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교육 보육기관 통합평가지표의 물리적 환경 평가에 대한 분석: 미국과 호주의 평가 지표와 비교 = An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Comparisons with the American and the Australian accreditation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physical environment(facility installation, environment composition) of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this paper will compare...

      This paper focus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physical environment(facility installation, environment composition) of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this paper will compare and contrast the evaluation criteria of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accreditation system and those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American and the Australian accredit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comparisons with those of the two count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acility installation' sub-scale, there was a report on the installation and developmental suitability, but there was no indication of safety adequacy and facilities for disability for children. Second, in the 'Environment composition' sub-scale, there was a report on the composition suitability and developmental suitability, but there was no indication of harmony with environment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ore detailed criteria for indoor and outdoor safety need to be added to evaluate the physical environment. Second, definitions and key concepts of each evaluation category need to be clarifi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tegory. Third, in order for children to learn about environment protectio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need to reflect these concepts, and should be evaluated as well. Finally, the accreditation criteria need to evaluate how well the physical environment accommodates the needs of those with various disabilities. While evaluation criteria need have clear guidelines to ensure a high standard of “care” among all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t should also be flexible enough to be properly implemented based on relevant context of each instit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평가지표의 4개 카테고리 중 물리적인 환경(시설설비 환경 구성)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유아교육·보육기관�...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평가지표의 4개 카테고리 중 물리적인 환경(시설설비 환경 구성)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유아교육·보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의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지표의 적절성과 보완점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평가를위한 제언을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유치원 어린이집 통합평가지표, 미국의지표 ACECQA호주의 지표의 물리적 환경 평가 지표와 비교 분석하였다두 국가와의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평가지표의 경우 시설설비 항목 중 실내·외 시설설치여부, 발달 적합성에 관한 내용이 있었고, 안전적합성과 장애유아시설에 대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환경 구성 항목 중 실내·외 공간구성 적합성, 발달 적합성에 관한 내용이 있었고, 장애유아에 대한 내용과 환경과의 연계에 대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물리적 환경 항목에 실내·외 안전 적합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으며, 둘째, 평가 지표 항목의 카테고리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환경과의 연계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으며, 넷째, 장애 유아를 위한 시설의 고려를 포함하는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융통성있게 운영이 가능하도록 세부적 내용의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전체의 조화로운 구성을 평가하는 항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 끝으로 우리나라의 지표에 두드러진 발달을 고려한 내용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영의, "한국과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교육 내용 비교" 한국인격교육학회 8 (8): 39-60, 2014

      2 이대균,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비교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25-150, 2005

      3 부성숙, "한국, 미국(NAEYC), 호주(QIAS)의 유아교육 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건강․안전 영역’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18 (18): 77-105, 2013

      4 한국보육진흥원,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통합평가지표" 한국보육진흥원 2018

      5 교육부, "제 4주기 유치원 평가 중앙연수" 교육부 2017

      6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일부개정법률 (2017. 12.19. 법률 제15234호)"

      7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환경 구비 실태 및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51-173, 2004

      8 김은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시설설비 사례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1

      9 김은영, "유치원과 보육시설 시설 설비 기준 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09

      10 유구종, "유치원 물리적 환경 변인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7-201, 2014

      1 유영의, "한국과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 인성교육 내용 비교" 한국인격교육학회 8 (8): 39-60, 2014

      2 이대균, "한국과 미국, 호주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비교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125-150, 2005

      3 부성숙, "한국, 미국(NAEYC), 호주(QIAS)의 유아교육 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건강․안전 영역’중심으로" 한독교육학회 18 (18): 77-105, 2013

      4 한국보육진흥원,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통합평가지표" 한국보육진흥원 2018

      5 교육부, "제 4주기 유치원 평가 중앙연수" 교육부 2017

      6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일부개정법률 (2017. 12.19. 법률 제15234호)"

      7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환경 구비 실태 및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51-173, 2004

      8 김은영, "유치원과 어린이집 시설설비 사례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1

      9 김은영, "유치원과 보육시설 시설 설비 기준 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09

      10 유구종, "유치원 물리적 환경 변인이 유아의 사회·정서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77-201, 2014

      11 유명종, "유아의 운동능력 발달과 시대적 변화" 한국체육교육학회 7 (7): 132-140, 2002

      12 지성애, "유아의 사회 인지적 놀이와 인적, 물적 변인들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12 (12): 1-23, 1997

      13 Siraj-Blatchford, J,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14 이기숙, "유아교육기관평가" 창지사 2012

      15 김희선, "유아교육기관의 질적수준이 유아의 인지활동에 미치는 영향"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9

      16 이송희,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시간 유형 및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 스트레스 행동 차이"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7 방소영,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영역’ 평가지표 비교연구:유치원, 보육시설, NAEYC, QIAS" 한독교육학회 15 (15): 75-105, 2010

      18 조해연, "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분석: 한국(유치원 평가, 어린이집 평가인증), 미국(NAEYC), 호주(ACECQA)의 상호작용 영역 평가 지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139-163, 2014

      19 배점옥, "유아교육기관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신화식,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양서원 2014

      21 이기순, "유아교유기관 운영관리" 양서원 2014

      22 이숙재, "우리나라 놀이감의 실태 및 어린이와 어머니의 인식 조사" 18 (18): 87-103, 1997

      23 조해연,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5 (45): 115-136, 2014

      24 윤선영, "살면서 배우는 생활공간: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의 환경 구성" 2 (2): 35-63, 2010

      25 김정규, "발달심리연구" 동문사 1995

      26 권세경, "물리적 환경의 차이에 따른 영아의 탐색 및 놀이행동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소 36 (36): 219-236, 2005

      27 Trawick-Smith, J., "Spotlight on young children: Exploring play" NAEYC 65-74, 2015

      28 Curtis, C., "Spotlight on young children: Exploring play" NAEYC 17-25, 2015

      29 Clarke-Stewart, A., "Quality variations in day care" Praeger 1994

      30 Thompson, D., "Playgrounds for young children National survey and perspectives" AALR 112-155, 1990

      31 최명희, "NAEYC 평가인증제의 개정에 관한 분석: 1998년 개정된 인증제와 2006년 개정된 인증제를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1 (11): 173-194, 2007

      32 NAEYC, "NAEYC Early Childhood Program Standards and Accreditation Criteria & Guidance for Assessment"

      33 ACECQA, "Guide to the national quality framework"

      34 Bronfenbrenner, U.,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 22 (22): 723-742,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