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통적·비전통적 안보 문제와 군사혁신 방안 연구 :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시 효과 분석 = A Study o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 Issues and Military Innovation Meas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0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establishing "Joint Rapid Response Force" that can actively and comprehensively respond to crises that emerge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 fields due to future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By...

      This article examined the effects of establishing "Joint Rapid Response Force" that can actively and comprehensively respond to crises that emerge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 fields due to future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rapid response forces operating in advanced countries, specific points of consideration were identified for the Korean Army, and based on these points, this article predict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stablishing a joint rapid response force based on the three elements of military innovation, namely "strategy/doctrines", "military technology", and "organization/ formation". We can consider establishing a "Joint Rapid Response Force" as part of an effective response to the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we should prepare it step by step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such a force while offsetting any negative consequences. The Korean security environment includes the direct threat of North Korea, as well as the potential for latent threats to emerge. In such an environment, distributing military power across all areas could require the investment of immense financial resources and efforts, putting the nation in a situation that is not effective as a whole. In addition, strenthening cooper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joint rapid response force is one method of several alternatives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crucial task of protecting the nation and safeguarding the lives and property of its citizens while securing a certain amount fo resources for the defense sector in a post-cold war age where the demands of the public are focusing around welfare and the econom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미래 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전통적 안보 분야와 비전통적 안보 분야에서 위기가 발생 시 포괄적,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한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시 어떠한효과가 나타날지 ...

      본고는 미래 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전통적 안보 분야와 비전통적 안보 분야에서 위기가 발생 시 포괄적,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한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시 어떠한효과가 나타날지 고찰해 보았다.
      특히, 선진 국가에서 운용하고 있는 신속 대응부대의 분석을 통해 한국군 고려사항을 도출했으며, 이를 토대로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시 군사혁신 구성요소 세 가지인 ‘전략 / 교리’, ‘군사기술’, ‘조직 / 편성’ 분야로 구분하여 예상되는 긍정적 효과와부정적 효과를 분석했다.
      미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한반도 안보환경에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 ‘합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겠으며, 만약 창설 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 하고 부정적 효과를 상쇄토록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한다.
      한반도의 안보환경에서 북한이라는 직접적인 위협이 존재하고, 잠재적 위협이 야기될 수 있는 상황에서 모든 분야에 전력을 배비한다는 것은 많은 재원과 노력이 투자되어 국가 전체적으로는 효과적이지 못한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에 더해 탈냉전이후 국민들의 요구가 경제 및 복지 분야에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서 국방 분야에 대한 일정한 재원을 확보한 가운데서 국가를 수호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차대한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여러 대안 중의 하나가 ‘합동 신속대응부대’ 창설을 통해 합동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광수, "한반도 안보환경에서의 신속대응군 역할과 운용방안" 한국국방연구원 2011

      2 김상배, "한반도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 복합지정학의 시각"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3 권영근, "한국군 국방개혁의 변화와 지속" 연경문화사 2013

      4 전일욱, "한국 사드(THAAD)배치 결정에 대한 SWOT 분석" 한국동북아학회 21 (21): 161-182, 2016

      5 황선남, "조직정치와 합동성" 북코리아 2017

      6 김동한, "역대 정부의 군구조 개편 계획과 정책적 함의" 세종연구소 17 (17): 67-92, 2011

      7 체제통합연구회, "북한의 체제와 정책 : 김정은시대의 변화와 지속" 명인문화사 2014

      8 김성만, "북한의 무력도발을 억제하는 방안" 해병대전략연구소 13 : 2011

      9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10 한국군사문제연구원, "미래전에 대비한 합동작전 기본개념 발전방향"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6

      1 안광수, "한반도 안보환경에서의 신속대응군 역할과 운용방안" 한국국방연구원 2011

      2 김상배, "한반도 신흥안보의 세계정치 : 복합지정학의 시각"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3 권영근, "한국군 국방개혁의 변화와 지속" 연경문화사 2013

      4 전일욱, "한국 사드(THAAD)배치 결정에 대한 SWOT 분석" 한국동북아학회 21 (21): 161-182, 2016

      5 황선남, "조직정치와 합동성" 북코리아 2017

      6 김동한, "역대 정부의 군구조 개편 계획과 정책적 함의" 세종연구소 17 (17): 67-92, 2011

      7 체제통합연구회, "북한의 체제와 정책 : 김정은시대의 변화와 지속" 명인문화사 2014

      8 김성만, "북한의 무력도발을 억제하는 방안" 해병대전략연구소 13 : 2011

      9 이수형,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10 한국군사문제연구원, "미래전에 대비한 합동작전 기본개념 발전방향"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6

      11 BARNETT, JEFFERY R., "미래전 : FUTURE WAR" 연경문화사 2001

      12 천윤환, "기초 전투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황금소나무 2017

      13 박봉규, "군사혁신의 이론과 실제: 미국 군사혁신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원 46 (46): 207-232, 2003

      14 김종하, "군사혁신(RMA)과 한국군" 북코리아 2008

      15 노훈, "군 상부구조 개편 : 동기와 구현방향"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8 (18): 48-67, 2011

      16 한용섭, "국방정책론" 박영사 2012

      17 "https://www.yeosijae.org/posts/604"

      18 "https://www.konas.net/article/article.asp?idx=24950"

      19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11141728741037"

      2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10291733728764"

      2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6444&cid=43667&categoryId=43667"

      22 "https://news.v.daum.net/v/20201015165046468?x_trkm=t"

      23 "https://news.joins.com/article/23836913"

      24 "https://news.joins.com/article/23561598"

      25 "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0408230035627030"

      26 "http://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08021948838"

      27 "http://www.g-enews.com/view.php?ud=201907150907254569f806fa96c5_1&mobile=1"

      28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6212111035"

      29 "http://kookbang.dema.mil.kr/newsWeb/m/20190614/4/BBSMSTR_000000010024/view.do"

      30 "U.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TRADOC Pamphlet 525-3-1, The U.S. Army Operating Concept: Win in a Complex World 2020-2040"

      31 Macgregor, Douglas A, "Transformation Under Fire : Revolutionizing How America Fights" Praeger Publishers 2003

      32 Baylis John,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2017

      33 한용섭, "NATO의 실상과이해"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7

      34 Murray, Williamson, "Military Innovation in the Interwar Period" Cambridege University Press 1998

      35 국가안보전략연구원, "INSS 2020 정세전망 보고서" 한국학술정보(주) 2019

      36 김준석, "21세기 미국-유럽 동맹관계의 변환" 동아시아연구원 2009

      37 김열수, "21세기 국가위기관리체제론" 오름 2005

      38 국방부, "2018년 국방백서" 국방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육군본부 -> 육군군사연구소
      영문명 : Army Headqarters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3-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ROK Army of Military History Institute -> ROK Army Military History Institut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50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