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데이터 기반 소유권의 형성과 그 본질에 관한 연구 - ‘데이터 총유(總有)’ 개념의 설정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4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이론적·법경제학적 측면에서 배타성을 기초로 한 사적소유권의 정당성과 효율성의 논리는 다양한 형태의 재산권 논의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데이터’라는 새로운 재산권의 대두는 ...

      법이론적·법경제학적 측면에서 배타성을 기초로 한 사적소유권의 정당성과 효율성의 논리는 다양한 형태의 재산권 논의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데이터’라는 새로운 재산권의 대두는 우리에게 데이터를 배타적이고 완전한 개인의 자유로운 법적 권리로 정의하는데 이론적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데이터가 가지는 비배타성(비배제성), 비경합성, 비대체성, 한계비용이 영으로 수렴하는 등의 특성은 사적소유권의 배타적 권리 개념을 어떤 방식으로든 재설정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 소유권을 관념적인 집합체의 권리로 설정하고 민법상 총유 개념을 준용하는 이론 구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데이터 총유’ 개념은 개인들 간의 사적소유권 인정을 일정 부분 제한하고 집합적 재산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파편화된 데이터의 사적소유권을 설정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총유공동체’가 ‘집합적 데이터(빅데이터)’를 소유하는 형식이다. 데이터 총유 개념은 ‘공동체’와 외부와의 관계에서는 ‘배타성’이 적용되지만 ‘공동체’ 내부에서는 비배타성이 적용된다. ‘데이터총유공동체’가 외부의 데이터 기업 등에게 ‘집합적 데이터’의 관리·처분권을 대외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총유 개념은 데이터를 둘러 싼 데이터 생산자와 데이터 활용자, 정부가 데이터라는 사회적 부(富)를 어떻게 활용하고 사회적 후생을 극대화할 것인지에 대해 정하는 법적 체계 내지 규칙이라 할 수 있다. 무형적·추상적 디지털 자산으로서의 특성을 반영한 데이터 소유권의 설정으로 재산권 실현의 크기와 범위도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데이터 총유 개념은 사회적 부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사회·경제적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기본소득의 근거가 되는 등 사회적 복지를 추구하는 가능성도 열어주게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ogic of justification and efficiency of private ownership based on exclusivity in both legal and economic perspectives has been applied to the discussion of various property rights. However, the emergence of a new property right called ‘data’...

      The logic of justification and efficiency of private ownership based on exclusivity in both legal and economic perspectives has been applied to the discussion of various property rights. However, the emergence of a new property right called ‘data’ creates theoretical difficulties for us in defining data as an exclusive and complete individual’s legal right. The characteristics of non-exclusivity, non-conformity, marginal cost zero and non-substitution of data raise the need to reset the concept of exclusive right of data.
      This study attempted to construct a theory that sets data ownership as the right of an ideological collective right and made use of the concept of ‘Chongyu(collective ownership of community)’ in Korean Civil Law. This concept of Data Chongyu(collective ownership of data community) refers to limiting private ownership recognition among individuals to a certain extent and establishing a collective property relationship. Instead of setting up private ownership of fragmented data, ‘data community’ owns ‘the aggregated(or collective) data (so called ‘big data’).’ The concept of exclusivity does not apply to in the ‘data community’ in the concept of Data Chongyu but non-exclusivity works within the ‘data community’. This means that the ‘data community’ can externally exercise the right to manage and dispose of ‘collective data’ to data companies and others.
      The concept of ‘Chongyu(collective ownership of community)’ is a legal framework or rule that sets out how data producers, data users and governments will exploit the social wealth of data and maximize social wellbeing. The size and scope of the realization of property rights can also be extended to social dimensions with the establishment of data ownership that reflects its characteristics as an intangible and abstract digital asset. Furthermore, the concept of ‘Chongyu(collective ownership of community)’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source of social wealth, thereby opening the possibility of pursuing social welfare, such as maximizing the socioeconomic efficiency of the data economy with as a basis for basic inco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재산권의 형성과 발전
      • Ⅲ. 데이터 기반 재산권의 형성
      • Ⅳ. 데이터 소유권의 본질 - ‘데이터 총유’ 개념의 설정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재산권의 형성과 발전
      • Ⅲ. 데이터 기반 재산권의 형성
      • Ⅳ. 데이터 소유권의 본질 - ‘데이터 총유’ 개념의 설정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여일, "축소형 사회의 도래와 현대총유론" 한국환경사회학회 22 (22): 103-136, 2018

