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활동 및 신학 : 일제 시대를 중심으로 = The Work For Social Salvation Ans The Theology Of The Salvation Army In Korea: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47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구세군이 일제 강점기에 어떤 사회구원사업을 수행했고 어떤 사회구원론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암울한 시대에 한국 구세군이 실시했던 사회구원사역을 시대별로 정리해서 사회구원관을 정립했다.
      먼저,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배경이 되는 웨슬리와 윌리엄 부스의 사회구원론을 살펴보면서 찾아가서 사회적 약자들에게 행하는 사역을 실시했던 것을 볼 수 있다. ‘찾아가서 만나라’라는 이러한 정신을 한국 구세군의 개척자인 허가두도 실천했고 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살고 있던 여성들이나 청소년들, 노숙자들인 사회적 약자들에게 사회구원활동을 실시한 결과 80여 개의 교회를 6년만에 개척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찾아가서 만나는 정신으로 달려갔던 초기 한국 구세군인들의 그 열정이 있었기에 그 활동들이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활동 및 신학으로 전개되어 오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두 번째로,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사역들은 여성, 청소년 계몽활동을 시작으로 모금, 교육, 긴급구호, 금주금연 절제활동 등의 지속적인 사회구제활동을 실시해 오고 있다. 이러한 100여 년의 사역의 결과로 인해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론의 특징을 5가지로 정리했다.
      첫째가 구세군 창립자인 부스의 정신을 이어받아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을 통합하는 전인구원사역을 실시했던 특징이 있다.
      둘째로 사회적 약자들을 중시하여 그들을 위한 긴급구호활동에 적극적으로 사역했다.
      셋째로 실질적인 나눔을 강조하기위해서 극기 모금 및 자선냄비를 실시해 오고 있으며, 넷째로 처음 시작했던 각종 사회구원활동들을 1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다.
      다섯째로 이러한 사회구원활동들을 통해 예수의 정신을 구현하여 이 땅에 남아있는 마지막 한 영혼까지 구원하여 하나님 나라를 이루겠다는 정신이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활동의 특징인 것이다.
      한국 구세군은 예수정신으로 사회악에 노출된 영혼들이 구원받을때까지 사회구원활동을 지속하여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 구세군이 일제 강점기에 어떤 사회구원사업을 수행했고 어떤 사회구원론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암울한 시대에 한국 구세군이 실시했던 사회구원...

