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줄타기 전승교육을 위한 잔노릇 기본동작 개발 연구 : 국가 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91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wh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basic movement of artistic action in the current tightrope training. In man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ightrope, there was no study that revealed the aspect of tightrope as ...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wh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basic movement of artistic action in the current
      tightrope training. In man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ightrope,
      there was no study that revealed the aspect of tightrope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curr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is an important device to ensure the transmission
      of so-called performing folklore, but it is regrettable that
      researchers lack interest in it. In addition, attention in tradition
      education as a way to strengthen the successive power of tightrope
      in relation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was lacking. Tradition
      education is an important matter in order to secure the successive
      power among the various performing folklore that are currently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researcher who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the year of 2000 has reali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basic movements for efficient education while exercising
      the tradition education of tightrope, and has considered it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tradition education of tightrope. As a
      practical activity that guarantees the successive power of tightrope,
      tradition education is important. Accordingly, developing a manual
      for efficient tradition education and using it in the educational field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mission of tightrop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artistic action,
      namely 'Jannorut', which is one of the key performance elements
      of tightrope walking,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by
      way of developing basic movements for it.
      The researcher went through a lot of trial and error during the
      transmission education process for tightrope graduates. One of the
      reason is that the trainees began to enter tightrope walking at a
      late age, but mostly because as a teacher, the researcher did not
      have a systematic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ir physical
      condition, concentration, physical strength, and etc., and to
      conduct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differences for the transmission education of artistic movement.
      However, since the researcher had been taught tightrope walking
      through apprenticeship, it was a big mistake for the researcher to
      try to guide the trainees in the previous way only.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changed surrounding environment, the method of
      education must also be changed.
      In order to minimize the various trials and errors that occurr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researcher realized the need for a
      new method of transmission education and the need to develop
      basic movements of the artistic actions of tightrope. Accordingly,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intends to examine the basic movement
      of the newly developed artistic movements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in transmissio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basic movements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the actual performances of the four transmission
      trainees and supplementing the problems identified for each
      movement. Through this, this paper introduces 25 newly developed
      basic movements and 8 movements of connection action, namely
      'Gullsin', and explains the background in which these movements
      were developed, thereby increasing the value of research as well as
      its effectiveness as a textbook.
      In order to creatively inherit and develop existing tradition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al model.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has analyzed the 35 movements of
      tightrope walking that are handed down to clarify the composition
      system and gone one step further to reveal the development
      process of 25 basic movements and 8 gulshin movements.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ill look at how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f the basic movement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ightrope since modern times and come
      to result by paying attention to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inued basic movement from before and the developed
      movement by the researcher. In addition, the researcher will
      develop a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basic movements while
      keeping in mind the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and
      pedagogical field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training and actual
      performance of the transmission trainees. The researcher is
      tutoring four transmission trainees three times a week at the
      tightrope training center in Gwacheon. In addition, researchers and
      tradition trainees are participating in tightrope performance at
      festivals, and etc.
      The researcher has looked at the history and genealogy of
      tightrope as well as the current activities of the Tightrope
      Preservation Society in order to help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tightrope. Afterwards, 25 basic movements and 8 movements of
      gulsin, newly developed from an applied level, were introduced for
      the effective transmission education of tightrope walking,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nded down today. In addition, the
      researcher has paid attention to the effect of the newly developed
      basic movement in the field of transmission education under the
      curr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This series of process
      has been derived from the need to prepare a new educational
      system through various trial and error in the course of guiding the
      trainees and the new educational system has been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researcher has collected the opinions of trainees and
      analyzed the movements that appeared in the actual demonstration
      process.
      In the meantime, there wa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systematically deliver the tightrope to the trainees in the training
      course of tightrope, but, while carrying out this study, the
      researcher can prepare for a more efficient and objective
      educational method.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teaching metho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rainees in the tightrope
      tradition education and organizes practical experiences and various
      data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transmission education of
      various performing folklore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전승되는 줄타기 전승교육에서 잔노릇(기예)의 기본동작 개발이 왜 필요한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줄타기와 관련한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무형문화재로서 줄타기의 ...