      2 이준현, "총유물의 관리·처분행위에 관한 판례의 검토" 한국토지법학회 32 (32): 99-150, 2016

      3 이계정, "총유 규정의 개정 여부와 비법인사단의 규율" 한국민사법학회 78 : 161-206, 2017

      4 박기주, "재산권이론으로 본 퍼블리시티권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격권의 재산권화 경향을 중심으로" 언론중재위원회 1 (1): 125-156, 2015

      5 이민창, "재산권 이론의 정책학적 기여에 관한 소고 : 이론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77-311, 2006

      6 이승훈, "자유, 사적 소유, 경쟁 - 시장경제의 자원배분" 한국경제학회 65 (65): 141-173, 2017

      7 박태현, "자연자원의 집합적[또는 공동체적] 관리와 총유제(總有制)" 한국환경사회학회 21 (21): 7-39, 2017

      8 강남훈, "인공지능과 기본소득의 권리: 마르크스의 지대이론과 섀플리 가치 관점에서" 사회과학연구원 13 (13): 12-34, 2016

      9 송현호, "신제도이론" 민음사 1998

      10 박기주, "스마트 계약과 부동산거래 시스템 -블록체인 기술의 부동산거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은행법학회 12 (12): 137-167, 2019

      1 윤여일, "축소형 사회의 도래와 현대총유론" 한국환경사회학회 22 (22): 103-136, 2018

      2 이준현, "총유물의 관리·처분행위에 관한 판례의 검토" 한국토지법학회 32 (32): 99-150, 2016

      3 이계정, "총유 규정의 개정 여부와 비법인사단의 규율" 한국민사법학회 78 : 161-206, 2017

      4 박기주, "재산권이론으로 본 퍼블리시티권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격권의 재산권화 경향을 중심으로" 언론중재위원회 1 (1): 125-156, 2015

      5 이민창, "재산권 이론의 정책학적 기여에 관한 소고 : 이론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77-311, 2006

      6 이승훈, "자유, 사적 소유, 경쟁 - 시장경제의 자원배분" 한국경제학회 65 (65): 141-173, 2017

      7 박태현, "자연자원의 집합적[또는 공동체적] 관리와 총유제(總有制)" 한국환경사회학회 21 (21): 7-39, 2017

      8 강남훈, "인공지능과 기본소득의 권리: 마르크스의 지대이론과 섀플리 가치 관점에서" 사회과학연구원 13 (13): 12-34, 2016

      9 송현호, "신제도이론" 민음사 1998

      10 박기주, "스마트 계약과 부동산거래 시스템 -블록체인 기술의 부동산거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은행법학회 12 (12): 137-167, 2019

      11 김석수, "소유론을 통해 본 칸트와 헤겔" 새한철학회 4 (4): 49-72, 2007

      12 진상욱, "비법인사단의 총유물의 관리 및 처분" 한국토지법학회 25 (25): 69-96, 2009

      13 박의근, "법인이 아닌 사단과 총유에 대한 민법개정론" 한국재산법학회 35 (35): 63-95, 2018

      14 이동진, "법경제학. 이론과 응용[II]" 2013

      15 강정인, "로크사상의 현대적 재조명 : 로크의 재산권 이론에 대한 유럽중심주의적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2 (32): 1998

      16 최경진, "데이터와 사법상의 권리, 그리고 데이터 소유권(Data Ownership" 한국정보법학회 23 (23): 217-244, 2019

