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 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24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방임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적용하여,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국문초록>

      본 연구는 방임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적용하여,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문제로 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Spielberger, Krasner & Solomon(1988)의 분노척도(AX-Anger Expression Scale)를 바탕으로 전겸구(1991)가 문화적, 언어적 맥락을 고려하여 번안한 척도를 김백영(1997)이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개정한 분노표현척도를, 아동들의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Hudson가 1982년에 개발한 또래관계 검사(Index of Peer Relaton: IRP)를 김정림(2000)이 번안한 것을 실시하여, 맨 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 실시 단계별 집단원의 변화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M시 S지역아동센터 30명 아동 중 장화정(1998)의 방임결과 척도에서 40점 이상, 아동에게 방임경험을 묻는 홍은주(1998)의 방임결과 척도에서 30점 이상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진행기간은 주 1회씩 7회기에 걸쳐 2006년 10월부터 11월까지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진행하였다.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 진행과정은 Boik과 Goodwin(2000)이 발전시킨 ‘세계만들기’, ‘경험하고 재배열하기’, ‘치료’, ‘사진찍기’, ‘전이’, ‘분해하기’의 6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통해 방임아동의 분노표현의 전체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분노표현 하위영역 중 분노조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왔으며, 전체적으로 분노표현이 감소하였다. 이는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표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를 통해 방임아동의 또래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표현에 미친 행동변화는 도입단계에서는 자신의 소품이 아닌 다른 친구들의 소품을 만지게 되면 화를 내고 즉각적으로 불만을 토로하는 모습이었으며, 자신들의 욕구를 우선적으로 생각하여 모래상자 대부분을 차지하여 소품을 놓으려고 하여 싸우는 모습이 있었으나 회기가 지날수록 다른 친구들의 소품을 만지는 행동도 없어졌으며, 만지더라도 서로 양해를 구하고 이해해주는 모습이 있었다.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친 행동변화는 도입단계에서는 서로 따돌렸으며, 자신의 모래상자에만 열중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서로의 모래상자를 보고 비난하는 말과 행동을 하고, 다른 친구들이 이야기를 나눌 때 집중하지 못하였으나, 회기가 지나면서 함께 이야기를 만들고 모래상자를 꾸미는 모습이었으며 비난하는 말과 행동이 없어지고 모래상자에 집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의 분노와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가 방임아동들의 분노표현 감소와 또래관계 향상을 통해서 아동들이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활동하는 경험을 해 볼 수 있었으며,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여 타인을 배려할 수 있는 태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on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in neglected children. This study has two research questions: firist, whether the group therapy using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on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in neglected children. This study has two research questions: firist, whether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affects neglected children's the aggressive expressions or not, second, whether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affects neglected children's the peer relationship or not.
      To tes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 implemented pre- and post- test by using two scale: Spielberger et al.(1988)’s AX-Anger Expression Scale revised by Kim(1997) and Jeon(1991) and Hudson’s Index of Peer relation (1982) revised by Kim (2000). These scales have been modified to reflect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level of Korean children's ag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aan-Whitney U Test. The researcher, also, described the processes of change that children showed in accordance with the stage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Four participants were referred from S community children center in M because they have been determined as more neglected children through assessment. Four children participated to seven group therapy sessions using sand tray, once a week for two months.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 October to November, 2006.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included six stages developed by Boik and Goodwin (2000): Formation of world, experience and rearrangement, treatment, photograph, transference, disintegration.
      This is a summary of results.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on aggressive expression total scores. One of sub-variables, control of aggression, howev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intervention and aggressive expression among all children declined. This result shows the effectivenes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for decreasing aggressive expressions in neglected children.
      Second, althoug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peer relationship scor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researcher could see positive effects of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for peer relationship.
      Third, the children showed behavioral changes. In the early sessions, the children immediately expressed anger when another child touched their figures and they fought to have figures which they wanted. In the later sessions, however, the children did not only try to touch other’s figures but also they were more likely to make mutual concessions. In addition, in the later sessions, the children showed the decreased criticizing words and behaviors and the increased concentrations on sand tray, along with making a story and decorating sand tray, in contrast to earlier sessions.
      These results of observations present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may be effective for decreasing aggressive expressions and increas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n neglected children.
      The group therapy using sand tray can help the neglected children express repressed emotions and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s. Also children can learn now to control their needs and to care other peop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의의 1
      • 제2절 연구 문제 4
      • 제3절 용어 정의 4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의의 1
      • 제2절 연구 문제 4
      • 제3절 용어 정의 4
      • 제2장 이론적 배경 6
      • 제1절 아동방임 6
      • 제2절 분노와 또래관계 9
      • 제3절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 12
      • 제4절 방임아동의 분노, 또래관계와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 19
      • 제3장 연구 방법 24
      • 제1절 연구대상 및 설계 24
      • 제2절 측정도구 26
      • 제3절 집단모래상자놀이치료의 과정 27
      • 제4절 연구절차 30
      • 제5절 양적분석 31
      • 제6절 질적분석 31
      • 제4장 연구 결과 34
      • 제1절 양적분석결과 34
      • 제2절 질적분석결과 37
      • 제5장 결과 및 논의 49
      • 참고문헌 53
      • 국문초록 62
      • 부 록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