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시베리아의 수산자원과 한국 수산업의 진출 방안 = Fishery Resources in Siberia and the Way to Expand into Russian Fishing Industry for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0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1990s, Russia was the third in fishery industry by fish catch, and, though less than before, still the seventh in 2009. More than sixty percents of fish catch of Russia comes from Far Eastern seas of Russia. Main fish species caught in Far Eastern seas are pollack, herring, cod, etc., and fish catch is growing with increased demands in salmon, which is in high price recently.
      Russian Federal Government proceeds projects for continuous growth of fishery industry through Federalagency for Fishery, the federal organization that determines comprehensive policy for fishery. Regarding significance of Far Eastern seas recently, Russia has high interst in investment of foreign enterprises besides increased investigation of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onsequently, announced five federal policies for activating investigation to fishing industry.
      Russia endeavers in various areas: modernization of facilities; coherent system from catch to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and sales;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of marine ranch; and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frozen warehouses and fish markets to improve distribution environment.
      South Korea may take a chance to expand in Russian fishing industry in response to these projects of Russia. Construction of fishery storages, shipyard to repair old boats and to build new ones, fishing equipments including fishing net, and export of farming techniques can be direct and effective fields to expand.
      Besides, for freer local businesses of South Korean companies, intimate cooperaton with Russian government is needed. South Korea imports major fish species with certain quota and collaboration in Russian water. South Korea completely depends on import in fishery product trade. Especially, pollack(frozen) is highly import-dependant. Securing of a stable fishery right is necessary as Resource protectionism including fishery resources is in worldwide tendency to be intensified. Moreover, the plan to invest efficiently and actively, matching to investment-activation on Far Eastern area, one of prior policies of Russian government, and to utilize, further, Far Eastern area as a foothold of overseas fishing industry of South Korea is also needed.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the Arctic Ocean ice sheets are now melting three times faster than in the 1990s by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hat because of the water temperature rising by global warming habitats of pollack, cod, and salmon, etc. might move northward and fishery production of the Arctic sea will increase consequently. South Korea recently catches fish at the west of the Bering sea near Russia.
      Developments of section marine base and fisheries industry complex in Russian Far Eastern area such as Kamchatka, Magadan, Sakhalin near the Arctic sea is one of considerations.
      번역하기

      In the 1990s, Russia was the third in fishery industry by fish catch, and, though less than before, still the seventh in 2009. More than sixty percents of fish catch of Russia comes from Far Eastern seas of Russia. Main fish species caught in Far East...