      본 연구는 현재 전승되는 줄타기 전승교육에서 잔노릇(기예)의 기본동작 개발이 왜 필요한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줄타기와 관련한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무형문화재로서 줄타기의 면모를 밝히는 연구가 없었다. 현행 무형문화재 제도는 이른바 연행민속의 전승을 담보하는 중요한 장치이지만, 연구자들의 관심이 부족했던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아울러 무형문화재와 관련 속에서 줄타기의 전승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편으로서 전승교육에 대한 관심도 모자랐다. 현재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여러 연행민속에서 전승력의 확보를 위한 전승교육은 중요한 문제이다.
      2000년에 국가무형문화재로 인정된 연구자는 그동안 줄타기의 전승교육을 진행하면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기본동작의 개발에 대해 필요성을 절감했으며, 이를 체계화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줄타기의 전승력을 담보하는 실천적 행위로서 전승교육은 중요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전승교육을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은 줄타기의 전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줄타기의 핵심 연행요소 가운데 하나인 잔노릇을 주목하고, 이에 대한 기본동작 개발을 통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줄타기 이수자들에 대한 전승교육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전승교육생들이 늦은 나이에 줄타기에 입문한 이유도 있겠지만, 교사로서 문화환경과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법을 갖추지 못한 탓이 크다. 또한 잔노릇 동작의 전승교육을 위해서는 그들의 신체조건과 집중력, 체력적인 근기 등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자의 여건에 따라 맞춤식 교육을 행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도제학습으로 줄타기 학습을 전수 받았기 때문에 이전의 방식대로만 전승교육생을 지도하려 했던 것이 큰 착오였다. 즉 변화한 주변 환경에 따라 교육의 방식도 발맞추어 내용을 달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교육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새로운 전승교육 방법의 필요성과 잔노릇 기본동작의 개발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전승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새로 개발된 잔노릇의 기본동작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기본동작의 개발은 전승교육생 4명의 실제 실연을 살피고, 각 동작 별로 노정된 문제점들을 보완해 가면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새로 개발한 잔노릇 기본동작 25가지와 굴신동작 8가지를 소개하고, 그 동작들이 개발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연구의 가치는 물론 하나의 교본으로서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현존하는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승되는 줄타기의 잔노릇 35가지 동작을 분석해서 구성 체계를 규명함은 물론, 한발 더 나아가 기본동작 25가지와 굴신동작 8가지의 개발과정을 밝히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잔노릇의 교육방식이 근현대 이후 줄타기의 교육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필 것이며, 잔노릇 기본동작의 개발과정에서 이전부터 이어지던 잔노릇의 기본동작과 유기적인 관계에 주목하여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또한 인지적 도제학습과 교육학적 현장연구방법을 염두에 두고 잔노릇의 기본동작 개발에 대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연구자료는 전승교육생에 대한 교육과 실제 연행 과정 속에서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과천의 줄타기 전수 교육장에서 일주일에 3회에 걸쳐 전승교육생 4명을 지도하고 있다. 그리고 축제장 등에서도 연구자와 전승교육생들은 줄타기 연행에 함께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줄타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줄타기의 역사와 계보는 물론 줄타기보존회의 현재적 활동양상을 살펴보았다. 이후 현재 전승되는 국가무형문화재 줄타기의 효율적인 전승교육을 위해 응용적 차원에서 새로 개발한 잔노릇 기본동작 25가지와 굴신동작 8가지를 소개하였다. 아울러 새로 개발된 잔노릇 기본동작이 현재 무형문화재 체제의 전승교육 현장에서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도 주목하였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은 전수교육생들에 대한 지도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새로운 교육체계를 마련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에서 비롯됐으며, 교육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실제 실연과정에서 나타난 동작들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것이다.
      그동안 줄타기의 교육과정에서 교육생들에게 줄타기를 체계적으로 전달하지 못한 한계도 있었지만,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좀 더 효율적이고 객관성을 담보하는 교육방법을 마련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줄타기 전승교육에서 교육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방법을 실제적 경험과 각종 데이터를 통해 구성한 것은 향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여러 연행민속의 전승교육 현장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사 검토 4
      • 3. 연구범위 및 방법 6
      • Ⅱ. 줄타기의 역사와 전승현황 10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사 검토 4
      • 3. 연구범위 및 방법 6
      • Ⅱ. 줄타기의 역사와 전승현황 10
      • 1. 줄타기의 역사와 전승계보 10
      • 1) 줄타기의 역사 10
      • 2) 근대이후 줄타기의 계보와 연행 20
      • 2. 지역기반 줄타기의 전승 26
      • 1) 과천과 줄타기의 관계 26
      • 2) 줄타기 전승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34
      • Ⅲ. 줄타기 잔노릇의 구성과 형식 38
      • 1. 줄타기 잔노릇의 이해 38
      • 2. 잔노릇의 분류 41
      • 3. 잔노릇의 구성과 형식 44
      • Ⅳ. 잔노릇 기본동작 개발사례 84
      • 1. 잔노릇 기본동작 습득의 중요성 84
      • 2. 잔노릇 기본동작 25가지 구성 87
      • 3. 잔노릇 굴신동작 8가지 구성 116
      • 4. 잔노릇 기본동작의 적용사례 125
      • Ⅴ. 결론 150
      • 참고문헌 155
      • Abstract 15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허용호, "발탈",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2 송석하, "조광", 제6호, 1938

