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산 사상에 나타난 민권논리(民權論理) = The Concept of Civil Rights in Dasan’s Political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5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산의 민권사상은 네 가지 관점에서 그 논리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 그는 다양한 동양사상을 두루 섭렵했고, 특히 서학을 접하면서 그의 세계관은 성리학의 벽을 넘었다. 그의 명찰한 재질에 가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제반 사상을 섭렵할 환경요인이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인간이 선과 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주권을 가진 존재임을 확인하면서 민권사상의 시원을 제기했다. 지도자와 백성이라는 사회적 관계를 기능개체라는 관점에서 보면서 민권의 탄생을 선언하게 된다. 지도층의 존재가 있게 된 것이나 그 역할이 민(民)을 위하는 데 있다고 보는 유기체적 관점에서 근대적 민권개념이 제기된 것이다. 다산이 주장하는 민권개념이 성리학은 물론 서구 민권사상과도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서구의 경우는 민권사상이 산업혁명을 거쳐 상위개체와의 투쟁에서 승리함으로 얻은 것인데 비해, 다산의 경우는 산업혁명을 거치지 않은 문화 바탕에서 이데올로기적 특징을 지니지 않은 채 제기되었다는 점에 근본적 차이가 있다.
      번역하기

      다산의 민권사상은 네 가지 관점에서 그 논리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 그는 다양한 동양사상을 두루 섭렵했고, 특히 서학을 접하면서 그의 세계관은 성리학의 벽을 넘었다. 그의 명찰한 재...

      다산의 민권사상은 네 가지 관점에서 그 논리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 그는 다양한 동양사상을 두루 섭렵했고, 특히 서학을 접하면서 그의 세계관은 성리학의 벽을 넘었다. 그의 명찰한 재질에 가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제반 사상을 섭렵할 환경요인이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인간이 선과 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주권을 가진 존재임을 확인하면서 민권사상의 시원을 제기했다. 지도자와 백성이라는 사회적 관계를 기능개체라는 관점에서 보면서 민권의 탄생을 선언하게 된다. 지도층의 존재가 있게 된 것이나 그 역할이 민(民)을 위하는 데 있다고 보는 유기체적 관점에서 근대적 민권개념이 제기된 것이다. 다산이 주장하는 민권개념이 성리학은 물론 서구 민권사상과도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서구의 경우는 민권사상이 산업혁명을 거쳐 상위개체와의 투쟁에서 승리함으로 얻은 것인데 비해, 다산의 경우는 산업혁명을 거치지 않은 문화 바탕에서 이데올로기적 특징을 지니지 않은 채 제기되었다는 점에 근본적 차이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柳洪烈, "카토릭청년" 카토릭청년사 1960

      2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고려대 출판부 1973

      3 玄相允, "조선 儒學史上의 정다산과 그 위치" (2) : 1979

      4 홍이섭,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연구" 한국연구원 1959

      5 조 광, "정약용의 민권의식연구" 19 (19): 1976

      6 朴星來, "정약용의" (1) : 1978

      7 금장태, "정다산의 사상에 있어서 서학의 영향과 의의" (3) : 1975

      8 白南雲, "정다산의 사상" (2) : 1979

      9 李家源, "인물한국사 4" 박우사 1965

      10 成樂熏, "유학사상의 근대적 전화-정다산의 신유학을 중심으로" (6) : 1963

      1 柳洪烈, "카토릭청년" 카토릭청년사 1960

      2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고려대 출판부 1973

      3 玄相允, "조선 儒學史上의 정다산과 그 위치" (2) : 1979

      4 홍이섭,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연구" 한국연구원 1959

      5 조 광, "정약용의 민권의식연구" 19 (19): 1976

      6 朴星來, "정약용의" (1) : 1978

      7 금장태, "정다산의 사상에 있어서 서학의 영향과 의의" (3) : 1975

      8 白南雲, "정다산의 사상" (2) : 1979

      9 李家源, "인물한국사 4" 박우사 1965

      10 成樂熏, "유학사상의 근대적 전화-정다산의 신유학을 중심으로" (6) : 1963

      11 필방제, "영언여작인(靈言蠡勺)" 아세아문화사 1976

      12 김한식, "담헌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개체성 논리" (13) : 1979

      13 李乙浩, "다산학제요 상" 대양서적 1975

      14 李乙浩, "다산학의 이해" 현암사 1975

      15 강재언, "다산학과 서학 <다산서거 150주년기념 다산학 학술발표회>"

      16 김영호, "다산학 백년 -다산실학에 대한 연구성과의 종합적 정리" (15) : 1977

      17 崔東熙, "다산의 신관" (15) : 1977

      18 신용하, "다산의 사회신분제도 개혁사상 <다산서거 150주년기념 다산학 학술발표회>"

      19 김길환, "다산의 中庸觀과 心學" (2) : 1979

      20 金智勇, "다산시문선. 목민심서" 대양서적 1972

      21 李乙浩, "다산경학사상연구" 을유문화사 1966

      22 安鼎福, "順菴集" 경인문화사 1998

      23 李晩采, "闢衛編 권2" 闢衛社 1931

      24 대우재단, "茶山先生年譜 12-14"

      25 정약용, "與猶堂全書 제6집" 京仁出版社 1981

      26 정약용, "與猶堂全書 제2집" 京仁出版社 1981

      27 정약용, "與猶堂全書 제1집" 京仁出版社 1982

      28 정약용, "與猶堂全書 제5집" 京仁出版社 1981

      29 정약용, "與猶堂全書 제3집" 京仁出版社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