      In the 1990s, Russia was the third in fishery industry by fish catch, and, though less than before, still the seventh in 2009. More than sixty percents of fish catch of Russia comes from Far Eastern seas of Russia. Main fish species caught in Far Eastern seas are pollack, herring, cod, etc., and fish catch is growing with increased demands in salmon, which is in high price recently.
      Russian Federal Government proceeds projects for continuous growth of fishery industry through Federalagency for Fishery, the federal organization that determines comprehensive policy for fishery. Regarding significance of Far Eastern seas recently, Russia has high interst in investment of foreign enterprises besides increased investigation of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onsequently, announced five federal policies for activating investigation to fishing industry.
      Russia endeavers in various areas: modernization of facilities; coherent system from catch to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and sales;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of marine ranch; and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such as frozen warehouses and fish markets to improve distribution environment.
      South Korea may take a chance to expand in Russian fishing industry in response to these projects of Russia. Construction of fishery storages, shipyard to repair old boats and to build new ones, fishing equipments including fishing net, and export of farming techniques can be direct and effective fields to expand.
      Besides, for freer local businesses of South Korean companies, intimate cooperaton with Russian government is needed. South Korea imports major fish species with certain quota and collaboration in Russian water. South Korea completely depends on import in fishery product trade. Especially, pollack(frozen) is highly import-dependant. Securing of a stable fishery right is necessary as Resource protectionism including fishery resources is in worldwide tendency to be intensified. Moreover, the plan to invest efficiently and actively, matching to investment-activation on Far Eastern area, one of prior policies of Russian government, and to utilize, further, Far Eastern area as a foothold of overseas fishing industry of South Korea is also needed.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the Arctic Ocean ice sheets are now melting three times faster than in the 1990s by global warming. It is expected that because of the water temperature rising by global warming habitats of pollack, cod, and salmon, etc. might move northward and fishery production of the Arctic sea will increase consequently. South Korea recently catches fish at the west of the Bering sea near Russia.
      Developments of section marine base and fisheries industry complex in Russian Far Eastern area such as Kamchatka, Magadan, Sakhalin near the Arctic sea is one of consider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러시아는 1990년대에는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3위를 차지할 정도로 수산대국 이었고,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지긴 하였으나, 2009년도의 수산물 어획량이 세계7위 정도로 여전히 수산대국이다. 러시아 극동해역은 러시아 수산물 생산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극동지역에서 주로 어획되는 어종은 명태 청어 대구 등이며 최근 고가로 거래되는 연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는 연방정부 차원에서 수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계획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의 수산행정은 연방수산청(Federal Agency for Fishery)에서 포괄적인 수산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각 주정부 및 공화국은 연방어업위원회의 결정사항에 의거 관할지역에 적용할 세부 정책방향을 결정 및 집행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으며, 연안지역의 어로행위는 지방정부가 관리하고, EEZ에 대해서는 연방어업위원회 소관으로 되어있다.
      러시아는 현재 극동지역의 중요성을 감안 극동지역의 수산기지 개발을 위해 연방 및 지방 정부당국의 투자확대 의지와 함께 외국 수산기업의 투자유치에 관심이 높으며, 러시아 정부는 극동지역 수산부문 투자 활성화에 5대 연방프로그램을 발표하였다. 러시아는 극동지역 수산기업의 시설 현대화 및 정비 사업으로 어획에서부터 가공, 운송, 판매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시스템화를 갖춘다는 계획과 초기단계인 양식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해저 플랜테이션의 양식장 개발을 계획 중이고, 유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냉동창고 건설, 수산시장 건설 등 수산인프라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는 낙후된 어업기계와 어선 및 어구의 현대화에 노력하고 있다.
      한국은 이러한 러시아의 계획에 대응하여 러시아의 수산부문에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산물 저장시설 건설, 노후한 어선의 수리 및 건조를 위한 조선소, 어망 및 수산 기자재 산업, 양식 기술의 수출 등이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진출 분야가 될 수 있다. 한편으로, 한국 기업들이 러시아 현지에서 보다 자유로운 경영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러시아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러시아 수역에서 일정량의 쿼터와 합작을 통해 중요 대중어종을 국내로 공급하고 있다. 한국은 러시아와 수산물 교역에 있어서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특정품목인 명태(냉동)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전 세계적으로 수산자원을 포함해 자원보호주의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러시아의 자원보호주의 강화에 대응하는 안정적 조업권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러시아 정부가 중점으로 다루고 있는 극동 지역의 투자활성화에 부응하여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투자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이 지역을 향후 우리나라 해외수산업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계획도 필요하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극지방 빙상이 1990년대에 비해 3배 이상 빨리 녹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온도의 상승으로 명태, 대구, 연어 등의 서식지가 북상하면서 북극해 지역의 어업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한국은 러시아 주변의 베링 해 서부에서 어획 활동을 하고 있다. 북극해와 인접해 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캄차트카, 마가단, 사할린 주 등에 수산물 거점항 개발과 수산물 가공 복합단지 등의 개발도 고려할 사항이다.
      번역하기

      본 러시아는 1990년대에는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3위를 차지할 정도로 수산대국 이었고,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지긴 하였으나, 2009년도의 수산물 어획량이 세계7위 정도로 여전히 수산대국이...

