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비납계 (Bi0.5Na0.5)TiO3-BaTiO3 압전 세라믹스의 발열에 따른 강유전 및 반강유전 특성 = Dependence of the Ferroelectric and the Antiferroelectric Phenomena of Lead-free Piezoelectric (Bi0.5Na0.5)TiO3-BaTiO3 Ceramics on Self-hea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9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pendence of the ferroelectric and the antiferroelectric
      phenomena of (1−x)(Bi0.5Na0.5)-TiO3-xBaTiO3 (x = 0 0.10, BNT-BT) ceramics on self-heating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omplex dielectric constants, the
      P-E hysteresis loops, and the surface temperatures.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samples were found to rise up to 100℃ from room temperature within a few minutes under an electric field
      of 1 kV at 1 kHz. Self-heating became a serious factor, especially
      in the BNT-BT ceramics (x = 0.6~0.1), with increasing
      imaginary part of the dielectric constant. In the case of BNT-BT
      (x = 0.06), antiferroelectric double hysteresis loops were induced
      by increasing the sample temperature to temperatures above the
      depolarization temperature (Td) due to high self-heating at 60
      Hz while the ferroelectric hysteresis loops were recovered due to
      low self-heating at 0.1 Hz.
      번역하기

      The dependence of the ferroelectric and the antiferroelectric phenomena of (1−x)(Bi0.5Na0.5)-TiO3-xBaTiO3 (x = 0 0.10, BNT-BT) ceramics on self-heating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omplex dielectric constants, the P-E hysteresis loops, and the...

      The dependence of the ferroelectric and the antiferroelectric
      phenomena of (1−x)(Bi0.5Na0.5)-TiO3-xBaTiO3 (x = 0 0.10, BNT-BT) ceramics on self-heating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omplex dielectric constants, the
      P-E hysteresis loops, and the surface temperatures.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samples were found to rise up to 100℃ from room temperature within a few minutes under an electric field
      of 1 kV at 1 kHz. Self-heating became a serious factor, especially
      in the BNT-BT ceramics (x = 0.6~0.1), with increasing
      imaginary part of the dielectric constant. In the case of BNT-BT
      (x = 0.06), antiferroelectric double hysteresis loops were induced
      by increasing the sample temperature to temperatures above the
      depolarization temperature (Td) due to high self-heating at 60
      Hz while the ferroelectric hysteresis loops were recovered due to
      low self-heating at 0.1 Hz.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비납계 압전재료인
      (1−x)(Bi0.5Na0.5)TiO3-xBaTiO3 (x = 0 0.10, BNT-BT)의 주파수에 따른 복소 유전상수, P-E 이력 곡선과 표면온도를 통하여 강유전 및 반강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1 kHz에서 1kV의 전기장을 가한 시편의 표면 온도는 수분 내에 상온에서 100℃까지 상승하였다. 이러한 자체발열 현상은 낮은 탈분극 온도를 가지는 x = 0.06, 0.08과 0.10인 시편에서 강유전 및 반강유전 특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x = 0.06인 시편의 경우 상온에서 60 Hz로 전계를
      가할 시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반강유전의 이력곡선을 보였으나,
      0.1 Hz로 주파수를 줄임으로 강유전 이력곡선이 나타났다.
      번역하기

      비납계 압전재료인 (1−x)(Bi0.5Na0.5)TiO3-xBaTiO3 (x = 0 0.10, BNT-BT)의 주파수에 따른 복소 유전상수, P-E 이력 곡선과 표면온도를 통하여 강유전 및 반강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1 kHz에서 1kV의 전기...

      비납계 압전재료인
      (1−x)(Bi0.5Na0.5)TiO3-xBaTiO3 (x = 0 0.10, BNT-BT)의 주파수에 따른 복소 유전상수, P-E 이력 곡선과 표면온도를 통하여 강유전 및 반강유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1 kHz에서 1kV의 전기장을 가한 시편의 표면 온도는 수분 내에 상온에서 100℃까지 상승하였다. 이러한 자체발열 현상은 낮은 탈분극 온도를 가지는 x = 0.06, 0.08과 0.10인 시편에서 강유전 및 반강유전 특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x = 0.06인 시편의 경우 상온에서 60 Hz로 전계를
      가할 시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반강유전의 이력곡선을 보였으나,
      0.1 Hz로 주파수를 줄임으로 강유전 이력곡선이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 A. Smolenskii, 2 : 2651-, 1961

      2 T. Takenaka, 230 : 87-, 1999

      3 J. H. Yoo, 13 : 675-, 2000

      4 Y. S. Sung, 692-, 2007

      5 Y. G. Wu, 38 : 987-, 2003

      6 T. Takenaka, 30 : 2236-, 1991

      7 Y. Hiruma, 44 : 5040-, 2005

      8 A. Sasaki, 38 : 5564-, 1999

      9 T. Takenaka, 196 : 175-, 1997

      10 N. Ichinose, 169 : 317-, 1995

      1 G. A. Smolenskii, 2 : 2651-, 1961

      2 T. Takenaka, 230 : 87-, 1999

      3 J. H. Yoo, 13 : 675-, 2000

      4 Y. S. Sung, 692-, 2007

      5 Y. G. Wu, 38 : 987-, 2003

      6 T. Takenaka, 30 : 2236-, 1991

      7 Y. Hiruma, 44 : 5040-, 2005

      8 A. Sasaki, 38 : 5564-, 1999

      9 T. Takenaka, 196 : 175-, 1997

      10 N. Ichinose, 169 : 317-, 1995

      11 A. Herabut, 80 : 2954-, 1997

      12 G.-M. Lee, 14 : 726-, 2001

      13 H. Nagata, 21 : 1299-, 2001

      14 B. J. Chu, 22 : 2115-, 2002

      15 국민호, "비납계 (Bi0.5Na0.5)TiO3-BaTiO3 강유전 세라믹 재료의 유전 및 압전 특성" 한국재료학회 15 (15): 683-689, 2005

      16 조정아, "비납계 (Bi0.5Na0.5)TiO3-(Bi0.5K0.5)TiO3 세라믹의 유전 및 압전 특성" 한국재료학회 15 (15): 639-643, 2005

      17 성연수, "비납계 (Bi0.5Na0.5)(1-x)BaxTiO3 압전 세라믹 재료의 최적 조성" 한국재료학회 17 (17): 68-72, 2007

      18 B. Jaffe, "Piezoelectric Ceramics" Academic 19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