      본 논문은 한국 구세군이 일제 강점기에 어떤 사회구원사업을 수행했고 어떤 사회구원론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암울한 시대에 한국 구세군이 실시했던 사회구원사역을 시대별로 정리해서 사회구원관을 정립했다.
      먼저,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배경이 되는 웨슬리와 윌리엄 부스의 사회구원론을 살펴보면서 찾아가서 사회적 약자들에게 행하는 사역을 실시했던 것을 볼 수 있다. ‘찾아가서 만나라’라는 이러한 정신을 한국 구세군의 개척자인 허가두도 실천했고 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살고 있던 여성들이나 청소년들, 노숙자들인 사회적 약자들에게 사회구원활동을 실시한 결과 80여 개의 교회를 6년만에 개척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찾아가서 만나는 정신으로 달려갔던 초기 한국 구세군인들의 그 열정이 있었기에 그 활동들이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활동 및 신학으로 전개되어 오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두 번째로,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사역들은 여성, 청소년 계몽활동을 시작으로 모금, 교육, 긴급구호, 금주금연 절제활동 등의 지속적인 사회구제활동을 실시해 오고 있다. 이러한 100여 년의 사역의 결과로 인해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론의 특징을 5가지로 정리했다.
      첫째가 구세군 창립자인 부스의 정신을 이어받아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을 통합하는 전인구원사역을 실시했던 특징이 있다.
      둘째로 사회적 약자들을 중시하여 그들을 위한 긴급구호활동에 적극적으로 사역했다.
      셋째로 실질적인 나눔을 강조하기위해서 극기 모금 및 자선냄비를 실시해 오고 있으며, 넷째로 처음 시작했던 각종 사회구원활동들을 1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다.
      다섯째로 이러한 사회구원활동들을 통해 예수의 정신을 구현하여 이 땅에 남아있는 마지막 한 영혼까지 구원하여 하나님 나라를 이루겠다는 정신이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활동의 특징인 것이다.
      한국 구세군은 예수정신으로 사회악에 노출된 영혼들이 구원받을때까지 사회구원활동을 지속하여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work for social salvation that has been done by the Salvation Arm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o determine what kind of social soteriology was developed as a consequence. By a periodical categorizing of the works for social salvation done by the Salvation Army in Korea during that dark period of Korean history, I try to establish the Army’s doctrine of social salvation.
      First of all, by studying the social salvation doctrines of Wesley and William Booth, which are the background of social salvation of the Salvation Army in Korea, it shows that the Salvation Army formed various ministries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by meeting the needs of these people. The motto 'Go and meet the need' was also practiced by the pioneer Officer of the Salvation Army in Korea, Robert Hoggar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for the social salvation of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women, children and homeless people, the Salvation Army in Korea was able to plant around eighty ‘corps’ (churches) in six years. Thanks to the early Korean Salvationists' passion for 'go and meet the need', their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alvation theology of the Salvation Army in Korea from the past up to the present.
      Secondly, the efforts for social salvation by the Salvation Army in Korea in the early stage included ministries for women, the education of people of all ages, fundraising, emergency relief services, and teaching the importance of avoiding drinking and smoking. This work continues today.
      I then summarize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he Salvation Army’s doctrine of social salvation in Korea, which is the product of 100 years of ministry. First, it is distinguished by its holistic view for salvation, which means it tries to integrate person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in the manner set forth by William Booth, the founder of the Salvation Army.
      Second, this doctrine is marked by a serious concern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Third, this social salvation doctrine emphasizes practical sharing, self-denial fundraising and kettle appeal fundraising. Fourth, various activities of the Army’s social salvation are still in effect today, a hundred years since they were first introduced.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Salvation Army in Korea is that through the works of social salvation they realize the spiritual intention of Jesus on this earth, which is to win every soul for God and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 but until the day comes when all souls have heard the gospel and all social evils have been eliminated, the Salvation Army in Korea will continue to carry out its miss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work for social salvation that has been done by the Salvation Arm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o determine what kind of social soteriology was developed as a consequence. By 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work for social salvation that has been done by the Salvation Arm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o determine what kind of social soteriology was developed as a consequence. By a periodical categorizing of the works for social salvation done by the Salvation Army in Korea during that dark period of Korean history, I try to establish the Army’s doctrine of social salvation.
      First of all, by studying the social salvation doctrines of Wesley and William Booth, which are the background of social salvation of the Salvation Army in Korea, it shows that the Salvation Army formed various ministries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by meeting the needs of these people. The motto 'Go and meet the need' was also practiced by the pioneer Officer of the Salvation Army in Korea, Robert Hoggar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ctivities for the social salvation of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women, children and homeless people, the Salvation Army in Korea was able to plant around eighty ‘corps’ (churches) in six years. Thanks to the early Korean Salvationists' passion for 'go and meet the need', their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alvation theology of the Salvation Army in Korea from the past up to the present.
      Secondly, the efforts for social salvation by the Salvation Army in Korea in the early stage included ministries for women, the education of people of all ages, fundraising, emergency relief services, and teaching the importance of avoiding drinking and smoking. This work continues today.
      I then summarize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he Salvation Army’s doctrine of social salvation in Korea, which is the product of 100 years of ministry. First, it is distinguished by its holistic view for salvation, which means it tries to integrate personal salvation and social salvation in the manner set forth by William Booth, the founder of the Salvation Army.
      Second, this doctrine is marked by a serious concern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Third, this social salvation doctrine emphasizes practical sharing, self-denial fundraising and kettle appeal fundraising. Fourth, various activities of the Army’s social salvation are still in effect today, a hundred years since they were first introduced.
      Fif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Salvation Army in Korea is that through the works of social salvation they realize the spiritual intention of Jesus on this earth, which is to win every soul for God and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 but until the day comes when all souls have heard the gospel and all social evils have been eliminated, the Salvation Army in Korea will continue to carry out its mi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1
      • 1.2 선행연구사 8
      • 1.3 연구 방법 및 절차 12
      • 2. 사회봉사와 사회복음, 사회구원 15
      • 1. 서론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1
      • 1.2 선행연구사 8
      • 1.3 연구 방법 및 절차 12
      • 2. 사회봉사와 사회복음, 사회구원 15
      • 2.1 사회봉사와 사회구원과의 관계 16
      • 2.2 사회복음과 구세군사회구원과의 관계 20
      • 2.3 사회구원 29
      • 3.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 배경 34
      • 3.1 웨슬리의 사회구원론 35
      • 3.2 윌리엄 부스의 사회구원론 45
      • 4.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 시작(1908-1916) 58
      • 4.1 허가두의 사회구원론 배경 58
      • 4.2 초기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활동(1908-1916) 74
      • 4.3 사회구원관 80
      • 5.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 활동 시대(1916-1924) 84
      • 5.1 자주 독립활동으로 인한 시련의 시대 84
      • 5.2 실업 및 계몽을 통한 사회구원활동(1916-1919) 87
      • 5.3 모금 및 절제운동을 통한 사회구원활동(1919-1924) 92
      • 5.4 사회구원관 100
      • 6.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 침체 시대(1924-1928) 104
      • 6.1 식민지 정책으로 인한 핍박과 희생의 시대 104
      • 6.2 사기진작 및 교육·구제를 통한 사회구원활동(1924-1926) 107
      • 6.3 분규사건과 지속되는 여성사역 활동(1926-1928) 110
      • 6.4 사회구원관 114
      • 7.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 활성화 시대(1928-1940) 119
      • 7.1 쌀 수탈과 비판세력으로 인한 농촌계몽운동의 정체시기 119
      • 7.2 자선냄비를 통한 사회구원활동의 활성화(1928-1936) 121
      • 7.3 신사참배거부사건과 지속적 동계 구제사업(1936-1940) 126
      • 7.4 사회구원관 129
      • 8.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 단절 시대(1940-1945) 133
      • 8.1 강요에 의한 신사참배 동참의 시대 133
      • 8.2 구세단시대 사회구원활동 전무(1940-1945) 134
      • 8.3 사회구원관 136
      • 9. 한국 구세군의 변함없는 사회구원활동 139
      • 9.1 계몽활동 139
      • 9.2 모금활동 143
      • 9.3 교육활동 144
      • 9.4 긴급구호활동 146
      • 9.5 금주금연절제활동 147
      • 9.6 구세군 사관의 처우개선활동 148
      • 10. 한국 구세군의 사회구원 특징 150
      • 10.1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의 분리지양 150
      • 10.2 사회에서의 약자들(물속에 잠긴 십분의 일) 중시 154
      • 10.3 실질적인 나눔 강조(측은지심) 156
      • 10.4 지속적인 사회구원활동 158
      • 10.5 예수정신 구현 160
      • 11. 결론 163
      • 참고문헌 166
      • 영문초록 175
      • 국문초록 17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성덕, "null", 구세군 사관의 군령군율 서울: 구세군대한본영 문학부, 1999