      본 러시아는 1990년대에는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3위를 차지할 정도로 수산대국 이었고,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지긴 하였으나, 2009년도의 수산물 어획량이 세계7위 정도로 여전히 수산대국이다. 러시아 극동해역은 러시아 수산물 생산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극동지역에서 주로 어획되는 어종은 명태 청어 대구 등이며 최근 고가로 거래되는 연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어획량이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는 연방정부 차원에서 수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계획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의 수산행정은 연방수산청(Federal Agency for Fishery)에서 포괄적인 수산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각 주정부 및 공화국은 연방어업위원회의 결정사항에 의거 관할지역에 적용할 세부 정책방향을 결정 및 집행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으며, 연안지역의 어로행위는 지방정부가 관리하고, EEZ에 대해서는 연방어업위원회 소관으로 되어있다.
      러시아는 현재 극동지역의 중요성을 감안 극동지역의 수산기지 개발을 위해 연방 및 지방 정부당국의 투자확대 의지와 함께 외국 수산기업의 투자유치에 관심이 높으며, 러시아 정부는 극동지역 수산부문 투자 활성화에 5대 연방프로그램을 발표하였다. 러시아는 극동지역 수산기업의 시설 현대화 및 정비 사업으로 어획에서부터 가공, 운송, 판매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시스템화를 갖춘다는 계획과 초기단계인 양식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해저 플랜테이션의 양식장 개발을 계획 중이고, 유통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냉동창고 건설, 수산시장 건설 등 수산인프라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다. 또한 러시아는 낙후된 어업기계와 어선 및 어구의 현대화에 노력하고 있다.
      한국은 이러한 러시아의 계획에 대응하여 러시아의 수산부문에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산물 저장시설 건설, 노후한 어선의 수리 및 건조를 위한 조선소, 어망 및 수산 기자재 산업, 양식 기술의 수출 등이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진출 분야가 될 수 있다. 한편으로, 한국 기업들이 러시아 현지에서 보다 자유로운 경영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러시아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러시아 수역에서 일정량의 쿼터와 합작을 통해 중요 대중어종을 국내로 공급하고 있다. 한국은 러시아와 수산물 교역에 있어서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특정품목인 명태(냉동)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전 세계적으로 수산자원을 포함해 자원보호주의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러시아의 자원보호주의 강화에 대응하는 안정적 조업권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러시아 정부가 중점으로 다루고 있는 극동 지역의 투자활성화에 부응하여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투자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이 지역을 향후 우리나라 해외수산업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계획도 필요하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극지방 빙상이 1990년대에 비해 3배 이상 빨리 녹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온도의 상승으로 명태, 대구, 연어 등의 서식지가 북상하면서 북극해 지역의 어업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한국은 러시아 주변의 베링 해 서부에서 어획 활동을 하고 있다. 북극해와 인접해 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캄차트카, 마가단, 사할린 주 등에 수산물 거점항 개발과 수산물 가공 복합단지 등의 개발도 고려할 사항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수산백서 2006-2008"

      2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백서 2004-2005"

      3 이광남, "한국수산업의 진단과 발전방향" 55-71, 2012

      4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국과 러시아의 변화하는 환경과 경제협력의 기회" 2009

      6 해양수산부, "한·러 해양수산용어집" 2003

      7 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한-러 수산물 불법교역방지 및 위생보장 협정체결에 따른 영향 및 대책연구" 2008

      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구촌 해양·수산" 2006

      9 "주한러시아대사관"

      10 농림수산식품부, "조업 규정집(제21차 한・러 어업위원회 합의의사록)" 2011

      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수산백서 2006-2008"

      2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백서 2004-2005"

      3 이광남, "한국수산업의 진단과 발전방향" 55-71, 2012

      4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국과 러시아의 변화하는 환경과 경제협력의 기회" 2009

      6 해양수산부, "한·러 해양수산용어집" 2003

      7 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한-러 수산물 불법교역방지 및 위생보장 협정체결에 따른 영향 및 대책연구" 2008

      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구촌 해양·수산" 2006

      9 "주한러시아대사관"

