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용자 의식조사를 통한 대학도서관의 공간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이용자의 사용공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47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존하는 대학도서관의 공간과 시대 변화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공간들을 종합하여 전통성과 미래가치가 공존하는 주요 기능별 대학도서관 공간분류를 도출하고, 대학생 이용자...

      본 논문은 현존하는 대학도서관의 공간과 시대 변화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공간들을 종합하여 전통성과 미래가치가 공존하는 주요 기능별 대학도서관 공간분류를 도출하고, 대학생 이용자의 요구를 구체화하여 대학도서관 공간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연구와 국내외 사례를 통해 공간분류체계를 도출하고 대학도서관의 이용주체인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공간의 중요도와 선호도 조사를 통해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도서관의 분류체계는 자료공간, 학습·열람공간, 기술지원공간, 교육·문화공간, 공유공간, 사무관리공간 까지 6개 부문으로 정의되었고, 중분류는 총 19개의 영역, 소분류인 단위공간은 총 42개의 공간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분석한 결과 새로운 정보서비스가 창출되더라도 자료공간이나 학습/열람공간 등 전통적인 기존의 대학도서관의 기능은 여전히 이용률이 높을 것이라는 결과를 확인했다. 또한 이용 목적별 사용 공간을 확인한 결과, 목적과 공간의 활용도가 일치하는 패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대학도서관 활용을 위하여 장서에 대한 획기적인 보존방안을 수립 후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는 방향이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도서관 공간의 중요도는 학습·열람공간, 자료이용공간, 교육·문화공간, 공유공간, 기술지원공간의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도서관에서 학생이 이용하게 되는 공간인 5가지 부문, 40개의 단위공간 중 총 28개의 단위공간이 각 영역별 공간의 중요도에 영향을 주는 영향인자로 도출되었다. 자료공간부문은 주제자료영역, 일반자료영역, 보존서고 등의 순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열람공간부문은 일반열람영역과, 개인이 이용 가능한 특수열람영역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도서관으로의 진화하는데 중점을 두는 최근의 추세에 반하여 전자정보영역에서는 정보검색공간만이 영향인자로 도출되었다. 기술지원공간 부문의 결과에서는 창의·협업영역이 중요도에 영향을 낮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이용자들에게 공간에 이용에 대한 장점을 인식시키고 풍부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교육/문화공간 부문에서는 체험센터, 미디어감상실, 디지털기기 활용교육공간 등의 체험영역이 가장 높았다. 공유공간부문에서는 편의영역, 휴게영역, 공용/이동관련영역의 하위공간으로 11개의 단위공간이 제시되었으나, 다른 대분류 공간보다 비교적 적은 수의 중요도 영향인자가 낮게 도출되었다.
      다섯째, 공간분류의 인자에 따른 대학도서관 공간의 선호이미지를 확인한 결과 자료공간과 학습열람공간은 현재보다 더 조용하고 자료(정보)가 풍부한 공간으로 개선되기를 원했다. 교육문화공간과 공유공간은 현재보다 더 자유롭고 활기차며 프로그램/시설이 풍부한 공간으로 변화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지원공간은 현재와 개선 후 모두 정숙도나 이용행태 관련해서 전체적으로 중립적인 의견이 많았으나 비교적 자유롭고 프로그램/시설 위주의 공간이 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rive university library’s main space classification by functions with traditionality and future values synthesizing spaces required from the changed spaces, time of current university libraries and to specify the needs o...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rive university library’s main space classification by functions with traditionality and future values synthesizing spaces required from the changed spaces, time of current university libraries and to specify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to suggest the orientation for space improve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t suggests space classification system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perform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show improvement methods with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nation as the users of university libraries.
      First of all, university library space classification system is defined as 6 parts from database space, learning·reading space, technology supporting space, education·culture space, sharing space to office management space with total 19 domains of sub-classification and total 42 of unit space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utilization status of university library users, there is a huge utilization rate of traditional functions of university library such as learning·reading space or database space even new information services created. Also, resulting of checking utilization spaces depending on its purposes, it represents the pattern that the purpose and utilization of each space are same.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for more active university library utilization, it should establish an innovative preservation method for books and the orientation accepting various functions which student want.