      2 전광표, "등. 사관", 서울: 구세군출판부, 2008

      3 이성주, "웨슬리신학", 문서선교성지원, 서울: 문서선교성지원, 1994

      4 장형일, "한국구세군사", 서울: 구세군대한본영, 2004

      5 요한, 조종남, "웨슬레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2000

      6 요한, 조종남, "웨슬레신학연구", 서울신학대학, 서울: 서울신학대학출판부, 1977

      7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8 김석태, "구세군 군령군율", 서울: 구세군대한본영, 1989

      9 박동일, "개혁교회의 구원론", 서울: 동연, 2012

      10 한영태, "웨슬리의 조직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96

      1 이성덕, "null", 구세군 사관의 군령군율 서울: 구세군대한본영 문학부, 1999

      2 전광표, "등. 사관", 서울: 구세군출판부, 2008

      3 이성주, "웨슬리신학", 문서선교성지원, 서울: 문서선교성지원, 1994

      4 장형일, "한국구세군사", 서울: 구세군대한본영, 2004

      5 요한, 조종남, "웨슬레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2000

      6 요한, 조종남, "웨슬레신학연구", 서울신학대학, 서울: 서울신학대학출판부, 1977

      7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8 김석태, "구세군 군령군율", 서울: 구세군대한본영, 1989

      9 박동일, "개혁교회의 구원론", 서울: 동연, 2012

      10 한영태, "웨슬리의 조직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96

      11 김홍기, "존 웨슬리의 구원론", 서울: 성서연구사, 1996

      12 이충호, "편. 한국구세군연혁", 서울: 구세군출판부, 2013

      13 김준철, "한국 구세군 100년사", 서울: 구세군출판부, 2008

      14 김인수, "사료 한국신학사상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15 박정신, "『근대한국과 기독교』", 민영사, 서울: 민영사, 1997

      16 김진두, "『웨슬리의 실천신학』", 서울: 도서출판 진흥, 2000

      17 민경배, "『한국교회의 사회사』",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18 강동진, "일제하 한국침략정책사", 한길사, 서울: 한길사, 1980

      19 김준철, "편. 허가두 생애와 사역", 서울: 구세군출판부, 2007

      20 임홍근, "구세군 이촌영문 100년사", 서울: 에디아, 2013

      21 김준철, "나는 구세군과 결혼했다", 서울: 에디아, 2004

      22 김준철, "“구세군의 신학사상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식 제30호 , 3-22, 1998

      23 장형일, "인류애의 사도 윌리암 뿌드", 서울: 세종문화사, 1993

      24 강종권, 이덕중, 김준철, "한국 구세군을 빛낸 사관들", 구세군출판부, 서울: 구세군출판 부, 2013

      25 강돈구, "“구세군의 역사와 정체성.”", 한국종교학회, 종교연구 57 , 1-29, 2009

      26 김홍기, "『 존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 대한기독교서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3