      17 이동진, "데이터 소유권(Data Ownership), 개념과 그 실익" 한국정보법학회 22 (22): 219-242, 2018

      18 김일중, "규제와 재산권: 법경제학적 시각으로 본 정부 3부의 역할" 자유기업센터 1995

      19 박기주,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을 위한 법체계" 열린길 2017

      20 박기주,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의 데이터 경제시대 대비를 위한 데이터 자본개념 연구" 2018

      21 윤진수, "공동소유에 관한 민법 개정안" 한국민사법학회 68 : 123-168, 2014

      22 Daniel Rosenberg, "“Raw Data” Is an Oxymoron" The MIT Press 2013

      23 Bird & Bird, "White Paper - Data ownership in the context of the European data economy : proposal for a new right" 2017

      24 Harold Demsetz, "Toward a Theory of property Right" 57 (57): 1967

      25 Antonio Nicita, "Toward a Theory of Incomplete Property Rights" 2007

      26 Jennifer Rowley, "The wisdom hierarchy: representations of the DIKW hierarchy" 33 (33): 2007

      27 Armen A. Alchain, "The property Right Paradigm" 33 (33): 1973

      28 Ronald H. Coase, "The problem of social cost" 2 : 1960

      29 Garrett Hardin, "The Tragedy of the Commons" 162 : 1968

      30 Michael Heller, "The Tragedy of the Anticommons: Property in the Transition from Marx to Markets" 111 : 621-688, 1998

      31 Harold Demsetz, "The Structure of Ownership and the Theory of the Firm" 26 (26): 1983

      32 C. B. Macpherson, "The Political Theory of Possessive Individu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62

      33 Charles A. Reich, "The New Property" 73 : 733-, 1964

      34 Rob Kitchin, "The Data Revolution: Big data, open data, data infrastructures and their consequences" SAGE 2014

      35 John Umbeck, "The California Gold Rush: A study of Emerging property Rights" 4 (4): 1977

      36 EC, "Study on Emerging Issues of Data Ownership, Interoperability, (Re-)usability and Access to Data, and Liability" 2017

      37 EC, "Study in Support of the Evaluation of Directive 96/9/EC on the Legal Protection of Databases" 2018

      38 Jay Lee, "Service innovation and smart analytics for industry 4.0 and big data environment" 16 : 2014

      39 JEFFREY RITTER, "REGULATING DATA AS PROPERTY: A NEW CONSTRUCT FOR MOVING FORWARD" 16 (16): 2018

      40 JAMES Y. STERN, "Property Theory : Leg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41 Eirik G. Furboton, "Property Rights and Economic Theory: A Survey of Recent Literature" 10 (10): 1972

      42 Terry L. Anderson, "Property Rights : A Practical Guide to Freedom and Prosperity" Hoover Press 2003

      43 Ivan Stepanov, "Introducing a property right over data in the EU: the data producer’s right – an evaluation" 33 (33): 2019

      44 D. C. North,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5 Wolfgang Kasper, "Institutional Economics: Social Order and Public Policy" Edward Elgar 2000

      46 Luciano Floridi, "Informa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7 Dean Leuck, "Handbook of Law and Economics" Elsevier 2007

      48 Elinor Ostrom,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9 Yoram Barzel, "Economic Analysis of Property Righ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0 Kurt Rudolph, "Die Bindungen des Eigentums" 1960

      51 Lian Yuming, "Data Rights Law 1.0 : The Theoretical Basis" PETRE LANG 2019

      52 EC,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on the Free Flow of Data and Emerging Issues of the European Data Economy" 2017

      53 EC, "Building a European data economy" 2019

      54 Herbert Zech, "Building a European Data Economy" 48 (48): 2017

      55 Gregory S. Alexander, "An Introduction to Property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56 Steven N. S. Cheung, "A Theory of Price Control" 17 :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12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