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한복음 4:23의 엔 프뉴마티 카이알레데이아)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6756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 신학과 , 2015. 6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선희

      • 소장기관
        •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한복음 4:23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ejn pneuvmati kai; ajlhqeiva)’로 하는 참 예배에 대해서 증언하고 있다. 프뉴마와 알레데이아가 사마리아와 유대의 예배를 순차적으로 가리킨다는 사실은 요한복음 4:1-42의 사마리아 담화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대조법을 통해서 설명된다. 이 대조법은 해당 구절 내에서 나타나는가 하면(요 4:9, 12, 20, 21, 22), 구절과 구절 사이에서도 나타난다(요 4:21, 23).
      요한복음에서 프뉴마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자유로움이다. 사마리아의 예배에는 바람이 임의로 부는 것같은 자유로움이 있었다. 예컨대 그들은 그리심 산이든 예루살렘 성전이든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도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다고 믿었고 또 그렇게 했다. 그에 비하여 유대인들은 예배할 곳을 예루살렘 한 곳에만 한정시켰다(요 4:20).
      사마리아의 예배는 유대의 그것과 질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이것은 요한복음 4:23의 예배를 사마리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읽을 때 잘 드러난다. 즉 유대가 비유에 속한 율법적인 예배를 드려왔듯이 사마리아도 그러했다. 유대의 예배에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메시아 대망이 있었다면 사마리아도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타헤브 대망이 있었다. 차이가 있다면 유대가 오경에다 예언서와 역사서 및 시가서까지 경전에 포함시켰다면 사마리아는 오경만을 경전으로 인정했다는 점이다. 성전은 사마리아 종교에서 부차적인 것이었다.
      이런 가운데 사마리아는 프뉴마의 특성을 보전할 수 있었고, 유대는 알레데이아의 특성을 강화시켜 나갔다. 이것이 예수의 때에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통일되는 참 예배로 성취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논문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의 의미를 요한신학에 근거하여 밝히는 것이다. 즉 요한신학에서의 프뉴마는 보혜사 성령이며, 알레데이아는 예수 자신이거나 예수께서 계시하신 말씀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예수께서 선언하신 참 예배란 보혜사 성령을 받고 진리이신 예수에 의해서 예배하는 것임을 논의했다. 예수께서 사마리아의 예배를 차별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사마리아의 역사와 종교를 알려주는 고대 자료들에 근거하여 뒷받침했다. 이로써 요한복음 4장의 사마리아 역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더불어 4:23의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하는 예배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번역하기

      요한복음 4:23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ejn pneuvmati kai; ajlhqeiva)’로 하는 참 예배에 대해서 증언하고 있다. 프뉴마와 알레데이아가 사마리아와 유대의 예배를 순차적으로 가리킨다는 사실은 ...