      Thirdly, the importance order of space represents learning·reading space, data utilization space, education·culture space, sharing space and technology supporting space in orderly.
      Fourthly, total 28 unit spaces from 40 unit spaces, 5 parts of utilization space used by university students in university library, are found that they are influencing factors for importance order of the spaces of each domain. There are influences from database space domain, subject data, general data, and book preservation in orderly. Learning·reading space domain represents influences from general reading domain and special reading domain which is available for individuals. With recent trend focusing on the library’s digitalization, electronic information domain represents that only information searching space as the influencing factor. For technology supporting space, creativity·collaborating domain has low influence on importance order.
      Therefor, it is confirmed that the needs for active space utilization with offering various programs and making recognition of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by users. For education·culture space, experience center, media hall, digital tool utilization learning space were the most important spaces. For sharing space domain, there were 11 of unit spaces as sub spaces with convenient domain, resting, public and moving related domains comparing other classified spaces showing relatively low numbers of importance influencing factors.
      Lastly, depending on space classification factors, it finds preference image of university library space as database space and learning·reading space to be improved more quiet space with more various data(information) than current status. Education·culture space and sharing space should be more vivid and free space with various programs and facilities. Technology supporting space should have free program and facility focusing space relatively with many neutral opinions about silence and utilization status for current and after the improvement d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1.3. 선행 연구의 고찰 5
      • 1.4. 연구 흐름도 8
      • 제 1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1.3. 선행 연구의 고찰 5
      • 1.4. 연구 흐름도 8
      • 제 2장 이론적 고찰 9
      • 2.1. 대학도서관의 개념 9
      • 2.1.1. 대학도서관의 사명과 목적 9
      • 2.1.2. 대학도서관의 관련법령 및 시설기준 10
      • 2.1.3. 대학도서관의 시대적 변화 14
      • 2.2. 대학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 20
      • 2.2.1.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공간분류 20
      • 2.2.2. 선행연구의 대학도서관 공간분류 21
      • 2.3. 사례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의 공간 고찰 24
      • 2.3.1. 국내 대학도서관 공간 사례 24
      • 2.3.2. 국외 대학도서관 공간 사례 28
      • 제 3장 대학도서관의 공간체계 분석 32
      • 3.1. 대학도서관 기능단위 소요공간 도출 32
      • 3.2. 대학도서관 공간분류를 위한 선행연구 내 공간인자 분석 및 추출 35
      • 3.3. 주요기능별 대학도서관의 공간분류 38
      • 3.4. 소결 40
      • 제 4장 대학도서관 공간개선 방향에 관한 분석 43
      • 4.1. 연구 방법 설계 43
      • 4.1.1. 연구 목적 및 대상 43
      • 4.1.2. 설문의 구성 43
      • 4.1.3. 자료 분석방법 44
      • 4.2. 설문 조사 및 분석결과 47
      • 4.2.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47
      • 4.2.2.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 49
      • 1) 대학도서관 사용의 주된 이용목적 50
      • 2) 대학도서관 사용 시 선호하는 공간 57
      • 3) 대학도서관 이용 목적별 선호 공간 64
      • 4) 소결 68
      • 4.2.3. 대학도서관의 중요도 분석 71
      • 1) 대학도서관 부문별 공간의 중요도 분석 71
      • 2) 대학도서관 영역별 공간의 중요도 분석 73
      • 3) 대학도서관 영역별 공간의 중요도영향 인자 분석 77
      • 4) 소결 83
      • 4.2.4. 대학도서관 공간분류인자에 따른 만족도 분석 91
      • 제 5장 결론 97
      • 참고문헌 102
      • Abstract 105
      • 국문초록 108
      • [부록] 설문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