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의 지식은 많은 양이 빠르고 또한 상황에 맞게 가공되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사회에서 창의적인 발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자극이 되고 있으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887939
서울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012
한국어
371.3 판사항(22)
서울
(The) effects of teacher role and class environment on learners' satisfaction in creative problem solving
vi, 93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유병민
부록: 'CPS 수업' 외 수록
참고문헌: p. 80-8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에의 지식은 많은 양이 빠르고 또한 상황에 맞게 가공되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사회에서 창의적인 발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자극이 되고 있으며, ...
현대사회에의 지식은 많은 양이 빠르고 또한 상황에 맞게 가공되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사회에서 창의적인 발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자극이 되고 있으며, 학교교육의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성은 중요한 목표로 제시되고 있다.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을 적용한 수업에서 많은 요인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선행연구를 통해서 입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에서 교수자요인과 수업환경요인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통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통해 대학수업에서 수업 설계 시 고려해야할 요인들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서울에 있는 K대학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을 실제 학습에 적용하여 실행하고,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은 131명이었다. 수업의 진행은 B-Learning으로 하였으며, 수업 후 설문을 통해 교수자요인(수업안내, 전공지식수준, CPS 단계별 활동의 이해, 피드백)과 수업환경요인(On-line, Off-line)을 중심으로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학년과 e-Learning 경험(유・무)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령분석(One Way of ANOVA)과 평균차이검증(t-test)을 실시하였고, 교수자요인과 수업환경요인(On-line, Off-line)이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tiple Regression Anlysis)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에서 학년과 e-Learning 경험(유・무)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에서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교수자요인은 수업안내, 피드백, 전공지식수준, CPS 활동의 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째,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에서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On-line 수업환경요인은 eCampus 토론방메뉴, eCampus의 적극적튜터활동, CPS 6단계, eCampus 팀프로젝트메뉴, CPS 5단계, eCampus 과제메뉴, eCampus 자료실메뉴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에서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Off-line 수업환경요인은 인터넷 수업환경, 네트워크 환경, 적극적 튜터활동, 원탁테이블 및 화이트보드 토론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을 적용한 수업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도한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수자요인과 수업환경요인을 더 고려해야한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 학습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 시에 교수자요인, On-line 수업환경요인, Off-line 수업환경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을 더 찾아내거나,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더 강점을 두어 수업설계방법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며, 다른 연구와 함께 접목시켜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