      요한복음 4:23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ejn pneuvmati kai; ajlhqeiva)’로 하는 참 예배에 대해서 증언하고 있다. 프뉴마와 알레데이아가 사마리아와 유대의 예배를 순차적으로 가리킨다는 사실은 요한복음 4:1-42의 사마리아 담화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대조법을 통해서 설명된다. 이 대조법은 해당 구절 내에서 나타나는가 하면(요 4:9, 12, 20, 21, 22), 구절과 구절 사이에서도 나타난다(요 4:21, 23).
      요한복음에서 프뉴마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자유로움이다. 사마리아의 예배에는 바람이 임의로 부는 것같은 자유로움이 있었다. 예컨대 그들은 그리심 산이든 예루살렘 성전이든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도 하나님을 예배할 수 있다고 믿었고 또 그렇게 했다. 그에 비하여 유대인들은 예배할 곳을 예루살렘 한 곳에만 한정시켰다(요 4:20).
      사마리아의 예배는 유대의 그것과 질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이것은 요한복음 4:23의 예배를 사마리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여 읽을 때 잘 드러난다. 즉 유대가 비유에 속한 율법적인 예배를 드려왔듯이 사마리아도 그러했다. 유대의 예배에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메시아 대망이 있었다면 사마리아도 오경이 있고 유일신 야웨가 있고 타헤브 대망이 있었다. 차이가 있다면 유대가 오경에다 예언서와 역사서 및 시가서까지 경전에 포함시켰다면 사마리아는 오경만을 경전으로 인정했다는 점이다. 성전은 사마리아 종교에서 부차적인 것이었다.
      이런 가운데 사마리아는 프뉴마의 특성을 보전할 수 있었고, 유대는 알레데이아의 특성을 강화시켜 나갔다. 이것이 예수의 때에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통일되는 참 예배로 성취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논문은 프뉴마와 알레데이아의 의미를 요한신학에 근거하여 밝히는 것이다. 즉 요한신학에서의 프뉴마는 보혜사 성령이며, 알레데이아는 예수 자신이거나 예수께서 계시하신 말씀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예수께서 선언하신 참 예배란 보혜사 성령을 받고 진리이신 예수에 의해서 예배하는 것임을 논의했다. 예수께서 사마리아의 예배를 차별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사마리아의 역사와 종교를 알려주는 고대 자료들에 근거하여 뒷받침했다. 이로써 요한복음 4장의 사마리아 역사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더불어 4:23의 ‘프뉴마와 알레데이아’로 하는 예배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방법 ………………………………………………………‧‧……… 3
      • 목 차
      • Ⅰ. 서 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연구 방법 ………………………………………………………‧‧……… 3
      • Ⅱ. 요한복음 4:23의 연구사 …………………………………‧‧‧‧‧………·· 7
      • 1. 요한복음 4:23에 대한 연구 …………………………………‧‧········ 7
      • 2. 요한복음 4:23의 pneuvmati kai; ajlhqeiva에 대한 연구 ……········ 14
      • Ⅲ. 요한복음 4:23의 역사적 배경 ………………………………………·· 21
      • 1. 요한복음 4:23과 관련된 사마리아의 사회적 배경 ………‧‧······· 21
      • 2. 요한복음 4:23과 관련된 사마리아의 종교적 배경 ………‧‧······· 27
      • Ⅳ. 요한복음 4:23의 언어적 분석 ………………………………………·· 42
      • 1. pneuvma와 ajlhqeiva 용법 ………………………………………‧·…… 42
      • 2. ejn pneuvmati kai; ajlhqeiva 용법 ………………………………·…… 50
      • Ⅴ. 요한복음 4:23의 신학적 해석 ………………………………………·· 57
      • 1. “성서적 신학” 방법으로 보는 ejn pneuvmati kai; ajlhqeiva ……… 58
      • 2. 성취된 예배로 보는 ejn pneuvmati kai; ajlhqeiva …………………· 86
      • Ⅵ. 결 론 ……………………………………………………………‧‧……·· 96
      • 1. 요약 ………………………………………………………………‧······ 96
      • 2. 제언 ………………………………………………………………‧······ 98
      • 참고문헌 …………………………………………………………………‧……100
      • Table of Contents ……………………………………………………‧·····111
      • Abstract …‥‧‧…………………………………………………………‧‧‧·····11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문경, "요한신학", 한국성서학,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04

      2 이병철, "BibleLex8.0 on CD-ROM", 서울: 브니엘성경연구소, 2009

      3 김기동, "『베뢰아원강』", 2판. 서울: 도서출판베뢰아, 2005

      4 김세윤, "『요한복음강해』", 서울: 두란노, 2004

      5 김동수, "요한복음의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6 한동구, "“예배의 중앙통일화.”", 『구약논단』 37: 259-78, 2010

      7 김광수, "『요한복음 다시 읽기』", 서울: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8 조석민, "『요한복음의 새 관점』", 솔로몬, 서울: 솔로몬, 2009

      9 한동구(Han, Dong-Gu), "“포로기의 성전 사상.”",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18: 53-72, 2005

      10 한상인, "『신약고고학과 배경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1 김문경, "요한신학", 한국성서학,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04

      2 이병철, "BibleLex8.0 on CD-ROM", 서울: 브니엘성경연구소, 2009

      3 김기동, "『베뢰아원강』", 2판. 서울: 도서출판베뢰아, 2005

      4 김세윤, "『요한복음강해』", 서울: 두란노, 2004

      5 김동수, "요한복음의 교회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6 한동구, "“예배의 중앙통일화.”", 『구약논단』 37: 259-78, 2010

      7 김광수, "『요한복음 다시 읽기』", 서울: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8 조석민, "『요한복음의 새 관점』", 솔로몬, 서울: 솔로몬, 2009

      9 한동구(Han, Dong-Gu), "“포로기의 성전 사상.”",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18: 53-72, 2005

      10 한상인, "『신약고고학과 배경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9

      11 박경미, "『예수 없이 예수와 함께』",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12 박신배, 앗시리아와, "“ 이스라엘의 종교이념 연구", ” 『구약논단』 23: 147-63, 2007