      3 심우성, "줄타기", 문화재청, 화산 문화, 2000

      4 최상수, "경상남도지", 하권, 경상남도지 편찬위원회, 1963

      5 예용해, "인간문화재", 어문각, 1963

      6 이훈익, "인천지명고", 인천지방향토문화연구소, 1993

      7 한양명, "예천청단놀음", 민속원, 2004

      8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동명사, 1947

      9 김헌선, "경기도 도당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10 김흥규, 조동일,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91

      1 허용호, "발탈",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2 송석하, "조광", 제6호, 1938

      3 심우성, "줄타기", 문화재청, 화산 문화, 2000

      4 최상수, "경상남도지", 하권, 경상남도지 편찬위원회, 1963

      5 예용해, "인간문화재", 어문각, 1963

      6 이훈익, "인천지명고", 인천지방향토문화연구소, 1993

      7 한양명, "예천청단놀음", 민속원, 2004

      8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동명사, 1947

      9 김헌선, "경기도 도당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10 김흥규, 조동일, "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91

      11 김인겸, 이민수, "역, 일동장유가", 탐구당, 1981

      12 서연호, 이상우, "우리 연극 100년", 현암사, 2000

      13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태학사, 2002

      14 손태도, "광대의 가창문화", 집문당, 2003

      15 심우성, "민속 문화론서설", 동문선, 1998

      16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17 노동은,, "한국근대 음악사(1)", 한길사, 1996

      18 심우성, "광대 줄타기 연희본", 창작과 비평 제33호, 1974

      19 심우성, "남사당패 조사보고서", 제40호, 문화재관리국, 1968

      20 최상수, "한국민속놀이의 연구", 성문각, 1985

      21 KBS 라디오 프로그램,, "오직 한길 인생 이야기", 집념, 1982

      22 이호승, "한국 줄타기 재담 연구", 한국민속학 44, 한국민속학회, 2006

      23 이보형, "무형문화재전수실태조사", 문예진흥제94호, 1984

      24 임재해, "민속 문화를 읽는 열쇠말", 민속원, 2004

      25 윤광봉, "유랑예인과 꼭두각시놀음", 밀알, 1994

      26 이보형, "마당종목 발표공연을 보고", 월간문화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년, 6 월호, 1987

