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성자료를 활용한 미계측유역의 홍수피해액 추산기법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stimation method of flood damage in the ungauged basin using satellite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7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conomic analysis is a basic step in establishing disaster mitigation measures, but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results due to uncertainty. Therefore, the scope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is wid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amount of...

      Economic analysis is a basic step in establishing disaster mitigation measures, but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results due to uncertainty. Therefore, the scope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is wid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flooding because the collection of relevant data is limited in the ungauged basin. In this study, distributed runoff analysis and flooding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 method of estimating the amount of flood damage in the ungauged basin was proposed using collectibl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nd flood analysis results. For distributed runoff analysis and flooding analysis,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and G2D (Grid based 2-Dimensional land surface flood mode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were used. The method of substituting collectibl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into the simple method and improvement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amount of flood damag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amount of flood damage using satellite data and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in the ungauged basi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희천,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91-101, 2010

      2 김주훈,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31-42, 2015

      3 손아롱, "원격탐사와 공간정보를 활용한 미계측 유역 홍수범람 해석에 관한 연구(II) - 침수 피해면적 산정을 중심으로 -" 대한원격탐사학회 35 (35): 797-808, 2019

      4 정은이, "북한 부동산 가치변화와 개발에 관한 연구 -평양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경제학회 30 (30): 1-30, 2018

      5 김응석, "미계측 유역에서의 확률강우에 대한 돌발홍수지수 산정" 한국방재학회 10 (10): 81-88, 2010

      6 곽창재, "돌발홍수 지수를 이용한 북한 홍수 위험도 평가 - 임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 한국수자원학회 48 (48): 1037-1049, 2015

      7 이건행,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홍수피해액 산정" 대한토목학회 26 (26): 363-369, 2006

      8 신승식, "다차원 홍수피해산정기법(MD-FDA)을 이용한 기후변화 대비 항만 재난방재시설의 경제성 분석 방법 - 목포항과 마산항을 중심으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7 (27): 133-176, 2012

      9 주홍준, "경제성 최대화 곡선을 활용한 치수 사업의 최적 우선 순위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403-415, 2018

      10 이석호, "건물군 인벤토리가 고려된 다차원법을 활용한 홍수피해액 산정" 한국방재학회 18 (18): 119-127, 2018

      1 윤희천,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91-101, 2010

      2 김주훈,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31-42, 2015

      3 손아롱, "원격탐사와 공간정보를 활용한 미계측 유역 홍수범람 해석에 관한 연구(II) - 침수 피해면적 산정을 중심으로 -" 대한원격탐사학회 35 (35): 797-808, 2019

      4 정은이, "북한 부동산 가치변화와 개발에 관한 연구 -평양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경제학회 30 (30): 1-30, 2018

      5 김응석, "미계측 유역에서의 확률강우에 대한 돌발홍수지수 산정" 한국방재학회 10 (10): 81-88, 2010

      6 곽창재, "돌발홍수 지수를 이용한 북한 홍수 위험도 평가 - 임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 한국수자원학회 48 (48): 1037-1049, 2015

      7 이건행,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홍수피해액 산정" 대한토목학회 26 (26): 363-369, 2006

      8 신승식, "다차원 홍수피해산정기법(MD-FDA)을 이용한 기후변화 대비 항만 재난방재시설의 경제성 분석 방법 - 목포항과 마산항을 중심으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7 (27): 133-176, 2012

      9 주홍준, "경제성 최대화 곡선을 활용한 치수 사업의 최적 우선 순위 연구" 한국방재학회 18 (18): 403-415, 2018

      10 이석호, "건물군 인벤토리가 고려된 다차원법을 활용한 홍수피해액 산정" 한국방재학회 18 (18): 119-127, 2018

      11 박종석, "XP-SWMM을 활용한 미계측유역의 침수 방지 대책" 한국환경기술학회 20 (20): 457-470, 2019

      12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Publication No. 02-2020-01"

      13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Quarterly agricultural trends in North Korea. Publication No. 02-2016-01"

      14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MOCT)., "Probability rainfall in South Korea"

      15 Tak, Y. D., "Housing policy and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HF 28-43, 2017

      16 이충성, "GIS 기반의 분포형 홍수피해산정 기법" 대한토목학회 26 (26): 301-310, 2006

      17 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A study on the application criteria of multi-dimensional method for the reduction of flood damage" 29-, 2019

      18 Kim, G. S., "A study on precipitation and runoff analysis of Gangneung area of Korea by the typhoon Lusa in 2002" University of Seoul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