      27 박동현, "“구약성서에서의 사회봉사.”", 기독교와 한국사회 3권, 0호 , 115-130, 1992

      28 서정운, "「선교신학에서 본 사회봉사」", 기독교와 한국사회 vol. 3, no. 0 , 35-48, 1992

      29 박종삼, "『교회사회봉사 이해와 실천』", 인간과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2000

      30 김준철, "“구세군 안에 있는 메소디즘.”", 성결교회와 신학 5권 , 155-190, 2001

      31 장형일, "“한국 구세군의 해체와 시련.”", 대한기독교서회, 기독교사상 통권, 제369호 , 207-212, 1989

      32 송흥국, "웨슬레 신학: 구원론을 중심으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33 김관석, 홍현설, 한완상, "“社會救援은 反基督敎적인가.”", 기독교사상 통 권, 제221호 , 70-89, 1976

      34 강종권, 이덕중, 김준철, "한국 구세군을 빛낸 9인의 평신도", 서울: 구세군출판부, 2011

      35 김태열, "한국사회 문제와 구세군 사회사업", 서울: 유풍출판사, 1996

      36 김동진, 양웅철, "구세군 연수원 교재Ⅰ:구세군 역사", 서울: 구세군출판부, 2013

      37 박명수, "“사회복음과 무디의 부흥운동(1).”",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활천사, 활천 524권, 7호 , 50-54, 1997

      38 강종권, "“일제시대 기독교사회주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05

      39 강종권, "“근대 한국 기독교사회운동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0

      40 홍봉식, "“구세군 사회복지의 성찰과 미래전망.”", 구세군사관학교 100주년 기념논문집 1 , 162-198, 2010

      41 백용기, "남북전쟁 이후 미국의 사회적 기독교운동",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 신학논단 제63집 , 57-87, 2011

      42 윤영훈, "“찰스 쉘던의 사회복음의 기원과 성격.”",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 74, no. 0 , 57-85, 2011

      43 김홍기, "“교회사 속에 나타난 성화지향적 지도력.”", 한국기독교학회, 구세군선교신학대학 원 자료집 , 가을), 81-85, 2005

      44 이상정, "“년 구세군 분규사건에 대한 역사적 조명.”", 구세군역사연구 제1집 (2009), 41-66, 1926

      45 노성우, "“윌리엄 부스의 생애와 영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숭실 대학교, 2005

      46 박수암, "“신약성서를 중심으로 본 교회갱신과 선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선교와 신학 제3집 , 17-35, 1999

      47 김호규, "“한국 구세군의 사회복지활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 울기독신학대학교, 2013

      48 이태수, "“구세군 사회봉사 100년 그리고 앞으로 100년.”", 국제 사회복지 심포지엄, 181-213, 서울: 구세군한국선교백주년본부, 2008

      49 이봉규, "“구세군 한국선교 100년의 의미, 현황과 과제.”", 구세군사관학교, 학술대회자료집 , 64-65, 2008

      50 정성화, "일제강점기 한반도에서의 러시아 난민들의 일상", 년 6월). http://cheongsunghwa.blogspot.com/2010/06/blog-post.html (2015년 7월 15일 검색), 2010

      51 이덕중, "“윌리엄 부스의 구세군 활동과 신학사상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1

      52 이상정, "편. “구세군사관학교 100년사: -1953년을 중심으로", ” 구세 군 사관학교 100주년 기념논문집 2 (2010), 1-145, 1908

      53 김병윤, "편. 사회 및 윤리문제에 관한 구세군 국제입장선언문", 서울: 구세 군출판부, 2014

      54 김승태, "“일제말기 한국기독교계의 변질 개편과 부일협력.”", 한국기독교 와 역사 제24호 , 5-65, 2006

      55 강성환, "그리스도의 좋은 군사: 구세군 병사군령군율. 이재습 역", 서울: 구세군대한본영문학부, 2002

      56 전상영, "구세군의 사회봉사에 관한 연구: 역사적 및 신학적 고찰.",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09

      57 노성수, "˝65년이나 지났지만… 아직도 눈물이 흐릅니다.” 국방일보",   년 6월 25일).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 view.do?ntt_writ_date=20150625&parent_no=46&bbs_id=BBSMSTR_ 000000000138 (2015년 9월 24일 검색), 2015

      58 장희경, "“구세군 창립자 William Booth의 사회복지 사상과 관련 활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1999

      59 이상정, "“허가두 정령 부인 애니 존스(Annie Johns, 1862-의 사역과 사상: 한국에서의 사역을 중심으로.”", 구세군역사연구 제3집 (2011), 5-21, 1941

      60 윤영훈,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Charles Sheldon의 대중적 종교 소설, In His Steps에 대한 연구.”", 한국교회사학회지 23권, 0호 , 97-133,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