      27 홍석모, "저・이석호역, 동국세시기", 을지문화사, 1969

      28 정화영, "줄타기 무형문화재 보고서", 제118호, 문화재관리국, 1975

      29 이호승, "줄광대 김대균의 연희 세계", 한국민속학 42, 한국민속학회, 2005

      30 김대균, "줄놀음의 연행체계와 연행원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1 이호승, "한국줄타기의 역사와 연행원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32 정범태, "사진으로 보는 명인명창 이야기", 미르 10월호, 국립극장, null

      33 김희송, "한국 전통연희 광대줄타기 연구", 단국대학교 연극과 석사학위논문, 2004

      34 이호승, "한국 줄타기의 역사와 연행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 위논문, 2007

      35 윤순병, "줄타기 연희와 음악에 대한 연구",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논문, 2004

      36 서연호, "『한국 전승연희의 원리와 방법』", 집문당, 1997

      37 정연락, "동해안굿 전승자 학습 변화의 의미", 공연문화연구 36, 공연문화학회, 2018

      38 이자균, "김봉업 줄소리․해금가락: CD해설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39 이호승, "동아시아 줄타기의 역사와 연희양상", 비교민속학32집, 2006

      40 한양명, "전통축제의 성격과 민속예술의 위상", 민족예술의 정서와 미학, 월인, 1999

      41 여운황, "진주오광대의 복원과 정통성 확보과정",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2 백향주, "최승희 조선민족무용기본의 형성과 변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석사학위논문, 2006

      43 이현수, "정선아라리의 전수교육 실태와 발전 방안", 한국민요학 22, 한국민요학 회, 2008

      44 정선혜, "한국무용 기본 춤 체계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무용연구 31-1, 한국무 용연구, 2013

      45 임학선, "한국춤 동자의 기본구조와 원리, 공연과 리뷰 19", 현대미학사, 1998

      46 한양명, "민속예술을 통해 본 신명풀이의 존재양상과 성격", 비교민속학회,비교민 속학, 제22호, 2002

      47 김현순, "탈춤의 연행원리에 입각한 마당극의 창조적 모색",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1

      48 정영미, "줄타기의 연기방식과 연희공간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연극학 32, 한 국연극학회, 2007

      49 남성진, "진주, 삼천포 풍물의 전통형성과 전승주체의 현실대응", 안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2

      50 강정찬, 이상수, "수업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방법으로서 설계기반연구(DBR)", 교육 방법연구 23-2, 한국교육방법협회, 2011

      51 홍태한, "서울굿을 중심으로 본 무형문화재 전승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 공연문화 연구 36, 공연문화학회, 2018

      52 홍정임, 황성우, "난이도에 따른 무용동작이 모델유형의 전이학습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5-4,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3

      53 추나영, "무형문화재 전승교육과장 방향 제안: 좌수영어방놀이를 중심으로", 한국 무용학회지 21-3, 한국무용학회, 2021

      54 신희라, "강릉단오굿 전승자 교육과 지속성에 대한 연구, 무형유산학 2권 2호", 무형유산학회, 2017

      55 김지영, 윤정옥, "무형문화재 전통교육 교육을 위한 인지제도적 기반의 보편적 학습 설계(UDL)", 한국무용학회지 19-2, 한국무용학회, 2019

      56 서정화, "장인의 총체적 경험에 의한 도제(徒弟)식 수업에서의 학습 효과에 대한 연 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2-2,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57 이민주,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전승교육에 대한 고찰: 복식 관련 전통기술을 중심으 로", 무형유산 6, 무형유산학회, 2019

      58 양하늬, "줄타기에서 보이는 재담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전통연희 줄타기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9 김대균, "국가무형문화재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한 기대효과: 국가무형문화재 제58 호 줄타기를 중심으로", 무형유산학 7-1, 무형유산학회, 2022

      60 안주영, "무형문화재의 도제제도에서 나타난 상황학습에 대한 고찰: 경기도 무형문화재의 세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민속학 40,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 구소,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