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간의 위상학적 분석으로 본 1960년대 이후 한국 초등학교 유형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elementary school types since 1960's based on spatial topologica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78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62년 표준설계지침서를 시작으로 정형화된 학교유형을 만들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학교건축은 이후 경제적, 사회적, 교육정책적 요구상황에 맞춰 열린교육학교, 현대화학교, 복합화학교와 같은 학교건축유형으로 변화해 왔다. 우리나라의 학교건축연구 역시 위의 유형적 변화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연구들은 학교건축의 외형적 특징이나 배치방식, 규모 등과 같은 정량적 연구가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교건축의 다양하고 보편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복잡한 사회현상에 대한 보편적 인과관계를 찾아내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량적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위상학적 공간분석을 시도한다. 그것은 표준설계지침서가 등장한 1962년 이후부터 복합화학교가 나타난 현재를 기준으로 초등학교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공간의 사회학적 접근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구는 1960년대 이후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중 명확한 유형적 특징을 갖춘 학교를 선정하고,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공간위상도(justified graph),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라는 세 가지를 변수를 사용했으며, 분석 사례는 표준설계학교, 열린교실학교, 현대화학교, 복합화학교유형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번역하기

      1962년 표준설계지침서를 시작으로 정형화된 학교유형을 만들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학교건축은 이후 경제적, 사회적, 교육정책적 요구상황에 맞춰 열린교육학교, 현대화학교, 복합화학교와 ...

      1962년 표준설계지침서를 시작으로 정형화된 학교유형을 만들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학교건축은 이후 경제적, 사회적, 교육정책적 요구상황에 맞춰 열린교육학교, 현대화학교, 복합화학교와 같은 학교건축유형으로 변화해 왔다. 우리나라의 학교건축연구 역시 위의 유형적 변화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연구들은 학교건축의 외형적 특징이나 배치방식, 규모 등과 같은 정량적 연구가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교건축의 다양하고 보편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복잡한 사회현상에 대한 보편적 인과관계를 찾아내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량적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위상학적 공간분석을 시도한다. 그것은 표준설계지침서가 등장한 1962년 이후부터 복합화학교가 나타난 현재를 기준으로 초등학교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공간의 사회학적 접근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구는 1960년대 이후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중 명확한 유형적 특징을 갖춘 학교를 선정하고,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공간위상도(justified graph), 연결도(connectivity), 통제도(control value)라는 세 가지를 변수를 사용했으며, 분석 사례는 표준설계학교, 열린교실학교, 현대화학교, 복합화학교유형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became effective in 1962 , the Korean school buildings have been designed and built by limited types such as standard plan school, open education school, modernization school, mixed-use school. So far most of the studies of Korean school buildings have been focused on typological change
      in terms of quantitative issues such as space program, methods of layout and size. Thes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the adoption of new types but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universal causality about complex social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hool types through the topological point of view .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started from selecting schools which have clear typical features, and then analyzing the types through justified graph, connectivity, control value based on space syntax.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school building types show wide-open spatial structure based on common public space.
      2. All school building types show high connectivity value in
      common public space, but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have relatively low connectivity value.
      3. All school building types show high control value in common public space, but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have relatively low control value.
      4.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have clustered space and division of circulation that reduce concentration of circulation This result is related with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hierachial structure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is study attributes cause of
      to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buildings to bureaucracy in the form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hierachial education system.
      Spatial structure of each type has some variations in individual features. Some of outstanding features are reflected on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Those schools showed deepened spatial depth and complicated spatial structure by clustered space and
      division of circulation, which is created from new spaces in open educational classroom and mixed-use facility.
      These new spaces featured in open education and mixed-use school provided natural surveillance and natural access control system.
      In conclusio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ypes do not show a considerable change for 50 years, compared to the changes in education policies. The only exception from those
      analysis is the case of clustered space and the division of circulation which brought meaningful variations i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opological structur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ypes since the 1960's and intended to provides basic data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an alternative approach in terms of social meaning in school environment.

       Key words: elementary school building type, topology, space syntax
      번역하기

      Since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became effective in 1962 , the Korean school buildings have been designed and built by limited types such as standard plan school, open education school, modernization school, mixed-use school. So far most of the st...

