwang Ji-woo after 1960. In the early 2000s, the poem of Cho-hyang began to be analyzed from a cinematic point of view, but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various experimental film techniques found in the poem of Cho-hyang. This research is largely a attempt to achieve four objectives. First, what is Ciné-poém which he pursued? Secondly, what was his logical reason (theory) and how was it reflected in his work? Third, what technique of film did he introduce and what is the poetic effect of it? Fourth, what ar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experimental poem that embraced his cinematic techniques in modernism?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inematic technique embodied in the poem of Cho-hyang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poetry and film, and examined what poetic effect it made in the poem. Finally, I examined the methodology of experiments that accepted cinematographic techniques, and examine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modernism in the poetry. The following is summarized.
      First, Ciné-poém pursued by Cho-hyang is divided into three. In advance, it is a poem which exposed poem poetic inspiration through visual image such as watching videos. In sequence, it is prose poem which accepted scenario format. Lastly, It is a new prose style work that is made of a realistic style with cinematic tempo and rhythm.
      Second,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cinema, the interaction of poem and cinema in the Ciné-poém of Cho-hyang is based on the poetic metaphor and the montage of the film, the variation and 'flashback' in poetic time and space, and based on the similarity of ‘condensation at a poetic moment’ and the ‘close-up’.
      Third, the cinematic techniques accepted in the poem of Cho-hyang are divided into editing technique, scene transition technique, and camera technique. Editing techniques were classified into a collision montage, an audiovisual montage, and a rhythm montage, and these montage techniques were used to test poetic visual impression. Next, the scene transition technique was embracing flashback, overlap and double exposure, fade in and fade out, and the acceptance of this technique was used to explore the speaker 's unconscious world. Finally, the camera technique was embraced through close-up, reframing, and angle, and this technique was used to pursue diversification of viewpoints.
      Fourth, the experiment that adopted the cinematic technique at the attempt of Cho-hyang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xtended the existing genre to other genre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genres and created the audiovisual image.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wever, some limitations were revealed. First, unlike the theoretical search through various experiments, his poetry are few, so it is difficult to see the poetic transformation patterns of the new writing poetry method. In sequence, surrealistic poetry and excessive experimentation of cinematic techniques make it difficult for his poetry to communicate with readers. Finally, all of the new methods of writing poetry have not progressed to evolution in making poetry completely.
      Nevertheless, the new modernist methodology based on the intertextuality of poetry and cinema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roadened its range to other genres by combining different genres,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the new methodology realized an audiovisual im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선행 연구 검토 8
      • 3. 연구 방법 21
      • Ⅱ. 시와 영화의 상호텍스트성 29
      • Ⅰ. 서론 1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선행 연구 검토 8
      • 3. 연구 방법 21
      • Ⅱ. 시와 영화의 상호텍스트성 29
      • 1. 시적 은유와 몽타주 30
      • 2. 시․공간의 변주와 플래시백 37
      • 3. 시적 순간의 응축과 클로즈업 43
      • Ⅲ. 조향의 시에 나타난 영화적 기법 49
      • 1. 편집 기법을 이용한 영상미 실험 53
      • 1) 충돌 몽타주에 의한 영상의 충격 53
      • 2) 시청각적 몽타주에 의한 감각의 다각화 75
      • 3) 율동의 몽타주에 의한 영상의 긴장감 증폭 95
      • 2. 장면전환 기법을 이용한 무의식 세계 탐구 104
      • 1) 플래시백을 통한 기억의 재생 104
      • 2) 오버랩 / 이중 노출을 통한 무의식적 환상의 현시 111
      • 3) 페이드인 / 페이드아웃을 통한 시공간의 변용 124
      • 3. 카메라 기법을 이용한 시점의 다변화 131
      • 1) 클로즈업을 통한 시선의 집중 131
      • 2) 리프레이밍을 통한 시선의 확대 148
      • 3) 앵글을 이용한 시선의 감정 표현 154
      • Ⅳ. 조향의 시네포엠과 시사적 의의 163
      • 1. 모더니즘 실험시의 방법론 확장 163
      • 2. 시청각적 영상 이미지 창출 174
      • Ⅴ. 결론 185
      • * 참고문헌 1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