      13 조석민, "“사마리아 종교의 타헤브.”", 『Canon & Culture』 2: 123-50, 2009

      14 천사무엘, "“쿰란 공동체의 종교사상.”",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 51-72, 2001

      15 장춘식, "“사마리아인 영지주의자들.”",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 『신학논단』 26: 299-319, 1999

      16 박종수, "“상아궁전의 성읍, 사마리아.”", 한국성서고고학회, 『성경과 고고학』 : 80-116, 2011

      17 이필찬, "『요한복음 1: 이 성전을 허물라』", 경기: 엔크리스토, 2008

      18 김동수, "『요한신학 렌즈로 본 요한복음』", 솔로몬, 서울: 솔로몬, 2006

      19 한상식, "“구약성서의 신명포함 인명 연구.”", 신학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연 합신학대학원, 2001

      20 H., "“포로기 시대의 역사적 상황과 귀향",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 회자 하기신학세미나 강의집』. 7: 45-52, 1987

      21 서동수, "유대교의 두 메시아 사상과 신약성서", 『신약논단』 9: 1209-43, 2012

      22 홍국평, "“북이스라엘 난민 유입 가설 재고.”", 『구약논단』 18: 181-206, 2008

      23 이승호, "“신약성서에 나타난 사마리아(인).”", 최태영 편. 『사마리아의 어 제와 오늘』. 서울: 뜸, 2010

      24 張春植, "“요세퍼스의 사마리아인 역사 기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 『신학논단』 20: 327-45, 1992

      25 한상인, "“신구약 중간시대의 역사와 종교(Ⅰ).”", 한세대학교, 『한세대학교 교수논총』 12: 7-31, 1998

      26 성종현, "“‘성서적 신학’에 기초한 성경해석.”", 장흥길 편. 『‘성서적 신 학’(Biblische Theologie)의 관점에서 바라본 신약신학의 주요주 제』.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12

      27 소형근, "포로 이후 초기에 나타난 왕권과 제사장권", 『구약논단』 36: 138-53, 2010

      28 김영진, "“이스라엘 역사 연구 방법론과 그 과제.”",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8: 175-200, 2000

      29 윤철원, "“요한복음 해석과 유대교 문제의 중요성.”", 한국신약학회, 『신약논단』 17: 597-621, 2010

      30 박정식, "“사마리아 여인(요 4장)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신약연구』 7 : 421-50, 2008

      31 장춘식, "“고고학으로 본 8-6 B.C.E. 시기 이스라엘과 유다.”", 『인문논총』 22: 27-54, 2005

      32 박영진, "“요한복음 4장 22절에 나타난 ”유대인들“의 의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장신논단』 41: 63-87, 2011

      33 김판임, "“쿰란공동체와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예배생활.”", 한국신학연구소, 『신학사 상』 146: 131-59, 2005

      34 박정수, "“유대교의 사마리아 통합의 갈등과 초기기독교의 선교.”", 한국신약학회, 『신약논 단』 14: 197-239, 2007

      35 정두섭, "“예배에 관한 신학적 고찰-요한복음 4장 20-24절을 중심으로.”", 대학복음화학회, 『대학과 복음』 5: 33-52, 2001

      36 이희학, "북 왕국 멸망의 사회적 “ 원인들과 예언자 아모스의 심판 선포", 한국구약학회, ” 『구약논단』 14: 29-48, 2008

      37 이희학, "“이스라엘 왕국분열의 원인과 의의에 대한 역사신학적 고찰.”", 목원대학교 신학연구소, 『신학과 현장』 13: 157-80, 2003

      38 주은평, "“열왕기하 15:1-7에 나타난 ‘질병과 종교혼합주의’와의 상관성 연구.”", 『구약논집』 5: 137-160, 2009

      39 장춘식(Choon-Shilk Chang), "“사마리아인의 기원에 관한 유대-기독교적 주장에 대한 재해석적 근거.”",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 『신학논단』 43: 85-107, 2006

      40 힐, J.R, "『요한복음』. 박명섭 편. 서울: 성서유니온, [Hill, J.R. John. Milton Keynes, 1984]", Milton Keynes, 1984], 2000

      41 박선희, "“요한복음 5장에 나타난 유대교의 유일신 사상과 고(高) 기독론 의 논쟁.”", 철학박사학위논문,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2008

      42 E.A., 블룸, "『BKC 요한복음』. 임성빈 역. 서울: 두란노, [Blum, E.A.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 Dallas: Victor Books, 1983], 2004

