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족간호와 간병인간호의 만족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Level of the Inpatients Cared by Family Members and Professional Caregiv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86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가족원에 의한 간호를 받는 그룹과 간병인의 간호를 받는 그룹으로 구분하여 환자나 보호자의 수용태도를 조사하여 환자간호에 따른 가족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를 둔 가족의 기능회복과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내 3개 종합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가족간호 그룹과 간병인간호 그룹으로 분리하여 200명을 유의 표집하였고, 조사대상자인 환자와 보호자 200명중 161명에 대해 조사를 완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형태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가족간호와 간병인간호 중에서 환자만족도가 높은 것은 가족간호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형태에 따른 영역별 만족도를 비교해보면 신체적 만족도에 있어서는 간병인 간호그룹에서의 만족도가 크게 높았으나 정서적인 교류나 지지감의 측면에서는 가족 간호그룹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동작능력이 낮을수록 간병인 간호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원회수가 많을수록 가족간호자는 신체적·정서적·사회적·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어 부담감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입원기간이 길어질수록 간병인 이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어 가족의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가족간호와 간병인간호를 받는 환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일상동작능력이 증진·개선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족간호자의 경우에는 가족간호 휴직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하여 간호부담감을 감소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간병인간호의 경우에는 간병비에 대한 보험급여확대, 간병교육을 통해 간병인과 가족, 환자와의 관계형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가족원에 의한 간호를 받는 그룹과 간병인의 간호를 받는 그룹으로 구분하여 환자나 보호자의 수용태도를 조사하여 환자간호에 따른 가족만족도를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가족원에 의한 간호를 받는 그룹과 간병인의 간호를 받는 그룹으로 구분하여 환자나 보호자의 수용태도를 조사하여 환자간호에 따른 가족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를 둔 가족의 기능회복과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내 3개 종합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가족간호 그룹과 간병인간호 그룹으로 분리하여 200명을 유의 표집하였고, 조사대상자인 환자와 보호자 200명중 161명에 대해 조사를 완료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형태별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가족간호와 간병인간호 중에서 환자만족도가 높은 것은 가족간호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형태에 따른 영역별 만족도를 비교해보면 신체적 만족도에 있어서는 간병인 간호그룹에서의 만족도가 크게 높았으나 정서적인 교류나 지지감의 측면에서는 가족 간호그룹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상생활동작능력이 낮을수록 간병인 간호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원회수가 많을수록 가족간호자는 신체적·정서적·사회적·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어 부담감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입원기간이 길어질수록 간병인 이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커지게 되어 가족의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가족간호와 간병인간호를 받는 환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일상동작능력이 증진·개선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족간호자의 경우에는 가족간호 휴직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하여 간호부담감을 감소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간병인간호의 경우에는 간병비에 대한 보험급여확대, 간병교육을 통해 간병인과 가족, 환자와의 관계형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eans to improve family func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y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we separated inpatients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being cared for by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second group being cared for by professional caregivers. These groups were studies for receptiveness by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a satisfaction level by family members by type of care was analyzed.
      For this study, we randomly selected 200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who are hospitalized in 3 general hospitals in Daejun City. These people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a family care group and patients cared by professional caregivers, and subsequently obtained results from 161 samples. The comple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ed that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cared by family members. Second, when satisfaction levels for each category were compared for the care group, patients express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from the care by professional caregivers in terms of physical perspective, while in terms of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cation, patients indicated higher satisfaction from the care by family members. Third, as the patients have more difficulty in their body movements, they tend to be cared more by professional caregivers. Forth, as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frequency increases, a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financial burden becomes heavier for the family caregivers. Lastly, as the duration for the hospitalization becomes longer, the family member's financial burden for the use of the professional caregivers increa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tients who are cared by family members and professional caregiver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patient's physical movements. In addition, in case of family-member caregivers, the burden for the nursing should be reduced by actively seeking programs, such as special time-off policy for the care. In case of care by professional caregivers, an expansion of the insurance coverage for the professional care should be adopted and through education, a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 family members and the patient should be established.