      Since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became effective in 1962 , the Korean school buildings have been designed and built by limited types such as standard plan school, open education school, modernization school, mixed-use school. So far most of the studies of Korean school buildings have been focused on typological change
      in terms of quantitative issues such as space program, methods of layout and size. Thes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the adoption of new types but not enough to understand the universal causality about complex social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hool types through the topological point of view .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started from selecting schools which have clear typical features, and then analyzing the types through justified graph, connectivity, control value based on space syntax.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school building types show wide-open spatial structure based on common public space.
      2. All school building types show high connectivity value in
      common public space, but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have relatively low connectivity value.
      3. All school building types show high control value in common public space, but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have relatively low control value.
      4.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have clustered space and division of circulation that reduce concentration of circulation This result is related with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hierachial structure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is study attributes cause of
      to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buildings to bureaucracy in the form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hierachial education system.
      Spatial structure of each type has some variations in individual features. Some of outstanding features are reflected on open education school, mixed-use school. Those schools showed deepened spatial depth and complicated spatial structure by clustered space and
      division of circulation, which is created from new spaces in open educational classroom and mixed-use facility.
      These new spaces featured in open education and mixed-use school provided natural surveillance and natural access control system.
      In conclusio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ypes do not show a considerable change for 50 years, compared to the changes in education policies. The only exception from those
      analysis is the case of clustered space and the division of circulation which brought meaningful variations i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opological structur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ypes since the 1960's and intended to provides basic data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an alternative approach in terms of social meaning in school environment.

       Key words: elementary school building type, topology, space syntax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검토 3
      • 1.3 연구범위 및 방법 5
      • Ⅱ. 우리나라 학교건축의 유형과 특징 7
      • Ⅰ.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선행연구 검토 3
      • 1.3 연구범위 및 방법 5
      • Ⅱ. 우리나라 학교건축의 유형과 특징 7
      • 2.1 우리나라 학교건축의 유형변천 7
      • 2.1.1 1·2기(해방이후-1970년대)학교 건축유형 8
      • 2.1.2 3기(1980-1990년대)학교 건축유형 10
      • 2.1.3 4기(1990년대 이후)교육정책 13
      • Ⅲ. 초등학교 건축공간의 분석에 관한 이론적 고찰 17
      • 3.1 위상학적 공간분석 17
      • 3.1.1 위상학의 개념 17
      • 3.1.2 건축공간의 위상학적 접근 18
      • 3.2 공간구문론 19
      • 3.2.1 공간 구문론의 개념 19
      • 3.2.2 공간위상도(justified graph) 20
      • 3.2.3 공간구문변수 21
      • 3.2.4 Depthmap 프로그램 22
      • Ⅳ. 우리나라 초등학교 건축공간의 분석 23
      • 4.1 초등학교 사례유형 선정 23
      • 4.1.1 초등학교 사례 선정방법 23
      • 4.1.2 초등학교 사례 분석방법 24
      • 4.2 표준설계학교 유형 분석 27
      • 4.2.1 O 초등학교 29
      • 4.2.2 H 초등학교 34
      • 4.2.3 B 초등학교 40
      • 4.2.4 M 초등학교 45
      • 4.2.5 J 초등학교 51
      • 4.3 열린교육학교 유형 56
      • 4.3.1 S 초등학교 57
      • 4.3.2 Y 초등학교 62
      • 4.3.3 E 초등학교 67
      • 4.3.4 C 초등학교 72
      • 4.4 현대화학교 유형 78
      • 4.4.1 N 초등학교 79
      • 4.4.2 P 초등학교 83
      • 4.4.3 K 초등학교 87
      • 4.4.4 G 초등학교 93
      • 4.5 복합화학교 유형 99
      • 4.5.1 Z 초등학교 100
      • 4.5.2 D 초등학교 106
      • 4.5.3 W 초등학교 112
      • Ⅴ. 초등학교 사례유형 분석 118
      • 5.1 사례유형 분석 118
      • 5.1.1 공간위상도 118
      • 5.1.2 평균연결도 122
      • 5.1.3 평균통제도 124
      • 5.2 유형별 분석사례의 특징 126
      • Ⅴ. 결론 130
      • 참고문헌 133
      • 별 첨 136
      • ABSTRACT 1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