      43 S.S., 스몰리, "『요한신학』. 김경신 역. 서울: 생명의 샘, [Smalley, S.S. John Evangelist & Interpreter. 2d ed", Paternoster Press: 1997], 2004

      44 M. 이스라엘, 노트, "『 역사』.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Noth, M. History of Israel. 2d ed. New York, N.Y", : Harper and Row, 1954], 2001

      45 R., 불트만, "『요한복음서 연구』. 허혁 역. 서울: 성광문화사, [Bultmann, R. Das Evangelium des Johannes. 19d ed", G ?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68], 1993

      46 J.A., 벵겔, "『벵겔 신약주석 요한복음 상』. 서울: 로고스, [Bengel, J.A. Bengel's New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ch", : Kregel Publications, 1981], 1992

      47 F.F., 브루스, "『요한복음 1』. 개정판. 서문 강 역. 서울: 로고스, [Bruce, F.F. The Gospel of John. rev. Grand Rapids, Mich.: W.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3], 2009

      48 야거스마 H, "『신약배경사』. 배용덕 역. 서울: 솔로몬, [Jagersma, Henk. A History of Israel from Alexander the Great to Bar Kochba", London: SCM Press, 1985], 2009

      49 H., 생크스, "『고대 이스라엘』. 서울: 한국신학연구소,[Shanks, H. Ancicient Israel. Rev. and enl. ed.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1999].",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1999], 2005

      50 J, 브라이트, "『이스라엘 역사』. 3판. 박문재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Bright, J. A History of Israel. 3d ed. Philadelphia, Pa", : Westminster Press, 1981], 1997

      51 말리나, "『신약의 세계』. 2판. 심상범 역. 서울: 솔로몬, [Malina, B.J. The New Testament World: Insights from Cultural Anthropology. 2d ed",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3], 2002

      52 M., 헨리, "『매튜 헨리주석 요한복음』. 박문재 역. 경기: 크리스챤다이제스트, [Henry, M. Matthew Henry's Commentary John, n.p., 1967].", Matthew Henry's Commentary John, n.p., 1967], 2009

      53 L.J., 우드, "『구약성경의 성령론』. 이순태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Wood, L.J. The Holy Spirit in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ch", :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76], 1999

      54 김두석, "“유다와 다말의 동침사건 및 사마리아 여인의 다섯 남편에 관한 이해: 모세의 언약과 계대결혼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개혁신학 회 정기학술세미나 : 1-19, 2008

      55 R., 알베르츠, "『이스라엘 종교사 Ⅰ』. 강성열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Albertz, R. Religionsgeschichte Israels in alttestamentlicher Zeit 1", Vandenhoeck and Ruprecht, 1992], 2003

      56 킷텔 G and G 프레드릭., "『신약성서 신학사전』. 서울: 요단출판사, [Kittel, G. and G. Friedrch. Grand Rapids, Mich.: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W.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5], 2001

      57 G.S., 슬로얀, "『요한복음 신학』. 서성훈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Sloyan, G.S. What are they saying about John. New Jersey: Paulist Press, 2006].", New Jersey: Paulist Press, 2006], 2000

      58 오스본, "G. and W. 웨슬레. 『LAB 주석 요한복음』. 전광규 역. 서울: 성서 유니온선교회, [Osborne, G. and P. Wesley. Life Application Bible Commentary John", Cambridge: Tyndale House, 1993], 2011

      59 L., 모리스, "『성경주석 뉴인터내셔널 요한복음』. 서울: 생명의 말씀사, [Morris, L.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John. Grand Rapids, Mich.: W.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2], 1979

      60 H., 쾨스터, "『신약성서 배경연구』. 2판. 이억부 역. 서울: 은성, [Koester, H.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of the Hellenistic Age. 2d ed", Walter De Gruyter, 1995], 2003

      61 J.M., 밀러, J.H. 헤이스, "『고대 이스라엘 역사』. 박문재 역. 서울: 크리 스챤다이제스트, (1996) [Miller, J.M. and J.H. Hayes,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Philadelphia, Pa", : The Westminster Press, 1985], 2004

      62 강면광., "성서적 신학 “‘ ’의 주제로서의 율법.” 장흥길 편. 『‘성서적 신 학’(Biblische Theologie)의 관점에서 바라본 신약신학의 주요주 제』",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2012

      63 래드, "『신약신학』. 이한수?신성종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3 [Ladd, G.E.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Enl. ed. Grand Rapids, Mich.: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3]", 『신약신학』. 이한수?신성종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3 [Ladd, G.E.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Enl. ed. Grand Rapids, Mich.: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3].,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