      10 농림수산식품부, "조업 규정집(제21차 한・러 어업위원회 합의의사록)" 2011

      11 산업연구원, "전환기의 시베리아·극동경제 –대내외 경제관계와 우리와의 협력방향-" 1996

      12 정명생, "전략적 FTA 추진대비 수산부문 대응전략(러시아편)" 2008

      13 주문배 러시아 극동, "자바이칼 지역의 수산업 개혁 프로그램과 시사점" (1109) : 2003

      14 한국원양산업협회, "원양산업종합정보"

      15 농림수산식품부, "원양산업의 총조사 연구" 2011

      16 장홍석, "원양산업의 동향과 전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5-129, 2012

      17 신영태, "우리나라 수산업의 선진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9

      18 정책동향연구실, "수산물 교역 동향 및 시사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5-45,

      19 카타오카 츠카시, "북동아시아 신어업 질서와 어업협력의 길" 44-67, 2010

      20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북극해를 말하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지연구소 2012

      2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북극해 수산업을 겨냥한 전략적인 접근방법 모색 필요" 22 : 1-2, 2011

      22 원학희, "러시아의 지리" 2002

      23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러시아의 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시사점" 2010

      24 이재영, "러시아의 WTO 가입과 한국의 무역투자 증진방안" 2007

      25 주문배, "러시아 해양수산법령집 - 법률과 해설 -" 해양수산개발원 2004

      26 한종만, "러시아 사할린 한인의 인적/물적 자원의 변천과정" 동북아역사재단 2012

      27 정명화, "러시아 극동지역 수산분야에 대한 한·러 협력 동향" 112-132, 2010

      28 농림수산식품부, "러시아 극동지역 수산부분 투자 입지여건 및 타당성 분석 - 나호트카 항을 중심으로" 2010

      29 한종만, "러시아 극동지역 사할린 주에 관한 지역연구"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3 : 95-120, 1999

      30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러시아 극동 자바이칼지역의 수산업 현황과 협력 방안" 2003

      31 최정윤, "동북아의 수산업과 지역어업협력문제" 태화출판사 2000

      32 해양수산부, "동북아 수산협력에 관한 연구" 2000

      33 "대한무역투자공사 홈페이지"

      34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통계연보(2009)" 2010

      35 "농림수산식품부 홈페이지"

      36 한종만, "극동·시베리아지역에서의 한·러 협력관계의 회고와 전망" 한림대학교 러시아연구소 6 (6): 147-191, 2010

      37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극동 러시아 수산부문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 자료집" 2010

      38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Регионы Ро ссии .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 -"

      39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Регионы Ро ссии .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ие показатели -"

      40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ки, Доклад о со 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м Сахалинской области за янбарь - декабрь года" Сахалинстат 2011

      41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ки, Внешнийр ынок товаов и услуг в субъектах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Сахалинстат 2010

      42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Р осстат), РОССИЙСКИЙ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2012 - CТАТИС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Москва 2012

      43 "http://www.ofis.or.kr/rb/b/info_news/5969"

      44 "http://www.megafishnet.com"

      45 "http://www.khabarovskadm.ru/"

      46 "http://www.kamchatka.gov.ru/"

      47 "http://www.gks.ru/bgd/regl/b11_14p/Main.htm"

      48 "http://www.fishnet.ru/"

      49 "http://www.fishnet.ru/"

      50 "http://en.wikipedia.org/wiki/"

      51 "http://cyber.mltm.go.kr/ebook/whitebook/maritimebook/EBook.htm"

      52 FAO, "Russia Federation: Review of the Fishery Sector"

      53 Suslov, S. P., "Physical Geography of Asiatic Russia" W. H. Freeman and Company 1961

      54 Eurofish International Organization, "Fish industry of Russia"

      55 농림수산식품부, "2011년도 수산물수출입통계연보" 2012

      5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1 수산·해양환경 통계"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3-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Siberia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66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