      번역하기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eans to improve family func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y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we separated inpatients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being cared for by their family members ...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eans to improve family func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y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we separated inpatients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being cared for by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second group being cared for by professional caregivers. These groups were studies for receptiveness by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a satisfaction level by family members by type of care was analyzed.
      For this study, we randomly selected 200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who are hospitalized in 3 general hospitals in Daejun City. These people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a family care group and patients cared by professional caregivers, and subsequently obtained results from 161 samples. The comple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ed that patient's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cared by family members. Second, when satisfaction levels for each category were compared for the care group, patients express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from the care by professional caregivers in terms of physical perspective, while in terms of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cation, patients indicated higher satisfaction from the care by family members. Third, as the patients have more difficulty in their body movements, they tend to be cared more by professional caregivers. Forth, as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frequency increases, a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financial burden becomes heavier for the family caregivers. Lastly, as the duration for the hospitalization becomes longer, the family member's financial burden for the use of the professional caregivers increa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tients who are cared by family members and professional caregiver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improve patient's physical movements. In addition, in case of family-member caregivers, the burden for the nursing should be reduced by actively seeking programs, such as special time-off policy for the care. In case of care by professional caregivers, an expansion of the insurance coverage for the professional care should be adopted and through education, a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 family members and the patient should be establish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목적 = 2
      • 제3절 연구의 한계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목적 = 2
      • 제3절 연구의 한계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질병, 환자 그리고 가족관계에 대한 논의 = 4
      • 제2절 가족간호에 관한 논의 = 7
      • 제3절 간병인간호에 관한 논의 = 10
      • 1. 간병인의 규모와 관리현황 = 12
      • 2. 간병인 이용 환자의 특성과 간병인 활용 이유 = 13
      • 3. 간병인 활용에 따른 문제발생현황 = 14
      • 제4절 환자 만족도 선행연구 고찰 = 15
      • 1. 가족간호의 만족도 = 15
      • 2. 간병인간호의 만족도 = 18
      • 제3장 연구 방법 = 21
      • 제1절 개념정의 = 21
      • 제2절 연구가설 = 21
      • 제3절 조사도구 = 22
      • 제4절 조사대상 표집과 자료수집 = 22
      • 제5절 자료 분석 방법 = 23
      • 제4장 연구결과의 분석 = 24
      • 제1절 간호형태별 환자의 일반적 특성 = 24
      • 1. 인구 사회학적 특성 = 24
      • 2. 입원현황 = 25
      • 3. 질병의 분류 = 26
      • 4. 경제상태 = 26
      • 5. 가족내 환자의 위치 = 27
      • 제2절 가족의 일반적 특성 = 28
      • 제3절 간호형태별 비교 = 31
      • 1. 일상생활능력의 비교 = 31
      • 2. 간호형태별 장점 = 32
      • 제4절 가족 간호그룹의 특성 = 33
      • 1. 환자가 원하는 주된 가족간호인 = 33
      • 2. 주된 가족간호인 = 34
      • 3. 가족간호 제공자와의 일치도 = 34
      • 4. 간병인 이용 희망정도 = 35
      • 5. 간호시간 형태와 간호기간 = 35
      • 제5절 간병인 간호그룹의 특성 = 36
      • 1.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 36
      • 2. 간병인 부재시 교대자 = 38
      • 제6절 가설검증 = 38
      • 1. 간호형태별 만족도 비교 = 38
      • 2. 간호형태에 따른 영역별 만족도 비교 = 39
      • 3. 일상생활동작 능력과 가족 부담감 = 40
      • 4. 입원회수와 가족 부담감 = 40
      • 5. 입원기간과 가족 부담감 = 41
      • 제5장 결론 및 제언 = 42
      •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 42
      • 제2절 제언 = 43
      • 1. 만족도 증진 방안 = 43
      •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44
      • ○ 참고문헌 = 46
      • ○ 부록: 조사표 = 49
      • ○ ABSTRACT =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